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수평하중말뚝 : 수동말뚝과 주동말뚝
수평하중말뚝 : 수동말뚝과 주동말뚝
Detailed Information
- 자료유형
- 단행본
- 180702070283
- ISBN
- 9791156103172 94530 : \22000
- ISBN
- 9791156103165(세트)
- KDC
- 582.841-5
- 청구기호
- 582.841 홍66ㅅ
- 저자명
- 홍원표
- 서명/저자
- 수평하중말뚝 : 수동말뚝과 주동말뚝 / 홍원표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씨아이알, 2017
- 형태사항
- 301 p : 삽화, 도표, 설계도 ; 26 cm
- 총서명
- 홍원표의 지반공학 강좌 : 말뚝공학편 ; 1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요약: 말뚝공학편의 첫 번째 강좌이다. 원래 말뚝은 연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구조물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수평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말뚝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런 말뚝을 수평하중말뚝이라 부른다. 현재는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종류가 대단히 많이 증가하여 이 부분의 내용을 정리할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수평하중말뚝은 말뚝과 지반 중 어느 것이 움직이는 주체인가에 따라 주동말뚝과 수동말뚝의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원래 말뚝을 설계할 때는 말뚝에 작용시킬 하중을 미리 알고 이 하중을 말뚝머리에 가한 조건에서 말뚝해석을 실시한다. 이런 수평하중말뚝을 주동말뚝이라 부른다. 그러나 지반이 움직인 결과로 측방토압이란 수평하중이 발생되고 그 수평토압이 말뚝에 가하여 진다면 움직이는 주체가 지반이 되므로 종래의 수평하중말뚝과는 설계가 달라진다. 이런 수평하중말뚝을 수동말뚝이라 부른다
- 키워드
- 보건환경
- 가격
- \22,000
- Control Number
- kpcl:222732
- 책소개
-
발생기구에 적합한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에 대한 명백한 구분과 정리
『수평하중말뚝』은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개념을 설명한다. 여기서 주동말뚝과 수동말뚝의 개념을 구분·설명한다. 이에 앞서 금세기에 들어 제기되는 말뚝 관련 문제점 중에 연약지반 속에 말뚝이 설치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을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수동말뚝의 피해사례를 열거 설명한다. 산사태 억지말뚝의 파손사례부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피해를 입은 수동말뚝의 사례를 열거 설명한다. 그리고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주동말뚝에 관련된 내용이 취급되며 제5장과 제6장에서는 수동말뚝에 관련된 내용을 취급한다. 먼저 주동말뚝에 대하여는 제3장에서 극한수평저항력의 산정법이 자세히 설명하고 제4장에서는 주동말뚝의 해석법을 설명한다. 특히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의 박래웅 군의 연구는 주동말뚝의 극한수평저항력 산정식의 유도에 크게 기여하였다. 다음으로 수동말뚝에 대하여는 제5장에서 수동말뚝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의 산정 이론이 자세히 유도 설명되며 제6장에서는 수동말뚝의 해석법이 설명된다. 수동말뚝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에 관한 연구는 필자의 박사논문과 그 이후의 후속 연구결과를 정리·수록하였다. 끝으로 수평하중말뚝의 해석법은 주동말뚝과 수동말뚝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현제 통용되는 이론을 함께 정리·수록하였다.
MARC
008180703s2017 ulk 001a kor■00120180702070283
■00520180703142305
■007ta
■020 ▼a9791156103172▼g94530▼c\22000
■0201 ▼a9791156103165(세트)
■040 ▼a241057
■056 ▼a582.841▼25
■090 ▼a582.841▼b홍66ㅅ
■1001 ▼a홍원표
■24510▼a수평하중말뚝 ▼b수동말뚝과 주동말뚝▼d홍원표 지음
■260 ▼a서울▼b씨아이알▼c2017
■300 ▼a301 p ▼b삽화, 도표, 설계도▼c26 cm
■44000▼a홍원표의 지반공학 강좌▼p말뚝공학편▼v1
■504 ▼a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20 ▼a말뚝공학편의 첫 번째 강좌이다. 원래 말뚝은 연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구조물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수평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말뚝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런 말뚝을 수평하중말뚝이라 부른다. 현재는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종류가 대단히 많이 증가하여 이 부분의 내용을 정리할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수평하중말뚝은 말뚝과 지반 중 어느 것이 움직이는 주체인가에 따라 주동말뚝과 수동말뚝의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원래 말뚝을 설계할 때는 말뚝에 작용시킬 하중을 미리 알고 이 하중을 말뚝머리에 가한 조건에서 말뚝해석을 실시한다. 이런 수평하중말뚝을 주동말뚝이라 부른다. 그러나 지반이 움직인 결과로 측방토압이란 수평하중이 발생되고 그 수평토압이 말뚝에 가하여 진다면 움직이는 주체가 지반이 되므로 종래의 수평하중말뚝과는 설계가 달라진다. 이런 수평하중말뚝을 수동말뚝이라 부른다
■653 ▼a보건환경
■9500 ▼b\22,000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Buch Status
- Reservierung
- frei buchen
- Book Loan Request
- Meine Mappe
Registrierungsnummer | callnumber | Standort | Verkehr Status | Verkehr Info |
---|---|---|---|---|
EM117470 | 582.841 홍66ㅅ c.2 |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My Folder |
* Kredite nur für Ihre Daten gebucht werden. Wenn Sie buchen möchten Reservierungen, klicken Sie auf den Button.
Available after loggin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