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바보 어른으로 성장하기 : 부조리한 사회에서 생존한다는 것
바보 어른으로 성장하기 : 부조리한 사회에서 생존한다는 것
- 자료유형
- 단행본
- 190627045618
- ISBN
- 9788967354572 03300 : \21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KDC
- 331.234-5
- 청구기호
- 331.234 G653ㅂ
- 저자명
- Goodman, Paul
- 서명/저자
- 바보 어른으로 성장하기 : 부조리한 사회에서 생존한다는 것 / 폴 굿맨 지음 ; 한미선 옮김
- 발행사항
- 파주 : 글항아리, 2017
- 형태사항
- 470 p ; 22 cm
- 서지주기
-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무기력한 청년들의 문제가 과연 그들만의 문제일까?미국 사회의 황폐화된 정신을 고발하는 보고서 『바보 어른으로 성장하기』. 미국의 저명한 작가이자 비평가인 폴 굿맨은 몇몇 젊은이와 대화를 나누던 중 “하고 싶은 일이 하나도 없다”며 자기 존재를 낭비로 여기는 것을 보고 사회에 대한 실망감을 억누르지 못해 이 책을 써내려갔다. 1960년에 초판이 출간된 이 책은 신좌파의 고전이 되었고 현재까지도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고 있다. 고상한 목표, 노력, 가치 있는 업적을 이룰 잠재력을 지닌 아이들은 쓸모없고 냉소적인 동물이 되거나 아니면 시스템에 갇혀 체념하는 삶을 산다. 이것은 1960년대 미국이나 오늘날의 한국이나 마찬가지다. 한국에서 청년들은 생존을 위해 ‘이번 생은 망했어요’라는 식의 무기력을 전략으로 택한다. 이 경우 사회화되지 못하고 사회 밖으로 밀려난 이들이 문제일까. 과연 이 사회는 소속감을 가지고 사회화할 만한 가치가 있을까? 이것이 폴 굿맨이 의문을 품으며 화살을 거꾸로 되돌린 질문이다. 마치 사회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듯 살아가는 성인들을 향해 쓴소리를 주저하지 않았던 저자는 직설화법으로 실명까지 거론하며 미국 사회를 해부했다. 저자가 진단한 미국 사회는 ‘완전히 폐쇄된 방’이었다. 쥐 경주에서 앞서거나 뒤처지든, 애초에 경주에 참가하는 것을 포기하든 부조리한 사회는 젊은이를 바보로 성장하게끔 만들고 있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달리 개개인은 제 손으로 할 줄 아는 게 없고 시스템 속에서 목표라곤 돈 버는 일밖에 없는 바보가 되어가고, 사회의 부는 팽창하고 중산층은 확대되는 듯 보이지만 평균 수준의 삶을 영위하지 못하는 이들은 사회 밖으로 밀려나 눈에 띄지 않는 존재가 되었다고 말한다.저자는 풍요롭지만 부조리한, 사람이 낭비가 되는 사회, 견고한 듯 보이는 이 시스템이 사실상 인간 본성에 어울리지 않는 건 아닌지 반문한다. 저자는 개인의 성장 없이도 분주하게 돌아가는 여러 사회 문제 가운데 교육과 학교 개혁에 집중했다. 이 사회가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사회 구성원 역시 무감각해져 문제를 직시하지 못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연결고리는 교육이라고 본 것이다. 특히 교육이 어린아이들을 기존의 사회적 역할에 적응시키고 역할놀이에 순응하게 하려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고 비판하며, 내가 살고 있는 사회는 내 것이다라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 기타저자
- 한미선
- 기타서명
- 부조리한 사회에서 생존한다는 것
- 기타저자
- 굿맨, 폴
- 가격
- \21,000
- Control Number
- kpcl:227113
- 책소개
-
무기력한 청년들의 문제가 과연 그들만의 문제일까?
미국 사회의 황폐화된 정신을 고발하는 보고서 『바보 어른으로 성장하기』. 미국의 저명한 작가이자 비평가인 폴 굿맨은 몇몇 젊은이와 대화를 나누던 중 “하고 싶은 일이 하나도 없다”며 자기 존재를 낭비로 여기는 것을 보고 사회에 대한 실망감을 억누르지 못해 이 책을 써내려갔다. 1960년에 초판이 출간된 이 책은 신좌파의 고전이 되었고 현재까지도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고 있다.
고상한 목표, 노력, 가치 있는 업적을 이룰 잠재력을 지닌 아이들은 쓸모없고 냉소적인 동물이 되거나 아니면 시스템에 갇혀 체념하는 삶을 산다. 이것은 1960년대 미국이나 오늘날의 한국이나 마찬가지다. 한국에서 청년들은 생존을 위해 ‘이번 생은 망했어요’라는 식의 무기력을 전략으로 택한다. 이 경우 사회화되지 못하고 사회 밖으로 밀려난 이들이 문제일까. 과연 이 사회는 소속감을 가지고 사회화할 만한 가치가 있을까? 이것이 폴 굿맨이 의문을 품으며 화살을 거꾸로 되돌린 질문이다.
마치 사회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듯 살아가는 성인들을 향해 쓴소리를 주저하지 않았던 저자는 직설화법으로 실명까지 거론하며 미국 사회를 해부했다. 저자가 진단한 미국 사회는 ‘완전히 폐쇄된 방’이었다. 쥐 경주에서 앞서거나 뒤처지든, 애초에 경주에 참가하는 것을 포기하든 부조리한 사회는 젊은이를 바보로 성장하게끔 만들고 있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달리 개개인은 제 손으로 할 줄 아는 게 없고 시스템 속에서 목표라곤 돈 버는 일밖에 없는 바보가 되어가고, 사회의 부는 팽창하고 중산층은 확대되는 듯 보이지만 평균 수준의 삶을 영위하지 못하는 이들은 사회 밖으로 밀려나 눈에 띄지 않는 존재가 되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풍요롭지만 부조리한, 사람이 낭비가 되는 사회, 견고한 듯 보이는 이 시스템이 사실상 인간 본성에 어울리지 않는 건 아닌지 반문한다. 저자는 개인의 성장 없이도 분주하게 돌아가는 여러 사회 문제 가운데 교육과 학교 개혁에 집중했다. 이 사회가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사회 구성원 역시 무감각해져 문제를 직시하지 못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연결고리는 교육이라고 본 것이다. 특히 교육이 어린아이들을 기존의 사회적 역할에 적응시키고 역할놀이에 순응하게 하려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고 비판하며, 내가 살고 있는 사회는 내 것이다라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