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북간도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운동
북간도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운동 / 김춘선 지음
Sommaire Infos
북간도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운동
자료유형  
 단행본
 
171113111397
ISBN  
9788971551646 94910 : \32000
ISBN  
9788971550731(세트)
KDC  
911.06-5
청구기호  
911.06 김85ㅂ
저자명  
김춘선
서명/저자  
북간도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운동 / 김춘선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16
형태사항  
637 p ; 23 cm
총서명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민족문화연구총서 ; 110
서지주기  
참고문헌: p.615-637
초록/해제  
초록민족문화연구총서 110권. 한인들의 북간도 이주와 한인 사회의 형성, 그리고 한인사회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던 민족교육과 무장독립운동이 어떠한 역사 배경에서 이루어졌으며, 또 이러한 과정에서 한인들은 자신들의 사회경제적 권리의 확보와 민족자치는 물론이고 나아가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철저한 해방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경주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괴뢰만주국 건립과 더불어 만주지역이 일제의 직접지배에 놓이게 됨에 따라 정치.사회적으로 크게 변질하였는데, 이 책은 이 시기를 대상으로 하되 현재 연변지역의 연길.화룡.왕청.훈춘.용정.도문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가격  
\32,000
Control Number  
kpcl:218540
책소개  
이 책은 한인들의 북간도 이주와 한인 사회의 형성, 그리고 한인사회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던 민족교육과 무장독립운동이 어떠한 역사 배경에서 이루어졌으며, 또 이러한 과정에서 한인들은 자신들의 사회경제적 권리의 확보와 민족자치는 물론이고 나아가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철저한 해방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경주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괴뢰만주국 건립과 더불어 만주지역이 일제의 직접지배에 놓이게 됨에 따라 정치·사회적으로 크게 변질하였는데, 이 책은 이 시기를 대상으로 하되 현재 연변지역의 연길·화룡·왕청·훈춘·용정·도문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Matériel
Reg No. Call No. emplacement Status Lend Info
EM113779 911.06 김85ㅂ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EM113780 911.06 김85ㅂ c.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Les réservations sont disponibles dans le livre d'emprunt. Pour faire des réservations, S'il vous plaît cliquer sur le bouton de réservation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