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4925466
- ISBN
- 9788930317900 93700 : \70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 요약문언어 - eng ger
- DDC
- 411.5 -22
- 청구기호
- 715 고64ㅇ
- 저자명
- 고영근((高永根)) , 1936-
- 서명/저자
-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 고영근 저.
- 발행사항
- 서울 : 집문당, 2018.
- 형태사항
- xiii,933 p. : 삽화 ; 26 cm.
- 주기사항
- 설명적 각주 수록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및 참고논저(p. 823-883)와 색인(p. 886-932) 수록
- 기금정보
- 한국연구재단 저술연구비 (2013~2016)로 저술되었음(과제번호: 2013S1A6A4014447)
- 일반주제명
- 한국어 문법[韓國語文法]
- 원문파일
- 원문보기
- Control Number
- kpcl:229743
- 책소개
-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이 책은 서울 중심의 현대 표준 공통어의 문법 현상을 주축으로 하되 문헌어 및 방언의 문법 현상과 통합하는 총체 서술의 방법을 취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통 구어는 물론, 평양 중심의 북한의 문화어와 재외 교민의 우리말의 문법 현상도 통합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방언에는 구비 설화의 문법 현상도 포함하였다. 이곳의 재외 교민이라 함은 주로 중국의 동북 삼성 및 옛 소련 지역의 연해주와 카자흐 등 중앙 아시아의 교민들을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통속적으로는 “우리말”로 대표되는 “전 민족어”의 문법을 대상으로 하되 이웃 언어나 기타 외국어와 비교하는 유형론적 관점을 바닥에 깔았다. 문법 체계는 문법의 가장 핵심 부문인 형태부와 형태통사부는 물론, 자소부 및 음성부와 통보화용부를 문법 체계 안에 통합 (統合, integration)하였다. 본인이 이러한 문법 체계를 세우기까지는 원칙적으로 독일어 사용 지역에서 발전한 문법 이론, 이를테면 자소론, 자연성 이론, 결합가 이론, 텍스트 이론, 언어 유형론을 바닥에 깔았다. 이렇게 우리말 문법의 제 현상을 위에서 언급한 문법 체계의 틀 속에 통합·서술한 결과, 시간과 공간 (계층과 상황도 포함)에 따른 변이 양상도 한 그릇에 담을 수 있었고 우리말 문법의 유형적 특징도 선명히 드러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