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譯註) 筍子集解. 6
(譯註) 筍子集解. 6
- Material Type
- 단행본
- 0015191529
-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 20200217030302
- ISBN
- 9791157941827(v.6) 94150 : \32000
- ISBN
- 9788985395717(세트)
- Language Code
- 본문언어 - korchi, 원저작언어 - chi
- 기타분류
- 181.227-서경대 학술정보관 전개표
- Callnumber
- 152.217 순95ㅅ
- Author
- 순황 , 340 BC-245 BC
- Title/Author
- (譯註) 筍子集解. 6 / 著者: 荀況 ; 集解: 王先謙 ; 譯註: 宋基采
- Publish Info
- 서울 : 전통문화연구회, 2018
- Material Info
- 398 p. : 삽도 ; 26 cm
- Added Entry-Title
- 東洋古典譯註叢書 ; 91
- General Note
- 荀況은 '荀子'의 이름임
- General Note
- 附錄: 1. 參考圖版 目錄 및 出處, 2. 《荀子集解》 總目次 및 각 篇의 要旨(QR코드)
- 서지주기
- 參考書目: p. 9-14
- 원저자/원서명
- 荀子集解
- 기금정보
- 이 책은 2018년도 교육부 고전문헌 국역지원사업 지원비에 의해 초판(비매품) 간행
- Subject Added Entry-Personal Name
- 순자 , 340 BC-245 BC ; 荀子
- Added Entry-Personal Name
- 순자 , 340 BC-245 BC
- Added Entry-Personal Name
- 왕선겸 , 1842-1918
- Added Entry-Personal Name
- 송기채 , 1949-
- Control Number
- kpcl:230452
- 책소개
-
『순자집해荀子集解』, 『순자』 연구의 대표적 텍스트
『순자』는 순자 및 선진先秦 제자백가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당唐나라 때에 양경楊倞이 처음으로 『순자』를 주석하였으며, 청淸나라 말기에 이르러 왕선겸王先謙(1842~1917)이 원문을 교감 정리하여 1891년 『순자집해』를 완성하였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고래의 주석과 아울러 당대 석학碩學들의 훈고訓?나 고증考證 성과를 집대성한 데다가 당시 학계의 태두泰斗로 인정받던 왕선겸 자신의 견해까지 포괄하여 순자사상을 재평가하려 했다는 데 있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순자』의 대표적 텍스트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