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 / 한국국학진흥원 연구부 기획
Contents Info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
Material Type  
 단행본
 
0000203419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151013104943
ISBN  
9788967350963 93900 : \24000
KDC  
012.211-5
Callnumber  
012.211 한16ㅁ
단체저자  
한국국학진흥원 연구부
Title/Author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 / 한국국학진흥원 연구부 기획
Publish Info  
파주 : 글항아리, 2014
Material Info  
399 p. : 삽화, 사진 ; cm
Added Entry-Title  
국학자료 심층연구 총서 ; 4
General Note  
2015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Abstracts/Etc  
요약목판은 조선시대의 지식문화와 사회 환경을 어떻게 바꾸었을까? 풍부한 목판 사료와 함께 생생하게 읽는 조선시대 출판·지식문화. 목판은 국가의 매우 중요한 통치 수단이자, 당시 지시인들의 지적 활동과 삶에 관한 대표적인 기록유산이다. 목판의 큰 특징은 대량 출판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때문에 국가에서는 목판을 이용하여 통치에 필요한 법률서, 농업서, 의학서, 천문서, 과학기술서, 경서, 역사서 등 수많은 서적들을 인출, 반포했으며 중국의 다양한 문화를 빠르게 받아들여 지식과 학술정보를 보충하기 위한 서책 생산 방식으로 목판을 활용했다.
Index Term-Uncontrolled  
목판 행간 조선 지식문화
Added Entry-Personal Name  
남권희
Added Entry-Personal Name  
노경희
Added Entry-Personal Name  
성봉현
Added Entry-Personal Name  
손계영
Added Entry-Personal Name  
송정숙
Added Entry-Personal Name  
옥영정
Added Entry-Personal Name  
김순석
Price Info  
\24000
Control Number  
kpcl:209868
책소개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는 목판과 조선시대 사회문화사를 연구한 책이다. 한국 목판본 간행의 역할과 기능, 문집 간행과정 이해의 중요성, 학서 출판의 차별적 지점, 책판 연구의 의의와 속성, 책판 관리의 기록과 체계, 목판이 선인의 세계관을 바꾸다 등을 다루고 있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도서대출신청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106064 012.211 한16ㅁ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EM106065 012.211 한16ㅁ c.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