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4510212
- ISBN
- 9788926879061 93910 : \22000
- KDC
- 911.04-4
- DDC
- 951.0091-23
- 기타분류
- 951.0091-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청구기호
- 911.04 박54ㅇ
- 저자명
- 박성호
- 서명/저자
-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 / 박성호
- 발행사항
-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7
- 형태사항
- 300 p. ; 23 cm
- 주기사항
- 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 주기사항
- 부록: 1. 교서 목록 외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82-289
- 키워드
- 왕명문서
- 원문파일
- 원문보기
- Control Number
- kpcl:224194
- 책소개
-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
왕지는 고려말에 출현하여 세종대를 지나면서 교지敎旨로 바뀌어 우리 역사에서는 고려말과 조선초에만 사용되었던 왕명문서였다. 문서에 왕지라고 적혀 있더라도 관료를 임명하는 고신告身, 문 · 문과 급제자에게 주는 홍패紅牌, 노비나 토지를 내릴 때 주는 사패賜牌 등 용도에 따라 구분되었다. 비록 지금까지 남아있는 실물 문서의 양은 많지 않았지만, 이를 토대로 그동안 학계에서 논의되지 못한 당시의 제도사적 탐구와 조선초기 문서의 변천 양상을 살펴볼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이를 계기로 2010년에 「현재 전하고 있는 왕지의 진위 고찰」이라는 소논문을 발표하였고, 이후 연구 대상의 종류와 시기를 확대하여 조선초에 작성된 교서, 고신, 홍패, 백패, 사패를 본격적으로 공부하였다. 그 결과물로 「조선초기 왕명문서 연구-경국대전 체제 성립까지를 중심으로」라는 박사학위논문을 제출하였다.
MARC
008181114s2017 ggk b 000c kor■001000014510212
■00520181114095619
■007ta
■020 ▼a9788926879061▼g93910▼c\22000
■035 ▼a(KERIS)BIB000014510212
■040 ▼d221016▼d241057
■056 ▼a911.04▼24
■082 ▼a951.0091▼223
■085 ▼a951.0091▼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090 ▼a911.04▼b박54ㅇ
■1001 ▼a박성호
■24520▼a(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d박성호
■260 ▼a파주▼b한국학술정보▼c2017
■300 ▼a300 p.▼c23 cm
■50000▼a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50000▼a부록: 1. 교서 목록 외
■504 ▼a참고문헌: p. 282-289
■653 ▼a왕명문서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510212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도서대출신청
- התיקיה שלי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