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나는 엄마가 힘들다 : 엄마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딸들을 위한 모녀 심리학
나는 엄마가 힘들다 : 엄마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딸들을 위한 모녀 심리학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180416041611
- ISBN
- 9791159311208 03180 : \14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 KDC
- 189.24-5
- 청구기호
- 189.24 사68ㄴ
- 저자명
- 사이토 다마키
- 서명/저자
- 나는 엄마가 힘들다 : 엄마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딸들을 위한 모녀 심리학 / 사이토 다마키 [외]지음 ; 전경아 옮김
- 발행사항
- 서울 : 책세상, 2017
- 형태사항
- 272 p ; 21 cm
- 주기사항
- 사이토 다마키의 한자명은 '齋藤環'임
- 주기사항
- 공저자: 다부사 에이코(田房永子), 가쿠타 미쓰요(角田光代), 하기오 모토, 노부타 사요코(信田さよ子), 미나시타 기류(水無田氣流)
- 원저자/원서명
- 母と娘はなぜこじれるのか
- 초록/해제
- 초록일본의 정신과 전문의이자 비평가인 사이토 다마키와 일본의 유명 문인들이 대담 형식으로 모녀 갈등의 양상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모녀 관계의 회복을 고민한 일종의 '모녀 관계 보고서'다. 일본 소녀만화계의 대모 하기오 모토, 공중정원, 종이달 등을 통해 여성들의 섬세한 심리묘사를 보여준 소설가 가쿠타 미쓰요, 페미니즘 사회학자이자 비혼입니다만, 그게 어쨌다구요?!로 국내에도 이름을 알린 미나시타 기류 등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들이 모여 실제 경험담을 토대로 모녀 관계를 둘러싼 현실과 여성의 삶을 깊이 있게 토론하며 많은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냈다. 모녀 관계는 사랑과 연민, 원망, 애증, 동정, 질투, 죄책감 등이 섞여 저마다 상당히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지나치게 억압적인 엄마 때문에 괴로워하는 딸이 있는가 하면 엄마와의 관계가 너무 가까워 의존도를 낮추지 못해 갈등을 겪는 모녀도 있다. 언뜻 보기에 이 갈등은 개인과 개별 가정의 내밀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갈등의 원인과 배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성차별과 여성 혐오, 가부장제, 세대 갈등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일본과 우리나라처럼 가부장적인 가족관이 여전히 당연시되는 환경에서 엄마로, 며느리로, 딸로 여성이 겪는 억압과 착취, 감정 노동은 필연적으로 '아빠 소외'를 비롯해 엄마와 자녀 간의 밀착 관계를 낳을 수밖에 없고, 여기에 성 편견의 무의식적 수용에서 비롯된 육아 방식까지 더해지면 모녀는 필연적으로 과도하게 밀착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한 나는 엄마가 힘들다는 대담자들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사적 체험이 녹아든 자기 고백으로 공감과 정서적 울림을 안기는 동시에 모녀간의 갈등이 시대적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성찰한다
- 기타저자
- 전경아
- 기타서명
- 엄마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딸들을 위한 모녀 심리학
- 기타저자
- 재등환
- 가격
- \14,000
- Control Number
- kpcl:221519
- 책소개
-
갈등과 연민의 모녀 관계 회복 보고서
『나는 엄마가 힘들다』는 일본의 정신과 전문의이자 비평가인 사이토 다마키가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하고 일본의 유명 문인들과 대담을 진행 한 것을 엮은 책이다. 모녀 갈등의 양상 원인을 분석하고 모녀 관계 회복을 고민한다. 일본 소녀만화계의 대모 하기오 모토,《공중정원》,《종이달》등을 통해 여성들의 섬세한 심리묘사를 보여준 소설가 가쿠타 미쓰요, 페미니즘 사회학자이자《비혼입니다만, 그게 어쨌다구요?!》로 국내에도 이름을 알린 미나시타 기류 등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들이 모여 실제 경험담을 토대로 모녀 관계를 둘러싼 현실과 여성의 삶을 깊이 있게 토론하며 공감과 위로를 전한다.
모녀 관계는 사랑과 연민, 원망, 애증, 동정, 질투, 죄책감 등이 섞여 저마다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갈등을 자세히 살펴보면 성차별과 여성 혐오, 가부장제 세대 갈등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저자 사이토 박사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로 인해 모녀는 필연적으로 과도하게 밀착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고 말하며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한다. 대담자들의 생생한 경험이 녹아든 자기 고백과 실질적 조언, 모녀간의 갈등이 시대적 갈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성찰하게 된다. 이들의 조언은 우리 사회에서 모녀 갈등이 가진 의미와 고정관념, 사회 분위기를 되돌아보게 한다.
MARC
008180416s2017 ulk 000a kor■00120180416041611
■00520180416133438
■007ta
■020 ▼a9791159311208▼g03180▼c\14000
■040 ▼a241057
■0411 ▼akor▼hjpn
■056 ▼a189.24▼25
■090 ▼a189.24▼b사68ㄴ
■1001 ▼a사이토 다마키
■24510▼a나는 엄마가 힘들다 ▼b엄마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딸들을 위한 모녀 심리학▼d사이토 다마키 [외]지음 ▼e전경아 옮김
■260 ▼a서울▼b책세상▼c2017
■300 ▼a272 p▼c21 cm
■50000▼a사이토 다마키의 한자명은 '齋藤環'임
■50000▼a공저자: 다부사 에이코(田房永子), 가쿠타 미쓰요(角田光代), 하기오 모토, 노부타 사요코(信田さよ子), 미나시타 기류(水無田氣流)
■50710▼t母と娘はなぜこじれるのか
■520 ▼b일본의 정신과 전문의이자 비평가인 사이토 다마키와 일본의 유명 문인들이 대담 형식으로 모녀 갈등의 양상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모녀 관계의 회복을 고민한 일종의 '모녀 관계 보고서'다. 일본 소녀만화계의 대모 하기오 모토, 공중정원, 종이달 등을 통해 여성들의 섬세한 심리묘사를 보여준 소설가 가쿠타 미쓰요, 페미니즘 사회학자이자 비혼입니다만, 그게 어쨌다구요?!로 국내에도 이름을 알린 미나시타 기류 등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들이 모여 실제 경험담을 토대로 모녀 관계를 둘러싼 현실과 여성의 삶을 깊이 있게 토론하며 많은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냈다. 모녀 관계는 사랑과 연민, 원망, 애증, 동정, 질투, 죄책감 등이 섞여 저마다 상당히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지나치게 억압적인 엄마 때문에 괴로워하는 딸이 있는가 하면 엄마와의 관계가 너무 가까워 의존도를 낮추지 못해 갈등을 겪는 모녀도 있다. 언뜻 보기에 이 갈등은 개인과 개별 가정의 내밀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갈등의 원인과 배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성차별과 여성 혐오, 가부장제, 세대 갈등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일본과 우리나라처럼 가부장적인 가족관이 여전히 당연시되는 환경에서 엄마로, 며느리로, 딸로 여성이 겪는 억압과 착취, 감정 노동은 필연적으로 '아빠 소외'를 비롯해 엄마와 자녀 간의 밀착 관계를 낳을 수밖에 없고, 여기에 성 편견의 무의식적 수용에서 비롯된 육아 방식까지 더해지면 모녀는 필연적으로 과도하게 밀착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한 나는 엄마가 힘들다는 대담자들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사적 체험이 녹아든 자기 고백으로 공감과 정서적 울림을 안기는 동시에 모녀간의 갈등이 시대적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성찰한다
■7001 ▼a전경아
■740 0▼a엄마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딸들을 위한 모녀 심리학
■90010▼a재등환
■9500 ▼b\1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