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성인담론과 교육 : 조선후기 교육사상사 시론
성인담론과 교육 : 조선후기 교육사상사 시론 / 정순우 지음
Contents Info
성인담론과 교육 : 조선후기 교육사상사 시론
Material Type  
 단행본
 
0015107001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210106102327
ISBN  
9791163950189 94810
ISBN  
9788976265005 (세트)
KDC  
370.109-6
DDC  
370.109519-22
기타분류  
370.10951-전북대학교 동양전개표
Callnumber  
370.109 정56ㅅ
Title/Author  
성인담론과 교육 : 조선후기 교육사상사 시론 / 정순우 지음
Publish Info  
파주 : 태학사, 2019
Material Info  
365 p. ; 23 cm
Added Entry-Title  
태학총서 ; 51
General Note  
이 책은 2020년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임
General Note  
서지적, 설명적 각주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5-361)과 찾아보기(p. 362-365) 수록
기금정보  
이 책은 2005~2006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단독저수로가제로 수행된 연구 결과임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성인[聖人]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유학[儒學]
Index Term-Uncontrolled  
성인담론 교육 조선후기 교육사상사
Index Term-Uncontrolled  
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Electronic Location and Access  
  원문보기
Price Info  
\20000
Control Number  
kpcl:232545
책소개  
유학의 성인은 과연 누구인가?

유학의 성인은 기독교에서처럼 초월적인 신성(神性)을 지향하는 것도 아니고, 이 세상을 가유(假有)의 세계로 보고 훌쩍 초탈하려는 노불의 성인과도 거리가 멀다. 마치 성(聖)과 속(俗)의 경계에 있는 인물들과 같다.
퇴계와 율곡은 공부를 통해 ‘인간의 마음에 있는 본성(本然之性)’을 되찾아 참된 나를 회복하고 마침내 성인의 세계에 다다를 수 있음을 생동감 있게 제시하였다. 이들은 ‘배움을 통해 성인의 경지에 도달 할 수 있다’라는 송대 이래의 성리학적 명제를 심학(心學) 공부를 통해 아름답게 완성시켰으며, 그들의 후학들이 성현을 향해 내달리도록 격동시켜 주었다. 성인의 원형을 인간의 무욕성(無欲性) 속에서 찾는 송명이학(宋明理學)을 계승하여, 우리의 두 철인은 그 무욕성을 찾는 공부론을 가장 정교하게 체계화하였다. 이 두 철인은 원시유학의 성인론이 띄고 있는 약간은 결정론적이고 정치적인 색채를 극복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127456 370.109 정56ㅅ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