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조선영화란 하오 : 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조선영화란 하오 : 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171110111079
- ISBN
- 9788936472849 93680 : \40000
- KDC
- 688.0911-5
- 청구기호
- 688.0911 백36ㅈ
- 저자명
- 백문임
- 서명/저자
- 조선영화란 하오 : 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 백문임 [외]편저
- 발행사항
- 서울 : 창비, 2016
- 형태사항
- 778 p : 삽화, 연표 ; 23 cm
- 서지주기
- 색인: p.761-778
- 초록/해제
- 초록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조선영화를 둘러싸고 전개된 영화비평문을 엮은 해설서이자 자료집이다. 백문임·이화진·김상민·유승진 등 4명의 편저자는 조선영화사의 윤곽을 그리는 데 가장 핵심적인 비평문 55편을 선별해 초기영화, 변사, 사회주의 영화운동, 토키(talkie, 발성영화), 기업화론, 전쟁과 국책(國策) 문제 등 14개 주제를 구성했다. 각 주제마다 편저자의 해제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목록을 실었고, 당시 조선영화 생산·수용 현장의 이모저모를 살필 수 있는 신문·잡지 기사를 '스크랩'으로 덧붙였다. 영화 장면과 제작·상영 현장, 영화인들을 담은 150점가량의 사진은 조선영화계 안팎 풍경을 상상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근대 영화비평문을 집대성한 1차 자료집들의 성과를 딛고, 당시 영화담론의 흐름과 쟁점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첫번째 성취라 할 수 있다. 최근 영화사 연구의 관심과 편저자들의 해석을 적극적으로 개입시켜 조선영화사를 치열한 논쟁의 장으로 끌어올린다
- 기금정보
- 이 책은 2015년 연세대학교 미래선도연구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작성된 것임(2015-22-0150)
- 기타서명
- 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 가격
- \40,000
- Control Number
- kpcl:218421
- 책소개
-
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조선영화를 둘러싸고 전개된 영화비평문을 엮은 해설서이자 자료집이다. 백문임·이화진·김상민·유승진 등 4명의 편저자는 조선영화사의 윤곽을 그리는 데 가장 핵심적인 비평문 55편을 선별해 초기영화, 변사, 사회주의 영화운동, 토키(talkie, 발성영화), 기업화론, 전쟁과 국책(國策) 문제 등 14개 주제를 구성했다.
각 주제마다 편저자의 해제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목록을 실었고, 당시 조선영화 생산·수용 현장의 이모저모를 살필 수 있는 신문·잡지 기사를 ‘스크랩’으로 덧붙였다. 영화 장면과 제작·상영 현장, 영화인들을 담은 150점가량의 사진은 조선영화계 안팎 풍경을 상상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근대 영화비평문을 집대성한 1차 자료집들의 성과를 딛고, 당시 영화담론의 흐름과 쟁점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첫번째 성취라 할 수 있다. 최근 영화사 연구의 관심과 편저자들의 해석을 적극적으로 개입시켜 조선영화사를 치열한 논쟁의 장으로 끌어올린다.
MARC
008171114s2016 ulkaj 001a kor■00120171110111079
■00520171114101206
■007ta
■020 ▼a9788936472849▼g93680▼c\40000
■040 ▼a241057
■056 ▼a688.0911▼25
■090 ▼a688.0911▼b백36ㅈ
■1001 ▼a백문임
■24510▼a조선영화란 하오 ▼b근대 영화비평의 역사▼d백문임 [외]편저
■260 ▼a서울▼b창비▼c2016
■300 ▼a778 p ▼b삽화, 연표▼c23 cm
■504 ▼a색인: p.761-778
■520 ▼b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조선영화를 둘러싸고 전개된 영화비평문을 엮은 해설서이자 자료집이다. 백문임·이화진·김상민·유승진 등 4명의 편저자는 조선영화사의 윤곽을 그리는 데 가장 핵심적인 비평문 55편을 선별해 초기영화, 변사, 사회주의 영화운동, 토키(talkie, 발성영화), 기업화론, 전쟁과 국책(國策) 문제 등 14개 주제를 구성했다. 각 주제마다 편저자의 해제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목록을 실었고, 당시 조선영화 생산·수용 현장의 이모저모를 살필 수 있는 신문·잡지 기사를 '스크랩'으로 덧붙였다. 영화 장면과 제작·상영 현장, 영화인들을 담은 150점가량의 사진은 조선영화계 안팎 풍경을 상상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근대 영화비평문을 집대성한 1차 자료집들의 성과를 딛고, 당시 영화담론의 흐름과 쟁점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첫번째 성취라 할 수 있다. 최근 영화사 연구의 관심과 편저자들의 해석을 적극적으로 개입시켜 조선영화사를 치열한 논쟁의 장으로 끌어올린다
■536 ▼a이 책은 2015년 연세대학교 미래선도연구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작성된 것임(2015-22-0150)
■653 ▼a조선▼a영화▼a하오▼a영화비평
■740 0▼a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9500 ▼b\40,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도서대출신청
- התיקיה שלי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