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저자 : 고영근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8
정가 : , ISBN : 9788930317900

책소개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이 책은 서울 중심의 현대 표준 공통어의 문법 현상을 주축으로 하되 문헌어 및 방언의 문법 현상과 통합하는 총체 서술의 방법을 취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통 구어는 물론, 평양 중심의 북한의 문화어와 재외 교민의 우리말의 문법 현상도 통합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방언에는 구비 설화의 문법 현상도 포함하였다. 이곳의 재외 교민이라 함은 주로 중국의 동북 삼성 및 옛 소련 지역의 연해주와 카자흐 등 중앙 아시아의 교민들을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통속적으로는 “우리말”로 대표되는 “전 민족어”의 문법을 대상으로 하되 이웃 언어나 기타 외국어와 비교하는 유형론적 관점을 바닥에 깔았다. 문법 체계는 문법의 가장 핵심 부문인 형태부와 형태통사부는 물론, 자소부 및 음성부와 통보화용부를 문법 체계 안에 통합 (統合, integration)하였다. 본인이 이러한 문법 체계를 세우기까지는 원칙적으로 독일어 사용 지역에서 발전한 문법 이론, 이를테면 자소론, 자연성 이론, 결합가 이론, 텍스트 이론, 언어 유형론을 바닥에 깔았다. 이렇게 우리말 문법의 제 현상을 위에서 언급한 문법 체계의 틀 속에 통합·서술한 결과, 시간과 공간 (계층과 상황도 포함)에 따른 변이 양상도 한 그릇에 담을 수 있었고 우리말 문법의 유형적 특징도 선명히 드러낼 수 있었다.

목차


책 머리에 부쳐
감사의 말씀
일러두기

Ⅰ. 총론
1.1. 문법 연구의 목표
1.2. 기존 모형에 대한 검토와 그 문제점
1.3. 서술 방법론의 모색

Ⅱ. 우리말 문법의 단위
2.1. 들어가기
2.2. 명사 어미 구조체와 동사 어미 구조체
2.3. 단어와 어절
2.4. 형태소
2.4.1. 단어 구성소와 단어 형성소
2.4.2. 문장 구성소와 문장 형성소
2.4.3. 구성소와 형성소, 그리고 형태소
2.5. 문장과 텍스트
2.6. 간추림

Ⅲ. 음성부와 자소부
3.1. 들어가기
3.2. 구어와 문어, 구어체와 문어체
3.3. 음성부
3.4. 자소부
3.5. 음운부와 자소부의 유형론

Ⅳ. 품사부
4.1. 들어가기
4.2. 단어와 구의 범주화
4.3. 품사부의 자리 매김
4.4. 어류 유형론

Ⅴ. 문법 서술에 필요한 몇 가지 기초 개념
5.1. 핵
5.2. 논항 구조
5.3. 결합가
5.4. 대용

Ⅵ. 형태부
6.1. 들어가기
6.2. 동사 형태부 형태부 1
6.2.1. 의존 동사
6.2.1.1. 공통어
6.2.1.2. 중세 및 고대어
6.2.1.3. 방언
6.2.1.4. 의존 동사의 유형론
6.2.2. 자립 동사
6.2.2.1. 유정 동사와 무정 동사
6.2.2.2. 불완전 동사
A. 공통어
B. 중세어
C. 유형론
6.2.3. 동사 어간 구조체와 동사 어미 구조체의 변이
6.2.3.1. 어간 구조체
A. 음성적 교체
B. 어휘적 교체
6.2.3.2. 동사 어미 구조체의 변이
A. 음성적 교체
B. 어휘적 교체
6.2.4. 동사 활용 체계 - 활용론
6.2.4.1. 공통어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형 어미
6.2.4.2. 중세어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
6.2.4.3. 고대어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
6.2.4.4. 방언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
6.2.5. 선행 어미의 구조적 특징과 역사적·지역적 변종
6.2.6. 동사 형태부의 유형론
6.3. 명사 형태부 - 명사 곡용론 형태부 2
6.3.1. 의존 명사
6.3.1.1. 형식성 의존 명사
A. 공통어
B. 중세어, 고대어 및 근대어
C. 방언
D. 유형론
6.3.1.2. 단위성 의존 명사
A. 특수성
B. 유형론
6.3.2. 자립 명사
6.3.2.1. 명사의 분류
6.3.2.2. 불완전 명사
6.3.2.3. 대명사와 수사
A. 대명사
B. 수사
C. 명사구와 통범주에서 실현되는 복수 범주
6.3.3. 명사 어간 구조체와 명사 어미 구조체의 변이
6.3.3.1. 어간 구조체
A. 음성적 교체
B. 어휘적 교체
6.3.3.2. 어미 구조체
A. 공통어
B. 중세어
C. 고대어
D. 방언
6.3.4. 명사 어미 구조체의 곡용 체계
6.3.5. 명사 형태부의 유형론
6.4. 관형사와 부사 형태부 3
6.4.1. 관형사
6.4.1.1. 관형사의 확립 기준
6.4.1.2. 관형사의 종류
6.4.1.3. 관형사의 배열
6.4.1.4. 중세어의 관형사
6.4.1.5. 관형사의 유형론
6.4.2. 부사
6.4.2.1. 부사의 확립 기준
6.4.2.2. 부사의 종류
6.4.2.3. 중세어 및 고대어
6.4.2.4. 부사의 유형론
6.5. 형식사 형태부 4
6.5.1. 계사
6.5.2. 후치사
6.5.3. 첨사
6.5.3.1. 공통어의 첨사
6.5.3.2. 중세어, 고대어, 방언의 첨사
6.5.3.3. 방언
6.5.4. 격 어미와 첨사와의 상호 통합
6.5.4.1. 공통어
6.5.4.2. 중세어
6.5.5. 형식사의 유형론
6.5.5.1. 계사
6.5.5.2. 첨사와 후치사
6.6. 바깥 범주 형태부 5
6.6.1. 접속사
6.6.1.1. 접속사의 확립 기준
6.6.1.2. 접속사의 종류
6.6.1.3. 중세어의 접속사
6.6.1.4. 접속사의 변화
6.6.1.5. 접속사의 유형론
6.6.2. 간투사
6.6.2.1. 간투사의 확립 기준
6.6.2.2. 간투사의 종류
6.6.2.3. 중세·고대어·방언의 간투사
6.6.2.4. 간투사의 유형론
6.7. 단어 형성부 형태부 6
6.7.1. 들어가기
6.7.2. 단어 형성 체계
6.7.3. 어근과 접사
6.7.3.1. 문제의 제기
6.7.3.2. 어근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6.7.3.3. 접사 체계
6.7.3.4. 접사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A. 접사의 통합 방법
B.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
6.7.4. 파생법
6.7.4.1. 어근 구조체와 접사 구조체의 형태음운론
6.7.4.2. 접두 파생법
6.7.4.3. 접미 파생법
A. 명사 파생법
B. 동작 동사 파생법
C. 상태 동사 파생법
D. 부사 파생법
E. 관형사와 간투사 파생법
F. 제1차적 파생법과 제2차적 파생법
6.7.5. 합성법
6.7.5.1. 통사적 합성법과 비통사적 합성법
6.7.5.2. 어근 구조체 사이에 나타나는 형태음운론
6.7.5.3. 합성법의 갈래
A. 명사 합성법
B. 동작 동사 합성법
C. 상태 동사 합성법
D. 관형사, 부사 합성법
E. 반복 합성법
6.7.6. 파생 합성법
6.7.7. 한자어 형성법
6.7.7.1. 한자어 형성에 있어서의 구성소와 형성소
6.7.7.2. 한자음의 음운 체계와 형태·음운론
6.7.7.3. 한자어의 구성 방식과 운용
6.7.7.4. 한자어 단어 형성법
A. 파생법
B. 합성법
C. 한자 혼종어
6.7.8. 중세어 및 고대어의 단어 형성법과 그 변화
6.7.8.1. 형태음운론
6.7.8.2. 파생법
A. 접두 파생법
B. 접미 파생법
6.7.8.3. 합성법
A. 명사 합성법
B. 동사 합성법
6.7.8.4. 파생 합성법
6.7.8.5. 한자어 형성법
A. 중세어 한자어의 구조
B. 중세어의 혼종어
6.7.8.6. 단어 형성법의 변화
6.7.8.7. 방언과 전문어의 단어 형성법
6.7.9. 단어 형성법의 유형론

Ⅶ. 형태통사부
7.1. 들어가기
7.2. 결어법 형태통사부 1
7.2.1. 문체법과 존비법
7.2.2. 문체법
7.2.2.1. 공통어
A. 문체법 (1)
B. 문체법 (2)
7.2.2.2. 중세어
A. 문체법 (1)
B. 문체법 (2)
7.2.3. 존비법
7.2.3.1. 공통어
A. 4원적 체계
B. 2원적 체계
7.2.3.2. 중세어
A. 3원적 체계
B. 반말
7.2.4. 고대어의 문체법과 존비법
7.2.4.1. 문체법
7.2.4.2. 존비법
7.2.5. 결어법의 변화
7.2.5.1. 문체법의 변화
7.2.5.2. 존비법의 변화
7.2.6. 방언의 결어법 변이
7.2.6.1. 문체법의 변이
7.2.6.2. 존비법의 변이
A. 경주 지역어의 존비법의 실상
B. 고흥 지역어의 존비법의 실상
C. 제주어의 존비법의 실상
7.2.7. 문체법과 존비법 유형론
7.2.7.1. 문체법의 유형론
7.2.7.2. 존비법의 유형론
7.3.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 형태통사부 2
7.3.1. 들어가기
7.3.2. 화자 표시법
7.3.3. 대상 표시법
7.3.4. 고대어의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 그리고 그 변화
7.3.5.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의 유형론
7.3.5.1. 화자 표시법
7.3.5.2. 대상 표시법
7.4. 시상법 형태통사부 3
7.4.1. 들어가기
7.4.2. 공통어의 시상법
7.4.2.1. 서법
A. 기본 서법
B. 부차 서법
7.4.2.2. 시제
A. 현재 시제
B. 과거 시제
C. 미래 시제
7.4.2.3. 동작상
A. 완료상
B. 진행상
7.4.3. 중세어의 서법과 동작상
7.4.3.1. 서법
A. 기본 서법
B. 부차 서법
7.4.3.2. 동작상
A. 완료상
B. 진행상
7.4.4. 고대어의 시상법과 그 변화
7.4.4.1. 고대어의 시상법
7.4.4.2. 시상법의 변화
A. 기본 서법의 변화와 현재 시제형의 형성
B. 부차 서법의 변화
C. 동작상의 기능 변화
7.4.5. 방언의 시상법과 그 변이
7.4.5.1. 육지어의 시상법
7.4.5.2. 제주어의 시상법
7.4.6. 시상법의 유형론
7.5. 공대법 형태통사부 4
7.5.1. 존경법
7.5.1.1. 공통어
7.5.1.2. 중세어
7.5.1.3. 고대어의 존경법과 그 변화
7.5.1.4. 방언
7.5.2. 겸손법
7.5.2.1. 공통어
7.5.2.2. 중세어
7.5.2.3. 고대어의 겸손법과 그 변화
7.5.2.4. 방언
7.5.3. 공대법의 유형론
7.6. 격 표지와 후치사류의 격 기능 형태통사부 5
7.6.1. 들어가기
7.6.2. 구조격
7.6.2.1. 주격
A. 단일형
B. 중출형
7.6.2.2. 대격
A. 단일형
B. 중출형
7.6.2.3. 속격
A. 단일형
B. 중출형
7.6.2.4. 접속격
7.6.2.5. 부정격
7.6.3. 의미격
7.6.3.1. 처격
7.6.3.2. 조격
7.6.3.3. 공격
7.6.4. 특수격과 독립격
7.6.4.1. 주제격
7.6.4.2. 호격
7.6.5. 후치사류의 격 기능과 격 교체 및 격 중첩 현상
7.6.5.1. 후치사류의 격 기능
7.6.5.2. 격 어미의 교체
7.6.5.3. 이중 곡용
7.6.6. 중세어 및 고대어, 방언에 나타나는 격의 기능적 특수성과 그 변화
7.6.6.1. 중세어의 격 어미와 후치사류의 기능적 특수성
A. 구조격
B. 부정격
C. 의미격
D. 특수격과 독립격
E. 후치사류의 격 기능과 격 어미 교체
F. 이중 곡용
7.6.6.2. 고대어와 방언에 나타나는 격 표지의 특징과 변화
7.6.6.3. 격 어미류와 후치사의 유형론

Ⅷ. 통사부
8.1. 통사부와 통사 단위
8.2. 기본 문형
8.2.1. 기본 문형의 책정과 그 운용
8.2.2. 중세 및 고대어의 기본 문형의 특수성
8.2.3. 통사 구조와 운율 구조의 상관성
8.3. 문장 성분론
8.3.1. 성분 체계
8.3.2. 성분 각론
8.3.2.1. 필수 성분 (첫째 묶음)
8.3.2.2. 필수 성분 (둘째 묶음)
8.3.2.3. 수의 성분 (부가어)
8.3.2.4. 독립 성분
8.4. 중세 및 고대어의 성분 체계와 그 변화
8.4.1. 중세어의 성분 체계
8.4.1.1. 필수 성분 (첫째 묶음)
8.4.1.2. 필수 성분 (둘째 묶음)
8.4.1.3. 수의 성분
8.4.1.4. 독립 성분
8.4.2. 고대어 및 방언의 성분 체계
8.4.2.1. 고대어의 성분 체계
8.4.2.2. 방언의 성분 체계
8.5. 어순
8.5.1. 자유 어순과 그 한계
8.5.2. 바른 어순
8.5.3. 바뀐 어순
8.5.4. 중세 및 고대어의 어순과 그 변화
8.5.5. 어순 유형론
8.6. 기본 문형의 운용에 따르는 각종 구문
8.6.1. 태
8.6.1.1. 사동문
8.6.1.2. 피동문
8.6.1.3. 능격문
8.6.1.4. 피동법의 변화와 방언의 변이 양상
8.6.1.5. 사동문, 피동문, 능격문의 유형론
8.6.2. 부정문
8.6.2.1. 부정의 정의
8.6.2.2. 부정문의 갈래
8.6.2.3. 부정의 범위와 중의성
8.6.2.4. 부정법의 통시태와 방언의 부정법의 실현 양상
8.6.2.5. 부정문의 유형론
8.6.3. 형식사 구문
8.6.3.1. 계사문과 명사문
8.6.3.2. 후치사 구문
8.6.3.3. 중세어의 형식사 구문과 그 변화
8.6.3.4. 방언의 형식사 구문
8.6.3.5. 형식사 구문의 유형론
8.6.4. 심리 동사 구문
8.6.4.1. 심리 동사 구문과 회상법
8.6.4.2. 심리 동사의 동작류
8.6.4.3. 중세어의 심리 동사와 그 변화, 그리고 방언의 심리 동사
8.6.4.4. 방언의 심리 동사 구문
8.6.4.5. 심리 동사 구문의 유형론
8.6.5. 수량어 구문
8.6.5.1. 수량어 구문의 갈래
8.6.5.2. 복수 구문
8.6.5.3. 격 어미와 수량어
8.6.5.4. 수량어 구문의 유형론
8.6.6. 미정어 구문
8.6.6.1. 미지 미정어 구문
8.6.6.2. 부정 미정어 구문
8.6.6.3. 미지·부정어 공용 구문
8.6.6.4. 중세 및 방언의 미지어 구문
8.6.6.5. 미정어 구문 유형론
8.6.7. 분열 구문
8.6.7.1. 분열 구문의 성립
8.6.7.2. 분열문의 갈래와 실현 양상
8.6.7.3. 중세어의 분열문
8.6.7.4. 분열 구문의 유형론
8.6.8. 비교 구문
8.6.8.1. 비교 구문의 성립
8.6.8.2. 중세어의 비교 구문
8.6.8.3. 비교 구문의 역사적 변화와 지역적 변이
8.6.8.4. 비교 구문의 유형론
8.6.9. 공격 구문
8.6.9.1. 동류 구문
8.6.9.2. 동반 구문과 대칭 구문
8.6.9.3. 상호 구문과 대칭 구문
8.6.9.4. 경쟁 구문과 대칭 구문
8.6.10. 의존 구문, 연속 동사 구문, 경동사 구문
8.6.10.1. 의존 구문
A. 의존 명사 구문
B. 의존 동사 구문
8.6.10.2. 연속 동사 구문
A. 연속 동사 구문의 성립
B. 연속 동사 구문의 유형
C. 중세어의 연속 동사 구문
D. 연속 동사 구문의 유형론
8.6.10.3. 경동사 구문
A. 경동사 구문의 성립
B. 경동사 구문의 유형
C. 중세 및 고대어의 경동사 구문
D. 경동사 구문의 유형론
8.6.11. 소절
8.6.11.1. 소절의 성립
8.6.11.2. 중세어의 소절
8.6.11.3. 소절 유형론
8.6.12. 동격 구문
8.6.12.1. 동격 구문의 성립
8.6.12.2. 중세어의 동격 구문
8.6.12.3. 동격 구문의 유형론
8.7. 문장의 배합
8.7.1. 내포소에 의한 문장의 배합
8.7.1.1. 명사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1.2. 수식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1.3. 동사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1.4. 한정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2. 접속에 의한 문장의 배합
8.7.2.1. 대등 접속소
A. 문장 접속소
B. 단어 접속소
8.7.2.2. 종속 접속소
A. 접속 부동사 어미
B. 의존 명사 및 기능 명사에 의한 통합체
C. 명사적 동명사 어미와 격 어미에 의한 통합체
D. 종결 첨사
8.7.2.3. 명사구와 동사구 접속
8.7.2.4. 문장의 배합에 따르는 통사 기제
8.7.3. 중세어와 고대어의 문장 배합과 그 변화
8.7.3.1. 중세어의 문장 배합
8.7.3.2. 고대어의 문장 배합
8.7.3.3. 문장 배합과 명사구 접속의 질서 변화
A. 문장 배합의 질서 변화
B. 명사구 접속의 질서 변화
8.7.4. 방언의 문장 배합
8.7.5. 문장 배합의 유형론

Ⅸ. 통보화용부와 텍스트 형성부
9.1. 사태, 화자 및 화자의 태도
9.1.1. 말, 일, 마음
9.1.2. 문장, 텍스트, 담화
9.2. 텍스트의 형성 기제
9.2.1. 공통어
9.2.2. 중세어 및 고대어, 방언
9.2.3. 텍스트 형성의 유형론
9.3. 대화의 형성 기제
9.3.1. 대화의 구조
9.3.2. 중세어와 고대어의 대화
9.3.3. 방언의 대화
9.3.4. 대화 유형론
9.4. 주제와 초점
9.4.1. 주제어와 대제어
9.4.2. 첨사와 초점
9.4.2.1. 첨사와 자매 항목
9.4.2.2. 문장 가운데의 첨사와 담화 표지
9.4.2.3. 문장 끝 첨사와 정감성
9.4.3. 격 어미, 첨사와 의존 동사의 초점
9.4.3.1. 격 어미와 초점
9.4.3.2. 첨사의 초점
9.4.3.3. 의존 동사의 초점
9.4.3.4. 주제와 첨사의 유형론
9.4.4. 격 어미·첨사 통합형과 첨사 통합형의 의미론
9.4.4.1. 격 어미와 첨사의 통합
9.4.4.2. 첨사끼리의 통합
9.4.4.3. 중세 및 고대어와 방언의 첨사 통합형의 의미론
9.5. 서사 시상법의 공시태와 통시태
9.5.1. 서사 시상법의 공시태
9.5.2. 중세어의 서사 시상법과 그 변화
9.5.3. 고대 및 민담의 서사 시상법
9.6. 한국시의 문법과 어순의 특이성
9.6.1. 고려 가요의 문법
9.6.2. 고시조의 문법
9.6.3. 당대시의 문법

Synopsis: 우리말 (Korean), 독일어 (German), 영어 (English)
참고 논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