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고전시가 총론 = (A)general the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 고전시가 총론 = (A)general the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 자료유형
- 단행본
- 171115111514
- ISBN
- 9788959667642 93810 : \30000
- KDC
- 811.09-5
- 청구기호
- 811.09 성95ㅎ
- 저자명
- 성호경
- 서명/저자
- 한국 고전시가 총론 = (A)general the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 성호경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태학사, 2016
- 형태사항
- 526 p : 천연색삽화 ; 24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487]-496)과 색인수록
- 초록/해제
- 초록한국의 상고시대부터 19세기까지의 고전시가의 모든 장르들의 성질과 발달 그리고 작품 형상화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여 체계적으로 서술한 총론적 저술이다. 한국 고전시가는 한민족 구성원들의 다양한 시적 욕구들에 따라, 2천 년이 넘는 오랜 시간 동안에 여러 장르들의 생멸과 교체.계승 그리고 공존을 보였고, 그들의 각종 생각들과 느낌들을 형상화한 수많은 작품들을 남겼다. 한국 고전시가에 대한 바르고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그 각 장르들과 부면들을 세부적으로 고찰하는 일도 중요하고, 전반적인 양상을 체계적으로 살피는 일도 필요하다
- 기금정보
- 이 저서는 2013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3S1A6A4013906)
- 기타저자
- Seong Ho-Gyong
- 가격
- \30,000
- Control Number
- kpcl:218680
- 책소개
-
『한국 고전시가 총론』은 한국의 상고시대부터 19세기까지의 고전시가의 모든 장르(또는 作品群)들의 성질과 발달 그리고 작품 형상화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여 체계적으로 서술한 총론적(總論的) 저술이다. 한국 고전시가는 한민족(韓民族) 구성원들의 다양한 시적 욕구들에 따라, 2천 년이 넘는 오랜 시간 동안에 여러 장르들의 생멸(生滅)과 교체?계승 그리고 공존을 보였고, 그들의 각종 생각들과 느낌들을 형상화한 수많은 작품들을 남겼다. 한국 고전시가에 대한 바르고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그 각 장르들과 부면(部面)들을 세부적으로 고찰하는 일도 중요하고, 전반적인 양상을 체계적으로 살피는 일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