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대중음악이론 = Popular music theory :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대중음악이론 = Popular music theory :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상세정보
- Material Type
- 단행본
- 190214021452
-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 20190215173123
- ISBN
- 9788992053600 93670 : \20000
- Language Code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KDC
- 673.53-5
- Callnumber
- 673.53 N394ㄷ
- Author
- Negus, Keith
- Title/Author
- 대중음악이론 = Popular music theory :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 키스 니거스 지음 ; 송화숙 [외]옮김
- Publish Info
- 서울 : 마티, 2012
- Material Info
- 382 p ; 21 cm
- General Note
- 공역자: 윤인영, 이은진, 허지연
- 서지주기
- 참고문헌(p.358-375)과 색인(p.376-382)수록
- Abstracts/Etc
- 요약저자 니거스의 공헌은, 문화생산의 자본주의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경향과 문화소비의 해방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상찬하는 경향, 이 양자 모두를 넘어설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 준 것이다. 그가 이를 완전한 형태로 제일 처음 주장한 선구자라고 말하는 것은 조심스럽지만, 이 책을 통해 그 주장이 가장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제시되었다고 말하는데 주저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생산과 소비의 이분법을 벗어나, 대중음악이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미디어, 테크놀로지, 역사, 지리, 정치 등을 논한 각 장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 Index Term-Uncontrolled
- 실용음악
- Added Entry-Personal Name
- 송화숙
- Added Entry-Personal Name
- 윤인영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은진
- 기타서명
- Popular music theory
- 기타서명
-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 기타저자
- 니거스, 키스
- Price Info
- \20,000
- Control Number
- kpcl:225361
- 책소개
-
대중음악이론의 핵심을 짚어내다!
대중음악이론의 핵심 논자들과 그들의 입장을 명쾌하게 정리한 『대중음악이론: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대중음악은 거의 언제나 특정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 매개되어 있는 것으로, 정체성, 역사, 지리, 정치와 지속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 책은 생산과 소비의 이분법을 벗어나, 대중음악이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미디어, 테크놀로지, 역사, 지리, 정치 등을 논한 각 장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문화생산주의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경향과 문화소비의 해방적 성격을 무조건 칭찬하는 경향을 벗어나 이 모두를 넘어설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책이다.
MARC
008190215s2012 ulk 001a kor■00120190214021452
■00520190215173123
■007ta
■020 ▼a9788992053600▼g93670▼c\20000
■040 ▼a241057
■0411 ▼akor▼heng
■056 ▼a673.53▼25
■090 ▼a673.53▼bN394ㄷ
■1001 ▼aNegus, Keith
■24510▼a대중음악이론▼xPopular music theory ▼b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d키스 니거스 지음 ▼e송화숙 [외]옮김
■260 ▼a서울▼b마티▼c2012
■300 ▼a382 p▼c21 cm
■50000▼a공역자: 윤인영, 이은진, 허지연
■504 ▼a참고문헌(p.358-375)과 색인(p.376-382)수록
■50710▼tPopular music in theory : an introduction
■520 ▼a저자 니거스의 공헌은, 문화생산의 자본주의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경향과 문화소비의 해방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상찬하는 경향, 이 양자 모두를 넘어설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 준 것이다. 그가 이를 완전한 형태로 제일 처음 주장한 선구자라고 말하는 것은 조심스럽지만, 이 책을 통해 그 주장이 가장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제시되었다고 말하는데 주저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생산과 소비의 이분법을 벗어나, 대중음악이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미디어, 테크놀로지, 역사, 지리, 정치 등을 논한 각 장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653 ▼a실용음악
■7001 ▼a송화숙
■7001 ▼a윤인영
■7001 ▼a이은진
■740 2▼aPopular music theory
■740 2▼a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90010▼a니거스, 키스
■9500 ▼b\20,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