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종양학 국제 질병 분류
종양학 국제 질병 분류 / [World Health Organization 지음] ; [대한의무기록협회 옮김]
종양학 국제 질병 분류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150109130447
ISBN  
: \15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eng, 원저작언어 - eng
KDC  
513.992-5
청구기호  
513.992 W927ㅈ
단체저자  
World Health Organization
서명/저자  
종양학 국제 질병 분류 / [World Health Organization 지음] ; [대한의무기록협회 옮김]
판사항  
제3판, 수정판
발행사항  
서울 : 대한의무기록협회, 2006
형태사항  
v, 362 p : 삽도, 도표 ; 30 cm
주기사항  
부록: '1, ICD-O, 3판에 새로 추가된 코드' 등
서지주기  
색인: p. 151-332
원저자/원서명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for oncology(ICD-O-3). - 3rd ed.
초록/해제  
요약: 종양학을 위한 국제질병분류 체계는 더 자세한 조직학적 분류를 요구하는 종양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MOTNAC을 계승하면서 개발하기를 권고하였고, 이러한 제안에 따라 1971년 WHO의 질병분류 연구모임에서는 MOTNAC 1968년 판이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1976년 WHO는 ICD-O(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의 첫판을 출간하였다. ICD-O는 ICD-9의 악성종양에 기반을 둔 해부학적 부위(tophology)편과 MOTNAC 행태학에 한 자리 확장자를 가진 형태학(morphology)편으로 구성되었다. CAP은 ICD-O의 행태학편을 채택하여, SNOMED(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라 불리는 SNOP의 개정판을 만들었다. SNOMED의 해부학적 부위(topography)는 ICD-O의 해부학적 부위(topography)와 차이가 있다. 비종양성 유사종양 병변(tumor like lesion)과 악성전구질환(premalignant condition)에 관한 SNOMED 행태학적 용어 중 몇몇은, 진정한 신생물과 구분할 수 있도록 ICD-O에도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종양학 질병 분류
기타저자  
대한의무기록협회
기타저자  
세계보건기구
가격  
\15000
Control Number  
kpcl:206625

MARC

 008150109s2006        ulkad                  001a    kor
■00120150109130447
■00520150217000133
■020    ▼c\15000
■040    ▼a241057
■0411  ▼akoreng▼heng
■056    ▼a513.992▼25
■090    ▼a513.992▼bW927ㅈ
■110    ▼aWorld  Health  Organization
■24510▼a종양학  국제  질병  분류▼d[World  Health  Organization  지음]▼e[대한의무기록협회  옮김]
■250    ▼a제3판,  수정판
■260    ▼a서울▼b대한의무기록협회▼b퍼시픽출판사▼c2006
■300    ▼av,  362  p▼b삽도,  도표▼c30  cm
■50000▼a부록:  '1,  ICD-O,  3판에  새로  추가된  코드'  등
■50000▼z감수:  국립암센터
■504    ▼a색인:  p.  151-332
■50710▼t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for  oncology(ICD-O-3).  -  3rd  ed.
■520    ▼a종양학을  위한  국제질병분류  체계는  더  자세한  조직학적  분류를  요구하는  종양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MOTNAC을  계승하면서  개발하기를  권고하였고,  이러한  제안에  따라  1971년  WHO의  질병분류  연구모임에서는  MOTNAC  1968년  판이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1976년  WHO는  ICD-O(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의  첫판을  출간하였다.  ICD-O는  ICD-9의  악성종양에  기반을  둔  해부학적  부위(tophology)편과  MOTNAC  행태학에  한  자리  확장자를  가진  형태학(morphology)편으로  구성되었다.  CAP은  ICD-O의  행태학편을  채택하여,  SNOMED(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라  불리는  SNOP의  개정판을  만들었다.  SNOMED의  해부학적  부위(topography)는  ICD-O의  해부학적  부위(topography)와  차이가  있다.  비종양성  유사종양  병변(tumor  like  lesion)과  악성전구질환(premalignant  condition)에  관한  SNOMED  행태학적  용어  중  몇몇은,  진정한  신생물과  구분할  수  있도록  ICD-O에도  수록되어  있다.
■653    ▼a종양학▼a질병▼a분류
■710    ▼a대한의무기록협회
■910  0▼a세계보건기구
■9500  ▼b\15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도서대출신청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102621 513.992 W927ㅈ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EM102622 513.992 W927ㅈ c.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