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중경서 독법 강해
중경서 독법 강해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5394182
- ISBN
- 9788930318150 93510 : \60,000P
- KDC
- 519-6
- DDC
- 610.951-21
- 청구기호
- 519 이92ㅈ
- 저자명
- 이한영
- 서명/저자
- 중경서 독법 강해 / 이한영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집문당, 2019
- 형태사항
- xiv, 433 p. ; 27 cm
- 주기사항
- 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임
- 주기사항
- 감수: 서광진, 교정: 방철호
- 주기사항
- 한자표제 仲景書 讀法 講解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424-426)과 색인(p. 427-433) 수록
- 기타저자
- 서광진
- 기타저자
- 방철호
- 가격
- \60000
- Control Number
- kpcl:232689
- 책소개
-
상한론을 가장 이해하기 좋은 방법은 상한론이 만들어지고 사용된 그 시대로 되돌아가서 의미와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지만, 이것은 너무나 불가능한 일이기에 현재로서는 사용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상한론이 만들어진 당시의 시대 상황과 문자의 의미 등을 분석하여 지금 이 시대에 맞도록 재해석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저자는 중경서의 실증주의에 기본을 두면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황제내경』 의 신비주의적 경향을 비판하였고, 한의학의 기본 이론인 음양오행과 오행 속성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여, 아무런 비판 없이 당연시해오던 한의학의 기본적인 교육이념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또 임상에서 많이 언급되는 육경과 관련하여 상한론의 육경과 경락에서 응용되는 육경의 차이점을 언급하였고, 증상과 증상의 원인인 병인 관계를 함축한 증후에 대하여 장중경이 전하고자 한 의미를 우리에게 질문하면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대 관점의 자연현상인 수.화.기 3요소와 관련하여 그 일원적 관계를 규명하면서 음양오행론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기혈수론 」,「 한토하론 」,「 감응론 」,「 복압론 」,「 병인론 」 등을 통하여 한의학의 병리론, 진단법, 치법 등의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접근하여 우리가 궁금해 하던 점을 해결해준다.
이제까지 한 방향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은 많았지만, 모든 사람에게 딱 맞는 해설서를 만들기는 사실 어렵다. 그런데 이 책은 여러 방향에서 모든 것을 고려하여 연구한 해설서로서 모자람이 없다. 이 책은 임상한의학에 열정이 있고 고전 상한론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만이 아니라 두고두고 읽고 고민하고 토론해야 할 내용을 담고 있다.
MARC
008210111s2019 ulk b 001 kor■001000015394182
■00520210111032428
■007ta
■020 ▼a9788930318150▼g93510▼c\60,000P
■035 ▼a(KERIS)BIB000015394182
■040 ▼a011001▼c011001▼d221016▼d225007▼a241057
■056 ▼a519▼26
■082 ▼a610.951▼221
■090 ▼a519▼b이92ㅈ
■1001 ▼a이한영
■24510▼a중경서 독법 강해▼d이한영 지음
■260 ▼a서울▼b집문당▼c2019
■300 ▼axiv, 433 p.▼c27 cm
■50000▼a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임
■50000▼a감수: 서광진, 교정: 방철호
■50010▼a한자표제 仲景書 讀法 講解
■504 ▼a참고문헌(p. 424-426)과 색인(p. 427-433) 수록
■653 ▼a한의학▼a중경서
■653 ▼a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7001 ▼a서광진
■7001 ▼a방철호
■9500 ▼b\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