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나이듦에 관하여
나이듦에 관하여 / 루이즈 애런슨 지음  ; 최가영 옮김
나이듦에 관하여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200512081851
ISBN  
9791135459146 03330 : \28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KDC  
331.23-5
청구기호  
331.23 A769ㄴ
저자명  
Aronson, Louise
서명/저자  
나이듦에 관하여 / 루이즈 애런슨 지음 ; 최가영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비잉, 2020
형태사항  
843 p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 840-843
원저자/원서명  
Elderhood
초록/해제  
요약: 뉴욕 타임스, 아마존 베스트셀러앤드루 카네기 메달 논픽션 후보월스트리트 저널 선정 2019년 은퇴 및 늙어감에 대한 최고의 책 중 하나한국은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고령인구비율은 2019년 14.9%이다. 1999년에는 6.9%로 사실상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도달했다. 현실은 이렇게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는 노년의 삶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노인의학의 권위자이자 푸시카트 문학상 최종 후보로 네 번이나 오를 만큼 실력 있는 작가인 루이즈 애런슨 교수는 이 책에 자신의 경험과 미국의 노인의학의 발전사를 토대로 현대를 살아가는 노년의 삶을 담았다. 오늘날 사회를 보면 노령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난 만큼 노인환자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눈부시게 발전한 의학이 인류 수명을 늘려주었지만 그 안에는 어둠도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저자는 노인으로 산다는 것, 바람직하고 행복한 노년의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말하고자 한다. 저자는 오늘날 사회가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사지가 멀쩡한 왕년의 유명인사도 늙으면 결국 평범한 동네 할아버지가 되기 십상”이라 표현하며 그보다 더 어려운 처지에 있는 이들은 우리 사회에서 소외 받는 ‘투명인간’이 되는 비극적인 사실을 알려준다. 이러한 처지에 놓인 노인은 얼마나 두렵겠는가. 저자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그들이 받는 차별적 대우를 자신이 실제 담당한 환자들의 사례와 노인의학 발전사 속의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의학에서도 노인들은 소외 받는다. 나이를 먹을수록 맞춤의학을 원하는 이들이 많아지지만 정작 현재의 의료 시스템에서는 누군가의 건강, 복지, 생활 유지, 보호에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Care) 것보다 단순히 질병과 치료법에만 집중한다. 그러다보니 나이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는커녕 천편일률적인 처방이 이루어진다. 임상 실험 결과에서 매우 효능 좋은 신약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이 약은 노인들에게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임상 실험 결과에서 노인들은 배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현대 의학이 가져온 커다란 혜택만큼 반대급부로 나타난 어둠에 대해 여러 실증 사례와 자료를 통해 알려준다. 우리는 나이 들어 갈 것이다. 그리고 반평생을 자비의 결정체인 듯 보이다가도 돌연 독선의 끝판왕이 되는 양면적인 현대 의학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 행복한 노년의 삶을 살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개인과 사회 양쪽으로 이러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키워드  
나이듦 노년
기타저자  
최가영
기타저자  
애런슨, 루이즈
가격  
\28,000
Control Number  
kpcl:231659
책소개  
뉴욕 타임스, 아마존 베스트셀러
앤드루 카네기 메달 논픽션 후보
월스트리트 저널 선정 2019년 은퇴 및 늙어감에 대한 최고의 책 중 하나

한국은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고령인구비율은 2019년 14.9%이다. 1999년에는 6.9%로 사실상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도달했다. 현실은 이렇게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는 노년의 삶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노인의학의 권위자이자 푸시카트 문학상 최종 후보로 네 번이나 오를 만큼 실력 있는 작가인 루이즈 애런슨 교수는 이 책에 자신의 경험과 미국의 노인의학의 발전사를 토대로 현대를 살아가는 노년의 삶을 담았다. 오늘날 사회를 보면 노령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난 만큼 노인환자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눈부시게 발전한 의학이 인류 수명을 늘려주었지만 그 안에는 어둠도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저자는 노인으로 산다는 것, 바람직하고 행복한 노년의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말하고자 한다.

저자는 오늘날 사회가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사지가 멀쩡한 왕년의 유명인사도 늙으면 결국 평범한 동네 할아버지가 되기 십상”이라 표현하며 그보다 더 어려운 처지에 있는 이들은 우리 사회에서 소외 받는 ‘투명인간’이 되는 비극적인 사실을 알려준다. 이러한 처지에 놓인 노인은 얼마나 두렵겠는가. 저자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그들이 받는 차별적 대우를 자신이 실제 담당한 환자들의 사례와 노인의학 발전사 속의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의학에서도 노인들은 소외 받는다. 나이를 먹을수록 맞춤의학을 원하는 이들이 많아지지만 정작 현재의 의료 시스템에서는 누군가의 건강, 복지, 생활 유지, 보호에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Care) 것보다 단순히 질병과 치료법에만 집중한다. 그러다보니 나이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는커녕 천편일률적인 처방이 이루어진다. 임상 실험 결과에서 매우 효능 좋은 신약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이 약은 노인들에게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임상 실험 결과에서 노인들은 배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현대 의학이 가져온 커다란 혜택만큼 반대급부로 나타난 어둠에 대해 여러 실증 사례와 자료를 통해 알려준다.

우리는 나이 들어 갈 것이다. 그리고 반평생을 자비의 결정체인 듯 보이다가도 돌연 독선의 끝판왕이 되는 양면적인 현대 의학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 행복한 노년의 삶을 살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개인과 사회 양쪽으로 이러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MARC

 008200512s2020        ulk            b        000c    kor
■00120200512081851
■00520200512081047
■007ta
■020    ▼a9791135459146▼g03330▼c\28000
■040    ▼a241057
■0411  ▼akor▼heng
■056    ▼a331.23▼25
■090    ▼a331.23▼bA769ㄴ
■1001  ▼aAronson,  Louise
■24510▼a나이듦에  관하여▼d루이즈  애런슨  지음  ▼e최가영  옮김
■260    ▼a서울▼b비잉▼c2020
■300    ▼a843  p▼c23  cm
■504    ▼a참고문헌:  p.  840-843
■50710▼tElderhood
■520    ▼a뉴욕  타임스,  아마존  베스트셀러앤드루  카네기  메달  논픽션  후보월스트리트  저널  선정  2019년  은퇴  및  늙어감에  대한  최고의  책  중  하나한국은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고령인구비율은  2019년  14.9%이다.  1999년에는  6.9%로  사실상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도달했다.  현실은  이렇게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는  노년의  삶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노인의학의  권위자이자  푸시카트  문학상  최종  후보로  네  번이나  오를  만큼  실력  있는  작가인  루이즈  애런슨  교수는  이  책에  자신의  경험과  미국의  노인의학의  발전사를  토대로  현대를  살아가는  노년의  삶을  담았다.  오늘날  사회를  보면  노령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난  만큼  노인환자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눈부시게  발전한  의학이  인류  수명을  늘려주었지만  그  안에는  어둠도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저자는  노인으로  산다는  것,  바람직하고  행복한  노년의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말하고자  한다.  저자는  오늘날  사회가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사지가  멀쩡한  왕년의  유명인사도  늙으면  결국  평범한  동네  할아버지가  되기  십상”이라  표현하며  그보다  더  어려운  처지에  있는  이들은  우리  사회에서  소외  받는  ‘투명인간’이  되는  비극적인  사실을  알려준다.  이러한  처지에  놓인  노인은  얼마나  두렵겠는가.  저자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그들이  받는  차별적  대우를  자신이  실제  담당한  환자들의  사례와  노인의학  발전사  속의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의학에서도  노인들은  소외  받는다.  나이를  먹을수록  맞춤의학을  원하는  이들이  많아지지만  정작  현재의  의료  시스템에서는  누군가의  건강,  복지,  생활  유지,  보호에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Care)  것보다  단순히  질병과  치료법에만  집중한다.  그러다보니  나이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는커녕  천편일률적인  처방이  이루어진다.  임상  실험  결과에서  매우  효능  좋은  신약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이  약은  노인들에게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임상  실험  결과에서  노인들은  배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현대  의학이  가져온  커다란  혜택만큼  반대급부로  나타난  어둠에  대해  여러  실증  사례와  자료를  통해  알려준다.  우리는  나이  들어  갈  것이다.  그리고  반평생을  자비의  결정체인  듯  보이다가도  돌연  독선의  끝판왕이  되는  양면적인  현대  의학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  행복한  노년의  삶을  살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개인과  사회  양쪽으로  이러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546    ▼a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3    ▼a나이듦▼a노년
■7001  ▼a최가영
■90010▼a애런슨,  루이즈
■9500  ▼b\28,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詳細情報

    • 予約
    • ない存在
    • 도서대출신청
    • 私のフォルダ
    資料
    登録番号 請求記号 場所 ステータス 情報を貸す
    EM126545 331.23 A769ㄴ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ご予約は、借入帳でご利用いただけます。予約をするには、予約ボタンをクリックしてください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