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작품으로 보는 음악미학
작품으로 보는 음악미학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171110111080
- ISBN
- 9788966852703 94670 : \20000
- ISBN
- 9788966851911(세트)
- KDC
- 670.1-5
- 청구기호
- 670.1 우94ㅈ
- 저자명
- 우혜언
- 서명/저자
- 작품으로 보는 음악미학 / 우혜언 ; 이혜진 ; 오희숙 [공]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음악세계, 2016
- 형태사항
- 299 p : 삽화, 악보 ; 24 cm
- 총서명
- 이운형 문화재단 총서 ; 3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초록/해제
- 초록이운형 문화재단 총서 3권. 음악미학의 개념과 역사를 텍스트적으로 나열했던 기존의 책들과는 달리, 음악작품에서 그 출발점을 찾았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베토벤의 「교향곡 9번」,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등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음악작품을 중심으로 그 안에 담긴 음악미학적인 논의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며 구성방식과 접근방식을 아주 새로이 했다.'음악 중심 vs. 가사 중심', '선율 중심 vs. 화성 중심', '연주 해석의 문제', '천재론', '수용미학: 청취자의 가치판단 문제', '리얼리즘: 추함의 아름다움', '절대음악: 기악음악의 지위 변화', '아방가르드 미학' 등 음악미학의 역사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문제들이 특정 작품과 연계되어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는 '음악'과 '미학'의 조우를 낯설어했던 학생들에게 음악미학이 이해하기 어려운 학문이라는 편견을 조금이나마 없애고 그 진입장벽을 낮추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 학기 수업에 적합하게 분량을 맞춘 이 책은 [깊이가기]와 [원전읽기]를 통해 본문 내에서 상세히 언급할 수 없었던 미학의 개념들을 보다 깊이 다루고 있으며, 음악 감상과 함께 미학적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감상포인트]도 곁들였다
- 기타저자
- 이혜진
- 기타저자
- 오희숙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kpcl:218422
- 책소개
-
이운형 문화재단 총서 3권. 음악미학의 개념과 역사를 텍스트적으로 나열했던 기존의 책들과는 달리, 음악작품에서 그 출발점을 찾았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베토벤의 「교향곡 9번」,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등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음악작품을 중심으로 그 안에 담긴 음악미학적인 논의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며 구성방식과 접근방식을 아주 새로이 했다.
‘음악 중심 vs. 가사 중심’, ‘선율 중심 vs. 화성 중심’, ‘연주 해석의 문제’, ‘천재론’, ‘수용미학: 청취자의 가치판단 문제’, ‘리얼리즘: 추함의 아름다움’, ‘절대음악: 기악음악의 지위 변화’, ‘아방가르드 미학’ 등 음악미학의 역사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문제들이 특정 작품과 연계되어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는 ‘음악’과 ‘미학’의 조우를 낯설어했던 학생들에게 음악미학이 이해하기 어려운 학문이라는 편견을 조금이나마 없애고 그 진입장벽을 낮추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 학기 수업에 적합하게 분량을 맞춘 이 책은 [깊이가기]와 [원전읽기]를 통해 본문 내에서 상세히 언급할 수 없었던 미학의 개념들을 보다 깊이 다루고 있으며, 음악 감상과 함께 미학적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감상포인트]도 곁들였다.
MARC
008171114s2016 ggkag 000a kor■00120171110111080
■00520171114101251
■007ta
■020 ▼a9788966852703▼g94670▼c\20000
■0201 ▼a9788966851911(세트)
■040 ▼a241057
■056 ▼a670.1▼25
■090 ▼a670.1▼b우94ㅈ
■1001 ▼a우혜언
■24510▼a작품으로 보는 음악미학▼d우혜언▼e이혜진▼e오희숙 [공]지음
■260 ▼a파주▼b음악세계▼c2016
■300 ▼a299 p ▼b삽화, 악보▼c24 cm
■44000▼a이운형 문화재단 총서▼v3
■50010▼b작품에서 음악의 '미'를 찾는 즐거움
■504 ▼a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520 ▼b이운형 문화재단 총서 3권. 음악미학의 개념과 역사를 텍스트적으로 나열했던 기존의 책들과는 달리, 음악작품에서 그 출발점을 찾았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베토벤의 「교향곡 9번」,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등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음악작품을 중심으로 그 안에 담긴 음악미학적인 논의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며 구성방식과 접근방식을 아주 새로이 했다.'음악 중심 vs. 가사 중심', '선율 중심 vs. 화성 중심', '연주 해석의 문제', '천재론', '수용미학: 청취자의 가치판단 문제', '리얼리즘: 추함의 아름다움', '절대음악: 기악음악의 지위 변화', '아방가르드 미학' 등 음악미학의 역사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문제들이 특정 작품과 연계되어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는 '음악'과 '미학'의 조우를 낯설어했던 학생들에게 음악미학이 이해하기 어려운 학문이라는 편견을 조금이나마 없애고 그 진입장벽을 낮추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 학기 수업에 적합하게 분량을 맞춘 이 책은 [깊이가기]와 [원전읽기]를 통해 본문 내에서 상세히 언급할 수 없었던 미학의 개념들을 보다 깊이 다루고 있으며, 음악 감상과 함께 미학적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감상포인트]도 곁들였다
■653 ▼a작품▼a음악▼a미학
■7001 ▼a이혜진
■7001 ▼a오희숙
■9500 ▼b\20,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도서대출신청
- התיקיה שלי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