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자살론 : 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자살론 : 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Detailed Information
- 자료유형
- 단행본
- 140129054123
- ISBN
- 9788954622912 03300 : \14000
- KDC
- 334.5-5
- 청구기호
- 334.5 천74ㅈ
- 저자명
- 천정환
- 서명/저자
- 자살론 : 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 천정환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문학동네, 2013
- 형태사항
- 375 p ; 22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361-367
- 서지주기
- 색인: p. 368-375
- 초록/해제
- 요약: 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자살론』. 이 책은 한국사회의 자살을 고통과 해석의 역사로 다룬 것으로 자살의 근대의 국면과 계기에 대해 저자는 말하고 있다. 자살의 근대는 주체성과 사회적 문제상황 뿐 아니라 통치성과 자살에 대한 문화적 의미화의 변화에 의해 주어진다. 이에 저자는 자살의 다기한 원인을 살펴보고 해석하며 죽음에 대해 더 많은 앎으로 삶을 존중 받고자 한다. 현재 우리가 자살의 원인이라 보는 ‘우울증’은 근대적 성격을 띤다. 조선 시대에도 목숨을 끊는 이들이 있었으나 유교적 봉건 이데올로기 속에서 ‘분하고 수치’스러울 때 자살을 택했다. 이렇듯 자살의 서사가 원인이 시대를 거스르면서 달라진다. 자살은 실존적 선택이기에 숭고하지만 벼랑 끝에서 이루어지는 외로운 죽음이기도 하다. 경제적 생존 수단이 모두 박탈되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면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와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삶을 양산하는 사회에서 저자는 무엇이 이들을 자살이라는 외로움 죽음에 이르기 하는 것인지 진지하게 화두를 던진다.
- 가격
- \14000
- Control Number
- kpcl:202560
- 책소개
-
‘자살의 근대’를 통해 한국 사회의 죽음과 삶을 되짚어 보다!
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자살론』. 이 책은 한국사회의 자살을 고통과 해석의 역사로 다룬 것으로 자살의 근대의 국면과 계기에 대해 저자는 말하고 있다. 자살의 근대는 주체성과 사회적 문제상황 뿐 아니라 통치성과 자살에 대한 문화적 의미화의 변화에 의해 주어진다. 이에 저자는 자살의 다기한 원인을 살펴보고 해석하며 죽음에 대해 더 많은 앎으로 삶을 존중 받고자 한다.
현재 우리가 자살의 원인이라 보는 ‘우울증’은 근대적 성격을 띤다. 조선 시대에도 목숨을 끊는 이들이 있었으나 유교적 봉건 이데올로기 속에서 ‘분하고 수치’스러울 때 자살을 택했다. 이렇듯 자살의 서사가 원인이 시대를 거스르면서 달라진다. 자살은 실존적 선택이기에 숭고하지만 벼랑 끝에서 이루어지는 외로운 죽음이기도 하다. 경제적 생존 수단이 모두 박탈되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면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와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삶을 양산하는 사회에서 저자는 무엇이 이들을 자살이라는 외로움 죽음에 이르기 하는 것인지 진지하게 화두를 던진다.
MARC
008131205s2013 ggk 001a kor■00120140129054123
■00520140129192616
■020 ▼a9788954622912▼g03300▼c\14000
■040 ▼a241057
■056 ▼a334.5▼25
■090 ▼a334.5▼b천74ㅈ
■1001 ▼a천정환
■24510▼a자살론▼b고통과 해석 사이에서▼d천정환 지음
■260 ▼a파주▼b문학동네▼c2013
■300 ▼a375 p▼c22 cm
■504 ▼a참고문헌: p. 361-367
■504 ▼a색인: p. 368-375
■520 ▼a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자살론』. 이 책은 한국사회의 자살을 고통과 해석의 역사로 다룬 것으로 자살의 근대의 국면과 계기에 대해 저자는 말하고 있다. 자살의 근대는 주체성과 사회적 문제상황 뿐 아니라 통치성과 자살에 대한 문화적 의미화의 변화에 의해 주어진다. 이에 저자는 자살의 다기한 원인을 살펴보고 해석하며 죽음에 대해 더 많은 앎으로 삶을 존중 받고자 한다. 현재 우리가 자살의 원인이라 보는 ‘우울증’은 근대적 성격을 띤다. 조선 시대에도 목숨을 끊는 이들이 있었으나 유교적 봉건 이데올로기 속에서 ‘분하고 수치’스러울 때 자살을 택했다. 이렇듯 자살의 서사가 원인이 시대를 거스르면서 달라진다. 자살은 실존적 선택이기에 숭고하지만 벼랑 끝에서 이루어지는 외로운 죽음이기도 하다. 경제적 생존 수단이 모두 박탈되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면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와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삶을 양산하는 사회에서 저자는 무엇이 이들을 자살이라는 외로움 죽음에 이르기 하는 것인지 진지하게 화두를 던진다.
■653 ▼a자살▼a자살문제
■9500 ▼b\14000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Buch Status
- Reservierung
- frei buchen
- Book Loan Request
- Meine Mappe
Available after loggin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