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전쟁과 수복지구
한국전쟁과 수복지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4526700
- ISBN
- 9791156120940 93900 : \35000
- 국립중앙청구기호
- 911.07-17-16
- KDC
- 911.07-6
- DDC
- 951.904-23
- 청구기호
- 911.07 한35ㅎ
- 서명/저자
- 한국전쟁과 수복지구 / 한모니까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푸른역사, 2017
- 형태사항
- 535 p. : 삽화, 도표 ; 23 cm
- 총서명
- 푸른역사 학술총서 ; 16
- 주기사항
- 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464-481)과 색인수록
- 일반주제명
- 한국 전쟁[韓國戰爭]
- 일반주제명
- 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
- 일반주제명
- 수복 지구[收復地區]
- 기타저자
- 한모니까 , 1973-
- 통일총서명
- 푸른역사 학술총서 ; 16
- 원문파일
- 원문보기
- Control Number
- kpcl:224525
- 책소개
-
수복지구의 체제 전환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적 역학관계, 남북관계, 남북한 국가와 민의 관계라는 세 층위의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진행되었다. 이는 한반도의 분단극복이 이 세 층위 모두에 대한 매듭을 푸는 과정이자 결과가 될 것임을 의미한다. 『한국전쟁과 수복지구』의 저자는 수복지구의 역사가 미래의 통일과정과 이후에 대한 많은 귀중하고도 실질적인 교훈을 준다고 말한다. 수복지구가 남북한 양 체제 경험은 물론 북한체제에서 남한체제로 편입된 복수의 역사경험이 축적된 지역이기 때문이다. 분단 극복 및 통일은 남북한체제의 변동을 수반할 것이다. 그것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분야에 걸쳐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며, 많은 갈등을 새로이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남북한 두 체제가 만나 일정한 전환과 통합을 이룰 때를 대비한 체계적이고 세밀한 준비가 절실하다. 바로 이 책은 그 준비를 수복지구라는 우리의 역사를 살피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MARC
008181205s2017 ulkad 001c kor■001000014526700
■00520181205034839
■007ta
■020 ▼a9791156120940▼g93900▼c\35000
■035 ▼a(KERIS)BIB000014526700
■05201▼a911.07▼b17-16
■056 ▼a911.07▼26
■082 ▼a951.904▼223
■090 ▼a911.07▼b한35ㅎ
■24500▼a한국전쟁과 수복지구▼d한모니까 지음
■260 ▼a서울▼b푸른역사▼c2017
■300 ▼a535 p. ▼b삽화, 도표▼c23 cm
■49010▼a푸른역사 학술총서▼v16
■50000▼a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504 ▼a참고문헌(p. 464-481)과 색인수록
■650 7▼a한국 전쟁[韓國戰爭]▼2NLSH
■650 7▼a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2NLSH
■650 7▼a수복 지구[收復地區]▼2NLSH
■7001 ▼a한모니까▼d1973-▼0KAC201718266
■830 0▼a푸른역사 학술총서▼v16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526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