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통일신라 고고학개론
통일신라 고고학개론 / 중앙문화재연구원 엮음
Contents Info
통일신라 고고학개론
Material Type  
 단행본
 
200122080051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200122084035
ISBN  
9788963474052 93900 : \45000
KDC  
911.036-5
Callnumber  
911.036 중62ㅌ
단체저자  
중앙문화재연구원
Title/Author  
통일신라 고고학개론 / 중앙문화재연구원 엮음
Publish Info  
과천 : 진인진, 2019
Material Info  
539 p : 삽화 ; 26 cm
Added Entry-Title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 43
General Note  
중앙문화재연구원: 김재홍, 심광주, 전용호, 진정환, 최태선, 홍보식
General Note  
한자표제: 統一新羅 考古學槪論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Abstracts/Etc  
요약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기인 통일신라시대를 대상으로 한 고고학 개론서 『통일신라고고학개론』이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43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중앙문화재연구원은 고구려, 발해, 마한ㆍ백제 지역의 분묘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자료집 시리즈와 한국 고고학의 중요한 연대기별 주제별 개론서를 지속적으로 발간하여 역사 대중화에 기여하는 학술연구기관의 본분을 다하고 있습니다.이번에 발간된 『통일신라고고학개론』은 통일신라시대를 대상으로 발굴/보존 작업에 직접 참여하고 학술적인 업적을 쌓은 6명의 저자들이 작성한 총 16개장 540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개론서입니다. 개론서 본원의 기능에 충실하여, 통일신라시대 전반에 대한 개괄과 기존의 연구 성과, 중요 유적 및 유물 등 고고학적 기초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구분하여 소개한 것이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할 것입니다.1장에서 3장까지는 서론과 배경으로서 통일신라 시대 전반 및 연구사, 통일신라 고고학 연구의 추세 및 이 책의 서술 방향, 편년 등에 대한 내용 소개되어 있습니다. 4장에서 14장에 이르는 11개 장에서는 통일신라고고학의 주요 연구 대상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상세하게 소개하였고, 15장에서는 해당 시대의 대외 교류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16장은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고고학적 증거의 변화 추이에 대해서 성곽, 도시, 장묘, 생산 시설 등의 유적과 생활용기, 기와, 금속장식품, 벼루 등을 소재로 하여 고찰하였습니다. 마지막 16장은 결론으로서 이 책에서 제시한 내용에 대한 총괄 정리와 함께, 향후 통일신라고고학 연구의 발전방향 등을 전망하였습니다.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 가장 찬란한 문화와 번영의 시기로 받아들여지는 통일신라시대의 전반적인 양상을 고고학 연구의 성과에 의해 복원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연구자들뿐 아니라 일반 교양 시민들에 있어서도 흥미진진하고 의미있는 경험이 될 것입니다.
Index Term-Uncontrolled  
통일신라 고고학
Added Entry-Personal Name  
김재홍
Added Entry-Personal Name  
심광주
Added Entry-Personal Name  
전용호
Added Entry-Personal Name  
진정환
Added Entry-Personal Name  
최태선
Added Entry-Personal Name  
홍보식
Price Info  
\45,000
Control Number  
kpcl:230009
책소개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기인 통일신라시대를 대상으로 한 고고학 개론서 『통일신라고고학개론』이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43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중앙문화재연구원은 고구려, 발해, 마한ㆍ백제 지역의 분묘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자료집 시리즈와 한국 고고학의 중요한 연대기별 주제별 개론서를 지속적으로 발간하여 역사 대중화에 기여하는 학술연구기관의 본분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통일신라고고학개론』은 통일신라시대를 대상으로 발굴/보존 작업에 직접 참여하고 학술적인 업적을 쌓은 6명의 저자들이 작성한 총 16개장 540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개론서입니다. 개론서 본원의 기능에 충실하여, 통일신라시대 전반에 대한 개괄과 기존의 연구 성과, 중요 유적 및 유물 등 고고학적 기초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구분하여 소개한 것이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할 것입니다.
1장에서 3장까지는 서론과 배경으로서 통일신라 시대 전반 및 연구사, 통일신라 고고학 연구의 추세 및 이 책의 서술 방향, 편년 등에 대한 내용 소개되어 있습니다. 4장에서 14장에 이르는 11개 장에서는 통일신라고고학의 주요 연구 대상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상세하게 소개하였고, 15장에서는 해당 시대의 대외 교류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16장은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고고학적 증거의 변화 추이에 대해서 성곽, 도시, 장묘, 생산 시설 등의 유적과 생활용기, 기와, 금속장식품, 벼루 등을 소재로 하여 고찰하였습니다. 마지막 16장은 결론으로서 이 책에서 제시한 내용에 대한 총괄 정리와 함께, 향후 통일신라고고학 연구의 발전방향 등을 전망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 가장 찬란한 문화와 번영의 시기로 받아들여지는 통일신라시대의 전반적인 양상을 고고학 연구의 성과에 의해 복원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연구자들뿐 아니라 일반 교양 시민들에 있어서도 흥미진진하고 의미있는 경험이 될 것입니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124645 911.036 중62ㅌ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