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호적중초와 19세기 후반 제주도 마을의 사회구조
호적중초와 19세기 후반 제주도 마을의 사회구조 / 지은이: 김창민
호적중초와 19세기 후반 제주도 마을의 사회구조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0015599055
ISBN  
9791162445013 93380 : \25000
국립중앙청구기호  
330.911-20-7
KDC  
330.911-6
DDC  
301.095195-23
청구기호  
330.911 김82ㅎ
서명/저자  
호적중초와 19세기 후반 제주도 마을의 사회구조 / 지은이: 김창민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0
형태사항  
311 p. : 삽화, 도표 ; 24 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일반주제명  
사회사(역사)[社會史]
주제명-지명  
제주도[濟州島]
키워드  
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기타저자  
김창민 , 1962-
원문파일  
  원문보기
가격  
\25000
Control Number  
kpcl:232498
책소개  
지금까지 제주도 문화는 민족지적 현재의 관점에서 현지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연구하였다. 장남까지 분가하는 핵가족, 딸에게도 상속하는 상속제도 등 육지부와는 다른 독특한 제주문화는 이런 연구과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런 문화가 언제부터 나타난 것인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필자는 조선 후기의 제주 사회를 분석함으로써 제주문화의 연속과 변화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MARC

 008201231s2020        ulkad                  001c    kor
■001000015599055
■00520201231110249
■007ta
■020    ▼a9791162445013▼g93380▼c\25000
■023    ▼aCIP2020008898
■035    ▼a(KERIS)BIB000015599055
■040    ▼a241057
■043    ▼a49000--
■05201▼a330.911▼b20-7
■056    ▼a330.911▼26
■082    ▼a301.095195▼223
■090    ▼a330.911▼b김82ㅎ
■24500▼a호적중초와  19세기  후반  제주도  마을의  사회구조▼d지은이:  김창민
■260    ▼a서울▼b역락▼c2020
■300    ▼a311  p.  ▼b삽화,  도표▼c24  cm
■504    ▼a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650  8▼a사회사(역사)[社會史]▼2NLSH▼0KSH1998036553
■651  8▼a제주도[濟州島]▼2NLSH▼0KSH2019000497
■653    ▼a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7001  ▼a김창민▼d1962-▼0KAC201520399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5599055
■88000▼aHojeok  jungcho  wa  19  segi  huban  Jejudo  maeul  ui  sahoe  gujo
■9500  ▼b\25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도서대출신청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127390 330.911 김82ㅎ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