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 박한제 지음
コンテンツ情報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자료유형  
 단행본
 
0015387080
ISBN  
9788952120496 94910 : \55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요약문언어 - chi
DDC  
951.015-23
청구기호  
912.03 박92ㅈ
저자명  
박한제
서명/저자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 / 박한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형태사항  
xxii, 709 p. : 삽화, 지도 ; 23 cm
주기사항  
中文摘要: p. 669-689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35-668) 및 찾아보기 (p. 691-709) 수록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일반주제명  
도성(성곽)[都城]
일반주제명  
중국 중세사[中國中世史]
키워드  
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원문파일  
  원문보기
가격  
\55000
Control Number  
kpcl:232480
책소개  
이 책의 핵심 줄거리는 중국의 전통적인 도성 형식에서 유목민족이 중원에 진입하면서 준 영향은 어떤 것인가이다. 저자는 중국 역사상 출현한 도성 가운데 가장 완성적인 형태를 지녔던 수당 장안성이 호한체제적 성격을 지닌 도성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당 장안성의 특징은 첫째, 초대형 성곽도시였고, 둘째, 궁성이 성의 북쪽에 치우친 ‘편북’구조로 금원(禁苑)이 궁성과 연결되어 있어 도성의 일 구역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셋째, 도성 안이 가축의 우리처럼 담벽(墻)으로 구분·분리되어 주민이 가축처럼 일사불란하게 통제되는 방장제(坊墻制)가 실시된 것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진 도성이 출현하게 된 과정과 그 구조가 수행하는 역할을 11편의 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저자는 이러한 도성이 출현하게 된 배경에 유목민족(호족)의 중원진출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개재되어 있다고 보았다. 유목민족이 처한 입장과 독특한 사고가 중원의 전통이 혼합되어 ‘호한체제’적인 독특한 형식의 도성이 출현했다는 것이다. 초대형 도성의 건축은 수많은 사민의 수용을 위한 공간확보가 목적이었으며, 방장제는 적은 인력으로 다수의 (적대적인)주민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장치였고 궁성의 편북과 금원의 존재는 유목 출신 황제의 안위와 군사활동과 연관되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詳細情報

  • 予約
  • ない存在
  • 도서대출신청
  • 私のフォルダ
資料
登録番号 請求記号 場所 ステータス 情報を貸す
EM127380 912.03 박92ㅈ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ご予約は、借入帳でご利用いただけます。予約をするには、予約ボタンをクリックしてください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