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인생극장
인생극장 / 노명우 지음
인생극장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180322032227
ISBN  
9791160943320 03330 : \17800
KDC  
331.5-5
청구기호  
331.5 노34ㅇ
저자명  
노명우
서명/저자  
인생극장 / 노명우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사계절, 2018
형태사항  
440 p : 삽화 ; 21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434-440
초록/해제  
초록가족 이외에는 누구도 기억해주지 않는 평범한 개인의 삶은 어떻게 복원될 수 있을까? 그들의 삶은 또한 어떻게 역사라는 이름으로 확장될 수 있을까? 사회학자 노명우가 세상을 떠난 아버지, 어머니의 자서전을 대신 썼다. 스스로 별다른 기록을 남기지 못한 부모의 삶을 복원하기 위해 아들 사회학자는 1920~7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주요 소재로 삼았다. 한때 영화는 글을 읽지도 쓰지도 않는 보통의 존재들이 당대를 해석하고, 그에 반응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작은 농촌 마을에서 태어나 만주와 나고야를 거쳐 파주 미군기지 근처에서 클럽을 운영하며 달러를 쓸어 담았던 아버지, 서울 창신동의 가난한 집 딸로 태어나 전쟁 통에 고아가 되고 전후 기지촌 미장원에서 양공주들의 머리를 말았던 어머니의 삶이 당대 흥행영화들이 그리는 세속의 풍경과 만나 그 시대를 살았던 모든 이의 삶으로 확장된다. "다 먹고살자고 하는 짓", "공부해야 출세하지", "믿을 건 가족뿐" 등등 부모의 삶이 온몸으로 증명하는 세속의 가치들, 우리 모두의 인생에 새겨진 '한국적인' 세상물정이 오래된 필름과 함께 펼쳐진다. 저자는 식민지배, 한국전쟁, 군부독재와 산업화 등 현대사의 큰 줄기가 개인의 삶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면밀하면서도 매우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낸다
가격  
\17,800
Control Number  
kpcl:221154
책소개  
사회학자인 아들이 대신 쓰는 부모의 자서전!

한 개인이 세속을 살아가며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문제들, 생활인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고통과 분노의 순간들을 우리 모두의 문제로 끌어올리는 것에서 사회학의 존재 의의를 찾는 사회학자 노명우. 그런 그가 최근 3년 사이 차례로 세상을 떠나며 스스로 기록을 남기지 못한 아버지, 어머니의 자서전을 대신 썼다.

1924년생 아버지, 1936년생 어머니.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전쟁을 겪고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이룬 세대가 공유한 사회적 운명이 새겨져 있는, 역사가 특별히 기록할 리 없는 전형적인 ‘한국 남자’였고, 자식 교육에 모든 것을 걸었던, 역시 특별할 것 없는 전형적인 ‘한국 여자’였던 부모의 삶을 복원하기 위해 저자는 1920~7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소재로 삼았다.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만주와 나고야를 거쳐 파주 미군기지 근처에 정착해 클럽을 운영하며 달러를 모았던 아버지, 서울 창신동 가난한 집 막내딸로 태어나 전쟁 통에 고아가 되고 전후 아버지를 만나 기지촌 미장원에서 양공주들의 머리를 말았던 어머니의 삶을 당대 흥행영화들이 그리는 풍경들로 풀어내며 당시의 관객, 즉 그 시대의 보통 사람들이 마음속에 품었던 꿈과 소망, 불안과 공포, 고통과 좌절을 짐작해볼 수 있게 했다.

MARC

 008180326s2018        ggka                    000a    kor
■00120180322032227
■00520180326113445
■007ta
■020    ▼a9791160943320▼g03330▼c\17800
■040    ▼a241057
■056    ▼a331.5▼25
■090    ▼a331.5▼b노34ㅇ
■1001  ▼a노명우
■24510▼a인생극장▼d노명우  지음
■260    ▼a파주▼b사계절▼c2018
■300    ▼a440  p  ▼b삽화▼c21  cm
■50010▼k막이  내리고  비로소  시작되는  아버지,  어머니의  인생  이야기
■504    ▼a참고문헌:  p.434-440
■520    ▼b가족  이외에는  누구도  기억해주지  않는  평범한  개인의  삶은  어떻게  복원될  수  있을까?  그들의  삶은  또한  어떻게  역사라는  이름으로  확장될  수  있을까?  사회학자  노명우가  세상을  떠난  아버지,  어머니의  자서전을  대신  썼다.  스스로  별다른  기록을  남기지  못한  부모의  삶을  복원하기  위해  아들  사회학자는  1920~7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주요  소재로  삼았다.  한때  영화는  글을  읽지도  쓰지도  않는  보통의  존재들이  당대를  해석하고,  그에  반응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작은  농촌  마을에서  태어나  만주와  나고야를  거쳐  파주  미군기지  근처에서  클럽을  운영하며  달러를  쓸어  담았던  아버지,  서울  창신동의  가난한  집  딸로  태어나  전쟁  통에  고아가  되고  전후  기지촌  미장원에서  양공주들의  머리를  말았던  어머니의  삶이  당대  흥행영화들이  그리는  세속의  풍경과  만나  그  시대를  살았던  모든  이의  삶으로  확장된다.  "다  먹고살자고  하는  짓",  "공부해야  출세하지",  "믿을  건  가족뿐"  등등  부모의  삶이  온몸으로  증명하는  세속의  가치들,  우리  모두의  인생에  새겨진  '한국적인'  세상물정이  오래된  필름과  함께  펼쳐진다.  저자는  식민지배,  한국전쟁,  군부독재와  산업화  등  현대사의  큰  줄기가  개인의  삶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면밀하면서도  매우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낸다
■9500  ▼b\17,8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도서대출신청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116033 331.5 노34ㅇ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