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의 유교화 과정 :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한국의 유교화 과정 :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 자료유형
- 단행본
- 140126083228
- ISBN
- 9788994606231 93910 : \27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KDC
- 911.051-5
- 청구기호
- 911.051 D485ㅎ
- 저자명
- Deuchler, Martina , 1935-
- 서명/저자
- 한국의 유교화 과정 :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 이훈상 옮김
- 판사항
- [개정판]
- 발행사항
- 서울 : 너머북스, 2013
- 형태사항
- 555 p : 삽도 ; 22 cm
- 주기사항
- 부록: 1, 친족용어 풀이와 개념. - 2, 마르티나 도이힐러의 연구 업적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443-462
- 서지주기
- 색인: p. 540-555
- 초록/해제
- 요약: ‘한국학의 대가’로 우뚝 선 스위스인 마르티나 도이힐러 교수의 『한국의 유교화 과정』. 15-16세기 당시 사회에 성리학의 도입과 정착이 지속적으로 추진된 이유는 무엇이었으며, 성리학이 사회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책으로, 약 150여 종의 사료와 290여 편의 각종 저작을 인용하고 있다.저자는 사회인류학과 교류하면서 친족, 조상 숭배, 가계계승, 상속, 결혼, 상장례 등 6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고려 초기에서 조선 후기까지 한국의 역사를 통찰한다. 이를 통해 유교 사회로의 전환이 1392년 조선의 건국세력에 의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그 결과 17세기 중반에 이르러 조선의 양반 사회가 적장자 중심의 문중 사회로 재편성되었다는 결론을 짓는다.
- 기타저자
- 이훈상 , 1954-
- 기타서명
- 한국 사회의 유교적 변환
- 기타저자
- 도이힐러, 마르티나
- 가격
- \27000
- Control Number
- kpcl:202391
- 책소개
-
‘한국학의 대가’ 스위스인 마르티나 도이힐러가 내놓은 역작. 15~16세기 당시 사회에 신유학(성리학)의 도입과 정착이 지속적으로 강력히 추진된 동기는 무엇이었으며, 신유학이 사회 구조에 미친 영향은 어떠했는가에 대한 공백을 메운 최초의 본격 시도였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업적으로 평가받는 책이다.
20여 년이 걸린 마르티나 도이힐러의 역작은 약 150여 종이나 되는 사료와 290여 편의 각종 저작을 인용한다. 특히 사회인류학과 교류하면서 친족, 조상 숭배, 가계계승, 상속, 결혼, 상장례 등 6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고려 초기에서 조선 후기까지 한국의 역사를 통찰하는 가운데 매우 중요한 사실에 도달한다.
1392년 조선의 건국세력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추진된 유교 사회로의 전환이 이후 약 250년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완성되었고, 그 결과 17세기 중반에 이르러 조선의 양반 사회가 적장자 중심의 문중 사회로 재편성되었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렇게 재구성된 조선 사회는 고려시대의 사회 구조와 확연히 달랐고, 유교사상이 중국 사회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지만 한국에서는 세계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보기 힘들 정도로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