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 우리는 왜 4차 산업혁명에 열광하는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 우리는 왜 4차 산업혁명에 열광하는가
- 자료유형
- 단행본
- 180416041620
- ISBN
- 9791160801019 03300 : \12000
- KDC
- 331.5412-5
- 청구기호
- 331.5412 김55ㅅ
- 저자명
- 김소영
- 서명/저자
-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 우리는 왜 4차 산업혁명에 열광하는가 / 김소영 [외]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휴머니스트, 2017
- 형태사항
- 199 p : 천연색삽화, 도표 ; 23 cm
- 주기사항
- 기획: 홍성욱
- 주기사항
- 공저자: 김우재, 김태호, 남궁석, 홍기빈, 홍성욱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84-192)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초록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는 미국에서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sformation'을, 독일은 '인더스트리 4.0,' 일본은 '소사이어티 5.0'을, 중국은 '중국제조 2025'라는 구호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에 연연하지 않은 채로 지금 일어나는 기술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또 이런 변화를 주도해서 이끌어나가면 되는 것이 아닐까? 미국, 독일, 일본, 중국도 다 비슷한 국가적 아젠다를 가지고 연구개발을 이끌고 있을 것이다. 거창한 이름보다는 내용과 정책이 더 핵심이 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기초연구 지원비는 800억이 삭감되고, 관련 학과의 지원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반대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와 같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이슈와 핵심 기술 산업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노무현 정부의 혁신,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와 같이 4차 산업혁명 또한 정권이 바뀌면 사라지고 마는 신기루 같은 존재가 될지도 모른다. 정치적 연결고리가 강한 기술과학 분야에 국가의 예산을 쏟아 붓고 정책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것은 옳지 않다.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초과학보다는 기술 분야에 정책적으로 투자해왔다. 그리고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새로운 기술이 화두가 되어 선택과 집중의 길이 오락가락했다. 현장의 연구자들이 외쳐온 모든 과학과 기술에 뿌리가 되는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는 아직도 요원하다. 비단 4차 산업혁명만이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을 통해 한국의 과학정책이 걸어온 길을 반성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새로운 길을 현장의 과학자들과 함께 모색해야만 한다
- 기타저자
- 김우재
- 기타저자
- 김태호
- 기타저자
- 남궁석
- 기타서명
- 우리는 왜 4차 산업혁명에 열광하는가
- 기타서명
- 사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 가격
- \12,000
- Control Number
- kpcl:221528
- 책소개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는 미국에서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sformation’을, 독일은 ‘인더스트리 4.0,’ 일본은 ‘소사이어티 5.0’을, 중국은 ‘중국제조 2025’라는 구호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에 연연하지 않은 채로 지금 일어나는 기술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또 이런 변화를 주도해서 이끌어나가면 되는 것이 아닐까? 미국, 독일, 일본, 중국도 다 비슷한 국가적 아젠다를 가지고 연구개발을 이끌고 있을 것이다. 거창한 이름보다는 내용과 정책이 더 핵심이 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기초연구 지원비는 800억이 삭감되고, 관련 학과의 지원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반대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와 같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이슈와 핵심 기술 산업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노무현 정부의 혁신,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와 같이 4차 산업혁명 또한 정권이 바뀌면 사라지고 마는 신기루 같은 존재가 될지도 모른다. 정치적 연결고리가 강한 기술과학 분야에 국가의 예산을 쏟아 붓고 정책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것은 옳지 않다.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초과학보다는 기술 분야에 정책적으로 투자해왔다.
그리고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새로운 기술이 화두가 되어 선택과 집중의 길이 오락가락했다. 현장의 연구자들이 외쳐온 모든 과학과 기술에 뿌리가 되는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는 아직도 요원하다. 비단 4차 산업혁명만이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을 통해 한국의 과학정책이 걸어온 길을 반성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새로운 길을 현장의 과학자들과 함께 모색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