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서울의 기원 :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
서울의 기원 :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
- 자료유형
- 단행본
- 190123012353
- ISBN
- 9791195650132 03910 : \22000
- KDC
- 911.6-5
- 청구기호
- 911.6 염45ㅅ
- 저자명
- 염복규
- 서명/저자
- 서울의 기원 :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 / 염복규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이데아, 2016
- 형태사항
- 416 p : 삽화 ; 22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초록/해제
- 요약: 지금 우리가 딛고 있는 서울, 엄밀히 말하면 '현대 서울'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놀랍게도 현대 서울은 식민지 시기 경성의 청사진(blue print)과 겹쳐진다. 물론 많은 변화가 있어왔지만 기본 골격과 변화의 방향은 해방 이전, 1910년에서 1945년 동안 설계되어온 바탕에서 기원한다. 당연히 설계자들은 '우리'가 아닌 '일본 제국'이었다. 그렇다면 일제는 경성을 어떻게 만들고자 했을까? 나아가 해방 이후 우리는 식민지 수도 경성에서 벗어나, 혹은 극복하면서 어떻게 현대 서울로 변화시켜 왔을까?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은 책 제목에서 은유하듯이 1910년 병합부터 시작된 식민지 수도 '경성의 탄생'과 도시 개발의 과정을 통해 지금에 이르는 현대 '서울의 기원'을 풀어내고자 한다
- 기타서명
-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
- 가격
- \22,000
- Control Number
- kpcl:225108
- 책소개
-
지금 우리가 딛고 있는 서울, 엄밀히 말하면 ‘현대 서울’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놀랍게도 현대 서울은 식민지 시기 경성의 청사진(blue print)과 겹쳐진다. 물론 많은 변화가 있어왔지만 기본 골격과 변화의 방향은 해방 이전, 1910년에서 1945년 동안 설계되어온 바탕에서 기원한다. 당연히 설계자들은 ‘우리’가 아닌 ‘일본 제국’이었다. 그렇다면 일제는 경성을 어떻게 만들고자 했을까? 나아가 해방 이후 우리는 식민지 수도 경성에서 벗어나, 혹은 극복하면서 어떻게 현대 서울로 변화시켜 왔을까?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은 책 제목에서 은유하듯이 1910년 병합부터 시작된 식민지 수도 ‘경성의 탄생’과 도시 개발의 과정을 통해 지금에 이르는 현대 ‘서울의 기원’을 풀어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