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명사구 총론 : 통사·의미론적 분석과 교육 현장 실험 분석
명사구 총론 : 통사·의미론적 분석과 교육 현장 실험 분석
- 자료유형
- 단행본
- 150722130458
- ISBN
- 9788968172274 93700 : \21000
- KDC
- 701.5-5
- 청구기호
- 701.5 김64ㅁ
- 저자명
- 김영화
- 서명/저자
- 명사구 총론 : 통사·의미론적 분석과 교육 현장 실험 분석 / 김영화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한국문화사, 2015
- 형태사항
- xvi, 309 p : 삽도, 도표 ; 23 cm
- 주기사항
- 부록: 각 한정사 표현어구의 함축된 의미. - 실험-Ⅰ과 실험-Ⅱ에 관한 결과 분석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77-294
- 서지주기
- 색인: p. 295-309
- 초록/해제
- 요약: [명사구 총론]은 명사구를 중심으로 한 저자의 언어학 연구를 총정리하면서, Chomsky(1995, 2000, 2008, 2010, 2013)가 제시한 생성 문법 연구의 근본 원리와 생언어학(Biolinguistics)의 이론적 배경과 철학도 소개한다. 책은 영어와 한국어의 자료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지만 이론적 쟁점에 따라 그 밖의 언어들에 관한 자료도 함께 분석한다
- 키워드
- 명사구
- 가격
- \21000
- Control Number
- kpcl:209104
- 책소개
-
이 저서는 저자의 지난 40여 년간에 걸친 연구를 총정리한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영어와 한국어의 주어 명사구 의미역에 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고, Thematicity and the Passive Constructions in English(주제화와 영어의 수동 구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이어진 연구는 2011년 Plurality in Classifier Languages(분류사 언어의 복수성)의 제 1저자 및 편집자로 공동 저서를 발간하기까지 대부분 명사구의 통사·의미론에 집중되어 있다. 2015년 봄에 발간하게 된 이 저서 [명사구 총론]에서는 명사구를 중심으로 한 저자의 언어학 연구를 총정리하면서, Chomsky(1995, 2000, 2008, 2010, 2013)가 제시한 생성 문법 연구의 근본 원리와 생언어학(Biolinguistics)의 이론적 배경과 철학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