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투명사회
투명사회 / 한병철 지음 ; 김태환 옮김
Contents Info
투명사회
자료유형  
 단행본
 
140514160735
ISBN  
9788932026114 03100 : \12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ger
KDC  
331-5
청구기호  
331 H233ㅌ
저자명  
Han, Byung-Chul
서명/저자  
투명사회 / 한병철 지음 ; 김태환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4
형태사항  
235 p ; 20 cm
원저자/원서명  
Transparenzgesellschaft
초록/해제  
요약: 피로사회의 저자 한병철 교수의 신작. 투명사회는 인간을 비밀이 없는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투명성’의 전체주의적 본질에 대한 예리한 통찰을 담고 있다. 이 책은 2012년 독일에서 먼저 출간되었는데, ‘투명성’을 절대적인 가치로 간주해오던 독일 사회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키워드  
투명 사회 독일 투명성
기타저자  
김태환 , 1967-
기타저자  
한병철
가격  
\12000
Control Number  
kpcl:203700
책소개  
‘투명사회’는 만인이 만인을 감시하는 새로운 ‘통제사회’다!

『투명사회』는 현대사회의 성과주의에 대하여 날카롭게 비판한 《피로사회》의 저자 한병철의 신작으로, ‘투명성’에 높은 가치를 부여해온 독일 사회의 주류 담론에 정면으로 맞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투명사회 Transparenzgesellschaft》와 우리 삶에 새로운 위기를 불러온 디지털 문명에 대한 진단을 제시한 《무리 속에서ㅡ디지털의 풍경들 Im Schwarmㅡ Ansichten des Digitalen》을 번역하여 묶은 책이다.

오늘날 중요한 화두인 ‘투명성’은 정치나 경제 영역을 포함한 우리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투명함이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한병철은 이렇게 긍정적인 가치로 여겨져 온 투명성 개념에 의문을 제시한다. 외려 그는 투명사회가 신뢰사회가 아닌 새로운 통제사회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모든 것을 자발적으로 전시하며 스스로 ‘디지털 통제사회’를 완성해나가는 현대인들을 일깨운다.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도서대출신청
  • התיקיה שלי
גשמי
Reg No. Call No. מיקום מצב להשאיל מידע
EM098412 331 H233ㅌ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EM098413 331 H233ㅌ c.2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הזמנות זמינים בספר ההשאלה. כדי להזמין, נא לחץ על כפתור ההזמנה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