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식민지 트라우마 : 한국 사회 집단 불안의 기원을 찾아서
식민지 트라우마  : 한국 사회 집단 불안의 기원을 찾아서 / 유선영 지음
Contents Info
식민지 트라우마 : 한국 사회 집단 불안의 기원을 찾아서
Material Type  
 단행본
 
190627045843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190629104339
ISBN  
9791156120957 93900 : \20000
KDC  
182.671-5
Callnumber  
182.671 유54ㅅ
Author  
유선영
Title/Author  
식민지 트라우마 : 한국 사회 집단 불안의 기원을 찾아서 / 유선영 지음
Publish Info  
서울 : 푸른역사, 2017
Material Info  
387 p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 326-381)과 색인수록
Abstracts/Etc  
요약식민지민의 트라우마는 근대성 그리고 식민지배의 두 가지 집단경험이 뒤섞인다. 그러나 외상은 ‘역사’가 되지 못했다. 외상은 정신분석의 영역이지 증거, 기록, 실증의 역사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식민지 트라우마』는 식민지민의 트라우마를 역사화하기 위해 식민지민에게 가해진 외상들을 재구성해 식민지민의 민족주의는 사실 민족적 감정의 다른 이름이며 식민지민의 진정한 자아는 그의 말도, 행동도, 스타일도 아닌 감정으로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과 프란츠 파농의 비판을 수용했다. 그리하여 민족모욕과 국치의 경험이 민족감정을 도발하고 민족감정은 다시 경제성장과 근대화를 목표로 흘러갔음을 보여준다.
기금정보  
2007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결과물임(NRF-2007-361-AM005)
Index Term-Uncontrolled  
민족 심리 민족심리
기타서명  
한국 사회 집단 불안의 기원을 찾아서
Price Info  
\20,000
Control Number  
kpcl:227338
책소개  
식민지민의 트라우마는 근대성 그리고 식민지배의 두 가지 집단경험이 뒤섞인다. 그러나 외상은 ‘역사’가 되지 못했다. 외상은 정신분석의 영역이지 증거, 기록, 실증의 역사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식민지 트라우마』는 식민지민의 트라우마를 역사화하기 위해 식민지민에게 가해진 외상들을 재구성해 식민지민의 민족주의는 사실 민족적 감정의 다른 이름이며 식민지민의 진정한 자아는 그의 말도, 행동도, 스타일도 아닌 감정으로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과 프란츠 파농의 비판을 수용했다. 그리하여 민족모욕과 국치의 경험이 민족감정을 도발하고 민족감정은 다시 경제성장과 근대화를 목표로 흘러갔음을 보여준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121987 182.671 유54ㅅ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