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

Detailed Information

자료유형  
 단행본
 
171115111517
ISBN  
9791159051128 93810 : \28000
KDC  
811.309-5
청구기호  
811.309 김97ㅇ
저자명  
김흥규
서명/저자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 / 김흥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6
형태사항  
393 p : 도표 ; 24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320-332)과 색인수록
초록/해제  
초록조선조 시대 시조의 주요 모티프와 미의식, 그것들이 형성한 심상공간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본 책. 시조 연구는 문헌학적 고찰과 작품론, 작가론 수준의 면밀한 검증에 충실하되 그 이상의 의미화를 향한 모색에 좀더 적극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가진 저자는 최근 10여 년간 고시조대전(2012) 편찬을 위한 작품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텍스트 자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방법을 실험해왔다. 이 책은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 시조의 모티프들이 거시적으로 어떤 역동성을 보였으며, 이들은 심상공간의 형성 변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시조에 투영된 심상공간의 구조, 성격과 그 변화를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기금정보  
이 저서는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9-342-A00021)
키워드  
옛시조 모티프 미의식 심상공간 역사
기타저자  
Kim, Hung Gyu
가격  
\28,000
Control Number  
kpcl:218683
책소개  
『옛시조의 모티프 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는 시조의 주요 모티프와 심상공간의 추이를 다루는 데 주력했으므로 주요 작가나 위대한 작품 중심의 시조사와는 서술 방식이 다르다. 모티프 연구를 표방했지만, 주요 관계망을 중심으로 논의를 구성했기에 거론되지 않은 모티프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목에 '역사'라는 단어를 넣은 데 대해 저자는 역사 서술이 과거의 삶에 대한 탐문이자 저자의 입장에서 구성한 대화록이라는 근간의 생각을 덧붙여 두고자 한다.

MARC

 008171115s2016        ulkd                    001ap  kor
■00120171115111517
■00520171115155619
■007ta
■020    ▼a9791159051128▼g93810▼c\28000
■040    ▼a241057
■056    ▼a811.309▼25
■090    ▼a811.309▼b김97ㅇ
■1001  ▼a김흥규
■24510▼a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x(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d김흥규  지음
■260    ▼a서울▼b소명출판▼c2016
■300    ▼a393  p  ▼b도표▼c24  cm
■50000▼z부록:  1,  색인어  설계와  구현.  2,  작품,  작가,  문헌과  시대귀속  판별.  3,  고시조  문헌  약칭  목록
■504    ▼a참고문헌(p.320-332)과  색인수록
■520    ▼b조선조  시대  시조의  주요  모티프와  미의식,  그것들이  형성한  심상공간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본  책.  시조  연구는  문헌학적  고찰과  작품론,  작가론  수준의  면밀한  검증에  충실하되  그  이상의  의미화를  향한  모색에  좀더  적극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가진  저자는  최근  10여  년간  고시조대전(2012)  편찬을  위한  작품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텍스트  자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방법을  실험해왔다.  이  책은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  시조의  모티프들이  거시적으로  어떤  역동성을  보였으며,  이들은  심상공간의  형성  변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시조에  투영된  심상공간의  구조,  성격과  그  변화를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536    ▼a이  저서는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9-342-A00021)
■653    ▼a옛시조▼a모티프▼a미의식▼a심상공간▼a역사
■90010▼aKim,  Hung  Gyu
■9500  ▼b\28,000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MORE
    Statistics for the past 3 years. Go to brief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Book Loan Request
    • My Folder
    Matériel
    Reg No. Call No. emplacement Status Lend Info
    EM113942 811.309 김97ㅇ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My Folder
    EM113943 811.309 김97ㅇ c.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My Folder

    * Les réservations sont disponibles dans le livre d'emprunt. Pour faire des réservations, S'il vous plaît cliquer sur le bouton de réservation

    Books borrowed together with this book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Available after logging in.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