본문

서브메뉴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 고영근 저.
Contents Info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Material Type  
 단행본
 
0014925466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200102023312
ISBN  
9788930317900 93700 : \70000
Language Code  
본문언어 - kor , 요약문언어 - eng ger
DDC  
411.5 -22
Callnumber  
715 고64ㅇ
Author  
고영근((高永根)) , 1936-
Title/Author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 고영근 저.
Publish Info  
서울 : 집문당, 2018.
Material Info  
xiii,933 p. : 삽화 ; 26 cm.
General Note  
설명적 각주 수록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및 참고논저(p. 823-883)와 색인(p. 886-932) 수록
기금정보  
한국연구재단 저술연구비 (2013~2016)로 저술되었음(과제번호: 2013S1A6A4014447)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한국어 문법[韓國語文法]
Index Term-Uncontrolled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Electronic Location and Access  
  원문보기
Control Number  
kpcl:229743
책소개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이 책은 서울 중심의 현대 표준 공통어의 문법 현상을 주축으로 하되 문헌어 및 방언의 문법 현상과 통합하는 총체 서술의 방법을 취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통 구어는 물론, 평양 중심의 북한의 문화어와 재외 교민의 우리말의 문법 현상도 통합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방언에는 구비 설화의 문법 현상도 포함하였다. 이곳의 재외 교민이라 함은 주로 중국의 동북 삼성 및 옛 소련 지역의 연해주와 카자흐 등 중앙 아시아의 교민들을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통속적으로는 “우리말”로 대표되는 “전 민족어”의 문법을 대상으로 하되 이웃 언어나 기타 외국어와 비교하는 유형론적 관점을 바닥에 깔았다. 문법 체계는 문법의 가장 핵심 부문인 형태부와 형태통사부는 물론, 자소부 및 음성부와 통보화용부를 문법 체계 안에 통합 (統合, integration)하였다. 본인이 이러한 문법 체계를 세우기까지는 원칙적으로 독일어 사용 지역에서 발전한 문법 이론, 이를테면 자소론, 자연성 이론, 결합가 이론, 텍스트 이론, 언어 유형론을 바닥에 깔았다. 이렇게 우리말 문법의 제 현상을 위에서 언급한 문법 체계의 틀 속에 통합·서술한 결과, 시간과 공간 (계층과 상황도 포함)에 따른 변이 양상도 한 그릇에 담을 수 있었고 우리말 문법의 유형적 특징도 선명히 드러낼 수 있었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124305 715 고64ㅇ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