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譯註) 孔子家語. 1
(譯註) 孔子家語. 1 / 句解: 王廣謀  ; 책임번역: 許敬震  ; 공동번역: 具智賢 ; 崔二浩
내용보기
(譯註) 孔子家語. 1
자료유형  
 단행본
 
0015191503
ISBN  
9791157941919(v.1) 94150 : \35000
ISBN  
9788985395717(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chi, 원저작언어 - chi
기타분류  
181.222-서경대 학술정보관 전개표
청구기호  
152.212 왕16ㄱ
저자명  
왕광모
서명/저자  
(譯註) 孔子家語. 1 / 句解: 王廣謀 ; 책임번역: 許敬震 ; 공동번역: 具智賢 ; 崔二浩
발행사항  
서울 : 전통문화연구회, 2018
형태사항  
410 p. : 삽도, 지도 ; 26 cm
총서명  
東洋古典譯註叢書 ; 108
주기사항  
附錄: 1. ≪孔子家語≫ 總目次, 2. ≪孔子家語1≫ 圖版目錄, 3. 孔子周遊列國圖. 외
서지주기  
參考文獻: p. 31-36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원저자/원서명  
標題句解孔子家語
기금정보  
이 책은 2018년도 교육부 고전문헌 국역지원사업 지원비에 의해 초판(비매품) 간행
주제명-개인  
孔子 , B C 551-479
기타저자  
허경진 , 1953-
기타저자  
구지현 , 1970-
기타저자  
최이호 , 1978-
Control Number  
kpcl:230453
책소개  
근*현대까지 위서僞書로 낙인되었던 책

≪공자가어孔子家語≫는 공자가 공公ㆍ경卿ㆍ대부大夫 및 제자들과 문답한 말을 모은 것이다. 공자 문하의 제자들이 정실正實한 내용은 ≪논어論語≫로 편찬하고, 그 나머지는 ≪공자가어≫로 편찬하였는데, 전국戰國시대와 진秦나라를 거치면서 유전流傳된 공자가어를 한漢나라 때 공자 후손인 공안국孔安國이 44편으로 편집하였다고 한다. 이후 삼국시대 위魏나라 학자 왕숙王肅이 공자의 22대손 공맹孔猛으로부터 이 책을 얻어 주해注解하여 세상에 유행하도록 하였다.
≪공자가어≫는 공자를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한 필독서임에도 위조된 책, 곧 위서僞書로 지목되어 그 신빙성을 의심받았다. 남송南宋의 왕백王柏을 비롯한 후대의 학자들은 왕숙이 임의로 편집한 책이라며 위서설僞書說을 주장하였고, 이러한 ‘위서僞書’라는 낙인은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워지지 않았다.
그런데 현대 중국에서 다량의 출토문헌이 발굴되면서, ≪공자가어≫의 ‘위서’ 논쟁에 새로운 전기轉機가 마련되었다. 한나라 때 무덤에서 발굴된 죽간竹簡, 목간木簡 자료의 형태와 내용이 현행본 ≪공자가어≫와 상당히 유사했던 것이다. 이런 자료 등을 바탕으로 ≪공자가어≫는 한위漢魏 시기 공씨 집안에서 이루어져 내려오던 책을 왕숙이 정리한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되었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도서대출신청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125129 R  152.212 왕16ㄱ v.1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