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전자책]
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전자책] / 김선현 지음
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전자책]

상세정보

자료유형  
 전자책
 
101116172331
ISBN  
9788926815342 93510 : \16000
ISBN  
9788926815359 98510(e-Book)
청구기호  
512.5156
서명/저자  
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전자책] / 김선현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이담북스, 2010
형태사항  
226 p : 삽화 ; 23 cm
총서명  
human therapy ; 13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초록/해제  
요약: 집단미술치료란 집단을 대상으로 미술활동을 통하여 환자의 심신(mind-body) 상태를 평가(진단)하기도 하고 질병의 치료나 증상의 호전을 도모하기도 하는 치료법이다. 집단미술치료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하는 치료 형태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아직 미술치료가 제도권 안에 들어오지 못하다 보니깐 병원, 복지관, 학교에서 치료의 개념보다는 집단미술활동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가장 큰 원인은 동양인의 특성, 특히 한국 사람들은 개인적 표현보다는 집단적, 공동체적인 의식이 더 강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이 책에서는 집단미술치료의 이론에 실제적인 임상에서의 적용에 중점을 두었다. 집단미술치료의 대상이나, 적용 가능한 질환은 다양하겠으나 이 책에는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질환 및 대상을 아동, 청소년, 치매노인으로 정하였으며, 정신분열증과 특수아동의 경우는 사회성의 필요성이 중요한 대상이라 기술하였다. 개인미술치료에 비해 집단미술치료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타인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친밀감이 향상되며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여 의지를 높이고 집단의 결속력이 강화되면서 치료동기가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예상치 못한 일들로 인해 흥미, 집중력까지 더해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대상의 특징에 대해, 대상과 집단미술치료의 연관성, 각 대상에 따른 집단미술치료의 적용, 치료사가 주의해야 할 점, 대상에 따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동양과 서양미술의 집단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차이점도 제시하였다. 이 책은 상담심리사, 임상심리사, 교사가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정의를 바로잡고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키워드  
미술치료 집단치료 임상미술치료
기타저자  
김선현
원문파일  
  원문보기
가격  
\16000
Control Number  
kpcl:201420
책소개  
『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는 집단미술치료의 이론에 실제적인 임상에서의 적용에 중점을 두었다. 집단미술치료의 대상이나, 적용 가능한 질환은 다양하겠으나 이 책에는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질환 및 대상을 아동, 청소년, 치매노인으로 정하였으며, 정신분열증과 특수아동의 경우는 사회성의 필요성이 중요한 대상이라 기술하였다.

MARC

 008101116c2010        ggka                      00a    kor
■00120101116172331
■00520101116173100
■020    ▼a9788926815342▼g93510▼c\16000
■020    ▼a9788926815359▼g98510(e-Book)
■090    ▼a512.5156
■24500▼a집단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h[전자책]▼d김선현  지음
■260    ▼a파주▼b이담북스▼c2010
■300    ▼a226  p  ▼b삽화▼c23  cm
■44000▼ahuman  therapy▼v13
■504    ▼a참고문헌  수록
■520    ▼a집단미술치료란  집단을  대상으로  미술활동을  통하여  환자의  심신(mind-body)  상태를  평가(진단)하기도  하고  질병의  치료나  증상의  호전을  도모하기도  하는  치료법이다.  집단미술치료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하는  치료  형태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아직  미술치료가  제도권  안에  들어오지  못하다  보니깐  병원,  복지관,  학교에서  치료의  개념보다는  집단미술활동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가장  큰  원인은  동양인의  특성,  특히  한국  사람들은  개인적  표현보다는  집단적,  공동체적인  의식이  더  강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이  책에서는  집단미술치료의  이론에  실제적인  임상에서의  적용에  중점을  두었다.  집단미술치료의  대상이나,  적용  가능한  질환은  다양하겠으나  이  책에는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질환  및  대상을  아동,  청소년,  치매노인으로  정하였으며,  정신분열증과  특수아동의  경우는  사회성의  필요성이  중요한  대상이라  기술하였다.  개인미술치료에  비해  집단미술치료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타인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친밀감이  향상되며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여  의지를  높이고  집단의  결속력이  강화되면서  치료동기가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예상치  못한  일들로  인해  흥미,  집중력까지  더해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대상의  특징에  대해,  대상과  집단미술치료의  연관성,  각  대상에  따른  집단미술치료의  적용,  치료사가  주의해야  할  점,  대상에  따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동양과  서양미술의  집단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차이점도  제시하였다.  이  책은  상담심리사,  임상심리사,  교사가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정의를  바로잡고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530    ▼a전자책(e-Book)으로도  이용가능
■653    ▼a미술치료▼a집단치료▼a임상미술치료
■7001  ▼a김선현
■85640▼uhttp://ebook.kstudy.com/search/book_detail.asp?b_code=G1000139
■9500  ▼b\16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高级搜索信息

    • 预订
    • 不存在
    • 도서대출신청
    • 我的文件夹
    材料
    注册编号 呼叫号码. 收藏 状态 借信息.
    EB001599 512.5156 전자도서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保留在借用的书可用。预订,请点击预订按钮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