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譯註) 韓詩外傳. 2
(譯註) 韓詩外傳. 2 / 著者: 韓嬰  ; 책임번역: 許敬震  ; 공동번역: 具智賢 ; 徐賢卿
(譯註) 韓詩外傳. 2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0053397622
ISBN  
9791157942749 (1) 94140 : \29000
ISBN  
9788985395717 (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chi
국립중앙청구기호  
821.2-21-1-2
KDC  
821.2-6
DDC  
820.8-23
청구기호  
820.8 한64ㅎ
서명/저자  
(譯註) 韓詩外傳. 2 / 著者: 韓嬰 ; 책임번역: 許敬震 ; 공동번역: 具智賢 ; 徐賢卿
발행사항  
서울 : 전통문화연구회, 2020
형태사항  
348 p. : 삽화, 초상 ; 26 cm
총서명  
東洋古典譯註叢書 ; 136
주기사항  
원저자명: 韓嬰
주기사항  
권말부록: <韓詩外傳1> 圖版目錄 ; <韓詩外傳1> 總目次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원저자/원서명  
韓詩外傳
기금정보  
2020년도 교육부 고전문헌 국역지원사업 지원비에 의해 초판 간행
일반주제명  
시경[詩經]
통일총서명  
동양고전역주총서 ; 136
Control Number  
kpcl:233210
책소개  
≪한시외전(韓詩外傳≫은 서한(西漢)시대 초기(初期)에 연(燕)지역의 학자인 한영(韓?) (?~?)이 남긴 저술로, 고사(古事)를 소개하는 방식을 취하며, 주로 ≪시경(詩經)≫ 등의 구절을 말미에 인용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형식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시경≫ 학습방법을 따라 주자(朱子)에 의해 정리된 ≪시경≫을 위주로 하여 배운 고전적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모시(毛詩)≫만 해도 대단한 고형(古形)의 텍스트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 ≪한시외전≫은 ≪모시≫보다도 더 이전에 융성했던 ≪노시(魯詩)≫, ≪제시(齊詩)≫, ≪한시(韓詩)≫의 존재를 증거하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시경≫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서 이를 숙지할 필요와 가치가 있다. 특히, 이는 ≪모시≫의 구절에서 특정 시어를 왜 다른 글자로 읽어도 무방한지 그 이유를 해명해 주거나, 특정 구절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기도 한다.
물론 ≪노시≫, ≪제시≫, ≪한시≫는 오래전에 일실되어 그 전모를 알 수는 없다. 하지만 그 구절구절의 자투리는 여러 곳에 남아 전하고 있어서, 청나라 말기 왕선겸(王先謙) (1842~1917)은 이를 모으고 정리하여 ≪시삼가의집소(詩三家義集疏)≫같은 명저를 남기기까지 했다. 이 책 역시 낙수(落穗)를 모은 것이라 여러모로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시경≫과 관련한 풍부한 자료를 남기고 있는 ≪한시외전≫은 자료적 측면에서도 매우 각별하여, ≪시경≫이해를 둘러싼 이러한 사정에 요긴한 보탬이 된다.

조선의 문인들도 탐독했던 한시외전(韓詩外傳)
우리 선조들이 많이 읽었던 동양고전으로서의 면모를 살피는데 있어 가장 인상적인 것은 정조(正祖)가 경연(經筵)에서 ≪한시외전≫을 ≪시경≫ 이해의 학술적인 근거로 다루려는 시도를 보인 점이다. 그 이전의 ≪한시외전≫ 독서는 풍부한 교양을 위한 독서에서 그쳤지만, 정조는 이를 뛰어넘어 ≪시전≫이나 ≪모시≫ 이전의 자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는 안목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물론 교양의 토대로서의 ≪한시외전≫ 독서열풍도 인상적이지 않은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 문인들 가운데 서거정, 김종직, 이행, 유희춘, 김성일, 유몽인, 권필, 이정구, 신흠, 차천로, 허목, 김세렴, 윤휴, 이익, 박지원, 정약용, 이상정, 이유원, 이만도 등도 ≪한시외전≫ 구절을 시문에 가져다 썼으며, 허목, 김세렴, 이익, 한치윤, 이유원 등은 문헌고증(文獻考證)에 ≪한시외전≫ 구절을 자주 인용하였다.
이익은 ≪성호전집(星湖全集)ㆍ정역발(訂易跋)≫에서 홍중징이 지은 ≪정역(訂易)≫이 “규모(規模)는 ≪한시외전≫을 본받았고 정채(精彩)는 주자(朱子)의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를 본받았으니, 역(易)을 배우는 학자가 어찌 이 한 수를 하찮게 여길 수 있겠는가.”라고 칭찬하면서 ≪한시외전≫을 주자의 ≪의례경전통해≫와 같은 반열에서 논하며 칭송의 근거로 내세웠다.

MARC

 008210625i2020matiulkblock                        kor
■001000053397622
■00520210625111311
■007ta
■008        210423s2020        ulkac                  000  p  kor    
■020    ▼a9791157942749  (1)▼g94140▼c\29000
■020    ▼a9788985395717  (세트)
■035    ▼a(KERIS)REQ000053397622
■0411  ▼akor▼hchi
■05201▼a821.2▼b21-1▼c2
■056    ▼a821.2▼26
■082    ▼a820.8▼223
■090    ▼a820.8▼b한64ㅎ
■24520▼a(譯註)  韓詩外傳▼n2▼d著者:  韓嬰  ▼e책임번역:  許敬震  ▼e공동번역:  具智賢▼e徐賢卿
■260    ▼a서울▼b전통문화연구회▼c2020
■300    ▼a348  p.  ▼b삽화,  초상▼c26  cm
■49010▼a東洋古典譯註叢書▼v136
■50000▼a원저자명:  韓嬰
■50000▼a권말부록:  韓詩外傳1  圖版目錄  ;  韓詩外傳1  總目次
■504    ▼a참고문헌  수록
■50710▼t韓詩外傳
■536    ▼a2020년도  교육부  고전문헌  국역지원사업  지원비에  의해  초판  간행
■546    ▼a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8▼a시경[詩經]▼2NLSH▼0KSH2000035543
■830  0▼a동양고전역주총서▼v136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lle info

    • Reserva
    • No existe
    • 도서대출신청
    • Mi carpeta
    Material
    número de libro número de llamada Ubicación estado Prestar info
    EM128111 820.8 한64ㅎ v.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Las reservas están disponibles en el libro de préstamos. Para hacer reservaciones, haga clic en el botón de reserva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