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혐오 시대 헤쳐가기 : 심리학으로 본 북한 혐오
혐오 시대 헤쳐가기  : 심리학으로 본 북한 혐오 / 김태형 지음
내용보기
혐오 시대 헤쳐가기 : 심리학으로 본 북한 혐오
자료유형  
 단행본
 
0015463237
ISBN  
9788932920009 04300 : \10000
ISBN  
9788932919966 (세트) 04300
KDC  
334.2-6
청구기호  
334.2 김883ㅎ
저자명  
김태형 金泰亨, 1965-
서명/저자  
혐오 시대 헤쳐가기 : 심리학으로 본 북한 혐오 / 김태형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열린책들, 2019
형태사항  
195 p. : 삽도 ; 19 cm
총서명  
손안의 통일 ; 4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95
일반주제명  
혐오[嫌惡]
일반주제명  
통일(국토)[統一]
주제명-지명  
북한(국명)[北韓]
키워드  
혐오 심리학 북한
통일총서명  
손안의 통일 ; 4
Control Number  
kpcl:230065
책소개  
평화의 시대를 준비하는 통일 교육
〈손안의 통일〉 시리즈 출간!

심리학자 김태형이 우리 사회의 혐오 현상과 북한 혐오의 본질을 분석한 책.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인간에 대한 혐오, 곧 특정 집단을 향한 〈사회적 혐오〉이다. 저자는 한국 사회의 1990년대를 주목한다. 신자유주의 질서가 도입되고 〈돈 중심의 사고〉가 만연하면서 우리 사회의 관계 파탄과 공동체가 붕괴가 본격화된 시점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오늘날 이주민, 탈북자, 소수자 등을 향한 혐오는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밥그릇을 빼앗을지도 모른다는 위협 속에서 비롯한다고 진단한다. 돈을 많이 벌어야 사람대접을 받는 한국 사회에서 생계를 책임지지 못하는 처지에 내몰린다는 것은 곧 〈사회적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자존감이 부족한 사람들이 우월주의에 쉽게 빠지고, 계층의 하락을 경함한 사람일수록 혐오의 대열에 쉽게 휩쓸리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그 예다.
저자는 1990년대 전후로 북한에 대한 기본적인 감정이 〈증오〉에서 〈혐오〉로 변화된 것에 주목한다. 보통 혐오는 〈약자에 대한 강자의 감정〉이다. 한국의 경제력이 북한에 미치지 못할 때에는 북한을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서 증오했지만, 한국의 경제력이 북한을 압도하는 시점부터는 북한을 약자로 여기고 혐오하게 되었다는 진단이다. 저자는 우리 사회가 북한 혐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일반 시민들에게 북한 사회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우월적인 시각이 아니라 동등한 입장에서 북한을 바라 볼 것을 주문한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도서대출신청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124709 334.2 김883ㅎ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