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 : 내 안의 우주
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 : 내 안의 우주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190627045566
- ISBN
- 9791188509096 03470 : \18000
- KDC
- 475-5
- 청구기호
- 475 김94ㅇ
- 저자명
- 김혜성
- 서명/저자
- 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 : 내 안의 우주 / 김혜성 지음 ; 김한조 그림
- 발행사항
- 서울 : 파라사이언스, 2018
- 형태사항
- 276 p : 천연색삽화, 도표 ; 22 cm
- 주기사항
- 감수자: 김각균, 천종식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58-276
- 초록/해제
- 요약: 입속에 사는 미생물은 온 몸에 사는 미생물의 축소판이다미생물과 건강2009년 80세를 넘긴 기대수명이 머잖아 100세에 근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막연히 잘 먹고 적당히 운동하는 것을 넘어서고 있다.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식습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일반인을 상대로 출간되는 건강 관련 도서들만 보아도 다루는 분야가 점점 더 전문적으로 세분화되는 추세이다.미생물에 대한 관심 역시 어느 때보다 높다. 유전자를 분석한 기술을 바탕으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미생물이 우리 건강과 삶에 미치는 영향이 우리의 상상을 넘어선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세군이 살지 않는데 특정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해 병을 일으킨다는 생각은 이미 오래 전에 무너졌고, 우리 몸에는 몸 세포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그에 따라 감염성 질병은 물론 면역 질환이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 다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입속에 사는 미생물은 모든 미생물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는다. 구강은 우리 몸 전체에서 가장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 곳이고, 구강 미생물은 온몸에 영향을 미치기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입속에 사는 미생물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이 이야기가 입안에만 국한되지 않는 이유이다.
- 기타저자
- 김한조
- 기타서명
- 내 안의 우주
- 가격
- \18,000
- Control Number
- kpcl:227061
- 책소개
-
입속에 사는 미생물은 온 몸에 사는 미생물의 축소판이다
미생물과 건강
2009년 80세를 넘긴 기대수명이 머잖아 100세에 근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막연히 잘 먹고 적당히 운동하는 것을 넘어서고 있다.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식습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일반인을 상대로 출간되는 건강 관련 도서들만 보아도 다루는 분야가 점점 더 전문적으로 세분화되는 추세이다.
미생물에 대한 관심 역시 어느 때보다 높다. 유전자를 분석한 기술을 바탕으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미생물이 우리 건강과 삶에 미치는 영향이 우리의 상상을 넘어선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세군이 살지 않는데 특정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해 병을 일으킨다는 생각은 이미 오래 전에 무너졌고, 우리 몸에는 몸 세포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그에 따라 감염성 질병은 물론 면역 질환이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 다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입속에 사는 미생물은 모든 미생물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는다. 구강은 우리 몸 전체에서 가장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 곳이고, 구강 미생물은 온몸에 영향을 미치기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입속에 사는 미생물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이 이야기가 입안에만 국한되지 않는 이유이다.
MARC
008190701s2018 ulkad 000a kor■00120190627045566
■00520190628010320
■007ta
■020 ▼a9791188509096▼g03470▼c\18000
■040 ▼a241057
■056 ▼a475▼25
■090 ▼a475▼b김94ㅇ
■1001 ▼a김혜성
■24510▼a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 ▼b내 안의 우주▼d김혜성 지음 ▼e김한조 그림
■260 ▼a서울▼b파라사이언스▼b파라북스▼c2018
■300 ▼a276 p ▼b천연색삽화, 도표▼c22 cm
■50000▼a감수자: 김각균, 천종식
■50000▼z권말부록: 입속 미생물 관리의 대안
■504 ▼a참고문헌: p. 258-276
■520 ▼a입속에 사는 미생물은 온 몸에 사는 미생물의 축소판이다미생물과 건강2009년 80세를 넘긴 기대수명이 머잖아 100세에 근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막연히 잘 먹고 적당히 운동하는 것을 넘어서고 있다.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식습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일반인을 상대로 출간되는 건강 관련 도서들만 보아도 다루는 분야가 점점 더 전문적으로 세분화되는 추세이다.미생물에 대한 관심 역시 어느 때보다 높다. 유전자를 분석한 기술을 바탕으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미생물이 우리 건강과 삶에 미치는 영향이 우리의 상상을 넘어선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세군이 살지 않는데 특정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해 병을 일으킨다는 생각은 이미 오래 전에 무너졌고, 우리 몸에는 몸 세포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그에 따라 감염성 질병은 물론 면역 질환이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설명도 다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입속에 사는 미생물은 모든 미생물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는다. 구강은 우리 몸 전체에서 가장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 곳이고, 구강 미생물은 온몸에 영향을 미치기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입속에 사는 미생물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이 이야기가 입안에만 국한되지 않는 이유이다.
■653 ▼a미생물▼a이야기
■7001 ▼a김한조
■740 0▼a내 안의 우주
■9500 ▼b\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