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위하여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위하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200317074347
- ISBN
- 9791186809662 03300 : \13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KDC
- 320.1-5
- 청구기호
- 320.1 R956ㄴ
- 저자명
- Ruskin, John
- 서명/저자
-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위하여 / 존 러스킨 지음 ; 김대웅 옮김
- 발행사항
- 서울 : 아름다운날, 2019
- 형태사항
- 240 p : 삽화, 초상 ; 21 cm
- 원저자/원서명
- Unto this last
- 초록/해제
- 요약: 악마의 경제학은 이제 그만,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실행하자 ‘마지막’(last)은 ‘맨 나중에 온 일꾼’(The eleventh hour labourer)으로 온종일 일한 자와 똑같은 임금을 받은 자를 말한다. 여기서 ‘맨 나중’이라는 뜻의 ‘열한 번째 시’(The eleventh hour)는 유대인들이 아침 7시를 첫 번째 시(時)로 보았기 때문에 오후 5시가 된다. 『성서』에서 이는 임종 때의 개종자 혹은 종교에 눈을 늦게 뜬 자로 해석된다. 하지만 러스킨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최저 생활 임금을 누가 받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에 이를 접목시켜 사회경제적 함의로 바라보았다. 이 글은 18, 19세기 자본주의 주류 경제학자들에게 매우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러스킨은 사회 경제학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 그는 자본주의의 폐단과 주류 경제학의 모순을 직시하면서 ‘악마의 경제학’을 그만 두고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실행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또한 러스킨은 산업주의가 생태계에 미친 파괴적인 영향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했기 때문에 몇몇 역사가들은 그를 ‘녹색운동’(Green Movement)의 선구자로 간주하기도 한다.
- 기타저자
- 김대웅
- 기타서명
-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위하여
- 기타저자
- 러스킨, 존
- 가격
- \13,000
- Control Number
- kpcl:231095
- 책소개
-
악마의 경제학은 이제 그만,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실행하자
‘마지막’(last)은 ‘맨 나중에 온 일꾼’(The eleventh hour labourer)으로 온종일 일한 자와 똑같은 임금을 받은 자를 말한다. 여기서 ‘맨 나중’이라는 뜻의 ‘열한 번째 시’(The eleventh hour)는 유대인들이 아침 7시를 첫 번째 시(時)로 보았기 때문에 오후 5시가 된다. 『성서』에서 이는 임종 때의 개종자 혹은 종교에 눈을 늦게 뜬 자로 해석된다. 하지만 러스킨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최저 생활 임금을 누가 받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에 이를 접목시켜 사회경제적 함의로 바라보았다.
이 글은 18, 19세기 자본주의 주류 경제학자들에게 매우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러스킨은 사회 경제학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 그는 자본주의의 폐단과 주류 경제학의 모순을 직시하면서 ‘악마의 경제학’을 그만 두고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실행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또한 러스킨은 산업주의가 생태계에 미친 파괴적인 영향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했기 때문에 몇몇 역사가들은 그를 ‘녹색운동’(Green Movement)의 선구자로 간주하기도 한다.
MARC
008200317s2019 ulkac 000c kor■00120200317074347
■00520200317075015
■007ta
■020 ▼a9791186809662▼g03300▼c\13000
■040 ▼a241057
■0411 ▼akor▼heng
■056 ▼a320.1▼25
■090 ▼a320.1▼bR956ㄴ
■1001 ▼aRuskin, John
■24510▼a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b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위하여▼d존 러스킨 지음 ▼e김대웅 옮김
■260 ▼a서울▼b아름다운날▼c2019
■300 ▼a240 p ▼b삽화, 초상▼c21 cm
■50710▼tUnto this last
■520 ▼a악마의 경제학은 이제 그만,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실행하자 ‘마지막’(last)은 ‘맨 나중에 온 일꾼’(The eleventh hour labourer)으로 온종일 일한 자와 똑같은 임금을 받은 자를 말한다. 여기서 ‘맨 나중’이라는 뜻의 ‘열한 번째 시’(The eleventh hour)는 유대인들이 아침 7시를 첫 번째 시(時)로 보았기 때문에 오후 5시가 된다. 『성서』에서 이는 임종 때의 개종자 혹은 종교에 눈을 늦게 뜬 자로 해석된다. 하지만 러스킨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최저 생활 임금을 누가 받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에 이를 접목시켜 사회경제적 함의로 바라보았다. 이 글은 18, 19세기 자본주의 주류 경제학자들에게 매우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러스킨은 사회 경제학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 그는 자본주의의 폐단과 주류 경제학의 모순을 직시하면서 ‘악마의 경제학’을 그만 두고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실행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또한 러스킨은 산업주의가 생태계에 미친 파괴적인 영향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했기 때문에 몇몇 역사가들은 그를 ‘녹색운동’(Green Movement)의 선구자로 간주하기도 한다.
■546 ▼a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3 ▼a나중▼a사람▼a경제학
■7001 ▼a김대웅
■740 0▼a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학을 위하여
■90010▼a러스킨, 존
■9500 ▼b\13,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ไม่อยู่
- 도서대출신청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
Reg No. | Call No. | ตำแหน่งที่ตั้ง | สถานะ | ยืมข้อมูล |
---|---|---|---|---|
EM126099 | 320.1 R956ㄴ |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
* จองมีอยู่ในหนังสือยืม เพื่อให้การสำรองที่นั่งคลิกที่ปุ่มจองห้องพัก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