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171115111517
ISBN  
9791159051128 93810 : \28000
KDC  
811.309-5
청구기호  
811.309 김97ㅇ
저자명  
김흥규
서명/저자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 (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 / 김흥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6
형태사항  
393 p : 도표 ; 24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320-332)과 색인수록
초록/해제  
초록조선조 시대 시조의 주요 모티프와 미의식, 그것들이 형성한 심상공간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본 책. 시조 연구는 문헌학적 고찰과 작품론, 작가론 수준의 면밀한 검증에 충실하되 그 이상의 의미화를 향한 모색에 좀더 적극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가진 저자는 최근 10여 년간 고시조대전(2012) 편찬을 위한 작품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텍스트 자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방법을 실험해왔다. 이 책은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 시조의 모티프들이 거시적으로 어떤 역동성을 보였으며, 이들은 심상공간의 형성 변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시조에 투영된 심상공간의 구조, 성격과 그 변화를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기금정보  
이 저서는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9-342-A00021)
키워드  
옛시조 모티프 미의식 심상공간 역사
기타저자  
Kim, Hung Gyu
가격  
\28,000
Control Number  
kpcl:218683
책소개  
『옛시조의 모티프 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는 시조의 주요 모티프와 심상공간의 추이를 다루는 데 주력했으므로 주요 작가나 위대한 작품 중심의 시조사와는 서술 방식이 다르다. 모티프 연구를 표방했지만, 주요 관계망을 중심으로 논의를 구성했기에 거론되지 않은 모티프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목에 '역사'라는 단어를 넣은 데 대해 저자는 역사 서술이 과거의 삶에 대한 탐문이자 저자의 입장에서 구성한 대화록이라는 근간의 생각을 덧붙여 두고자 한다.

MARC

 008171115s2016        ulkd                    001ap  kor
■00120171115111517
■00520171115155619
■007ta
■020    ▼a9791159051128▼g93810▼c\28000
■040    ▼a241057
■056    ▼a811.309▼25
■090    ▼a811.309▼b김97ㅇ
■1001  ▼a김흥규
■24510▼a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x(A)thematic  history  of  classical  Sijo  and  its  mental  landscapes▼d김흥규  지음
■260    ▼a서울▼b소명출판▼c2016
■300    ▼a393  p  ▼b도표▼c24  cm
■50000▼z부록:  1,  색인어  설계와  구현.  2,  작품,  작가,  문헌과  시대귀속  판별.  3,  고시조  문헌  약칭  목록
■504    ▼a참고문헌(p.320-332)과  색인수록
■520    ▼b조선조  시대  시조의  주요  모티프와  미의식,  그것들이  형성한  심상공간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본  책.  시조  연구는  문헌학적  고찰과  작품론,  작가론  수준의  면밀한  검증에  충실하되  그  이상의  의미화를  향한  모색에  좀더  적극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가진  저자는  최근  10여  년간  고시조대전(2012)  편찬을  위한  작품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텍스트  자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방법을  실험해왔다.  이  책은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  시조의  모티프들이  거시적으로  어떤  역동성을  보였으며,  이들은  심상공간의  형성  변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시조에  투영된  심상공간의  구조,  성격과  그  변화를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536    ▼a이  저서는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9-342-A00021)
■653    ▼a옛시조▼a모티프▼a미의식▼a심상공간▼a역사
■90010▼aKim,  Hung  Gyu
■9500  ▼b\28,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도서대출신청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113942 811.309 김97ㅇ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EM113943 811.309 김97ㅇ c.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