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조선중기 사림정치
조선중기 사림정치 / 최이돈 [지음].
Contents Info
조선중기 사림정치
Material Type  
 단행본
 
0014663608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181121033054
ISBN  
9788949943022 93910 : \35,000
DDC  
951.54 -22
Callnumber  
911.054 최68ㅈ
Author  
최이돈((崔異敦))
Title/Author  
조선중기 사림정치 / 최이돈 [지음].
Publish Info  
파주 : 경인문화사, 2017.
Material Info  
x, 445 p. : 표 ; 24 cm.
Added Entry-Title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150
General Note  
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General Note  
설명적 각주 수록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및 참고문헌(p. [423]-431)과 색인 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사림파[士林派]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조선 중기[朝鮮中期]
Electronic Location and Access  
  원문보기
Control Number  
kpcl:224282
책소개  
조선 전기는 서로 다른 시대의 가치가 공존하는 ‘전환기’였다. 중세의 가치와 근대의 가치가 같이 존재했다. 이는 정치, 경제, 신분의 제부분에서 두루 나타났다. 즉 정치에서는 ‘사적지배’와 ‘공공통치’, 경제에서는 ‘경제외적 관계’와 ‘경제적 관계’, 신분에서는 ‘혈통’과 ‘능력’ 등의 서로 대치되는 가치들이 공존하고 있었다.

조선전기를 전환기로 이해하는 가설 위에서 상당한 시간을 연구에 투자한 저자는 그간 밝힌 조선전기의 특징적인 모습을, 일부나마 동학들과 공유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판단하여, 그간의 성과를 묶어서 ‘近世 근세 朝鮮조선의 형성’으로 출간했다. 전5권에 걸쳐서 조선초기 생산력의 향상에 따른 생산관계의 변화가 경제, 신분, 정치의 각 영역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검토했다. 즉 당시 ‘天民’으로 인식되었던 백성의 법적, 실제적 지위가 어떠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제4권 『조선전기 공공통치』와 제5권 『조선중기 사림정치』에서는 백성들의 정치적 지위를 검토한다. 저자는 생산력 향상으로 변화한 백성의 정치적 지위를 ‘공공통치’의 형성과정으로 검토한다. 또한 성종대부터 백성의 상위계층인 사림이 지배신분인 훈구와 대립하면서 참정권의 확보를 위해서 투쟁하는데, 그 과정을 ‘사림정치’의 전개과정으로 정리하였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119122 911.054 최68ㅈ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EM119123 911.054 최68ㅈ c.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