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범죄수사론. Ⅰ - [전자책]
범죄수사론. Ⅰ - [전자책] / 황영구 지음
범죄수사론. Ⅰ - [전자책]

상세정보

자료유형  
 전자책
 
101004144249
ISBN  
9788926812655 94360 : \30000
ISBN  
9788926812662 98360(e-Book)
ISBN  
9788926812631 94360(set)
ISBN  
9788926812648 98360(e-Book set)
청구기호  
367.431
서명/저자  
범죄수사론. Ⅰ - [전자책] / 황영구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0
형태사항  
471 p ; 25 cm
총서명  
내일을여는지식 : 법 ; 62
서지주기  
참고문헌: p.459-461
서지주기  
찾아보기: p.463-471
초록/해제  
요약: 과거에는 범죄수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했지만, 최근에 와서는 경찰과 학계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범죄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수사이론이 많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수사(Investigation)라 함은 어떤 형사사건에 대하여 공소 제기 여부 결정, 또 공소 제기한 것을 유지하기 위해 범죄사실을 조사하고 범인 및 증거를 발견ㆍ수집ㆍ보전하는 수사기관의 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활동을 법적으로 규제하는 절차를 수사라고 하며, 수사는 형사 절차의 제1단계라고 할 수 있다. 수사의 개념을 분석해 보면 첫째, 수사는 이미 발생된 범죄의 진압을 목적으로 하며, 사전의 범죄예방과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활동 즉, 불심검문, 순찰 등은 수사라고 볼 수가 없다. 둘째, 수사는 국가형벌권 목적으로 형사소송법에 근거한 수사기관의 행위를 말한다. 즉, 사인(私人)의 현행범 체포, 행정기관의 조사행위, 사설탐정 등은 수사라고 볼 수 없다. 셋째, 수사는 범죄의 혐의가 있다고 사료되는 때에 개시한다. 즉, 내사, 변사체의 검시 등은 수사라고 볼 수 없다. 넷째, 수사는 공소 제기, 재판 등과 더불어 형사소송 절차의 일환이다. 공소 제기 후 공소 유지를 위한 준비로서 행하여지는 수사기관의 활동인 피고인조사, 참고인조사, 임의제출물 압수 등도 수사라고 볼 수 있으며, 불기소처분에 의하여 종결된 경우, 고소ㆍ고발 사건에 대하여 범죄혐의 유무를 밝히기 위한 수사기관의 활동, 양형조건 또는 소송조건의 존부에 관한 조사 등 모두 수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키워드  
범죄수사
기타저자  
황영구
원문파일  
  원문보기
가격  
\30000
Control Number  
kpcl:201391
책소개  
범죄수사의 이론과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다룬 교재 『범죄수사론 1』. 범죄수사에 관한 이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수사의 이론을 시작으로 수사의 개시, 수사 및 범죄피해, 현장수사활동, 조사 및 수사서류 작성요령, 과학수사, 수사행정 등을 다룬다. 아울러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에 도움이 되는 개정 및 제정된 법률을 반영하였다.

MARC

 008101004c2010        ko                          01a    kor
■00120101004144249
■00520101004152525
■020    ▼a9788926812655▼g94360▼c\30000
■020    ▼a9788926812662▼g98360(e-Book)
■020    ▼a9788926812631▼g94360(set)
■020    ▼a9788926812648▼g98360(e-Book  set)
■090    ▼a367.431
■24500▼a범죄수사론▼nⅠ▼h[전자책]▼d황영구  지음
■260    ▼a파주▼b한국학술정보▼c2010
■300    ▼a471  p▼c25  cm
■44000▼a내일을여는지식▼p법▼v62
■504    ▼a참고문헌:  p.459-461
■504    ▼a찾아보기:  p.463-471
■520    ▼a과거에는  범죄수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했지만,  최근에  와서는  경찰과  학계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범죄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수사이론이  많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수사(Investigation)라  함은  어떤  형사사건에  대하여  공소  제기  여부  결정,  또  공소  제기한  것을  유지하기  위해  범죄사실을  조사하고  범인  및  증거를  발견ㆍ수집ㆍ보전하는  수사기관의  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활동을  법적으로  규제하는  절차를  수사라고  하며,  수사는  형사  절차의  제1단계라고  할  수  있다.  수사의  개념을  분석해  보면  첫째,  수사는  이미  발생된  범죄의  진압을  목적으로  하며,  사전의  범죄예방과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활동  즉,  불심검문,  순찰  등은  수사라고  볼  수가  없다.  둘째,  수사는  국가형벌권  목적으로  형사소송법에  근거한  수사기관의  행위를  말한다.  즉,  사인(私人)의  현행범  체포,  행정기관의  조사행위,  사설탐정  등은  수사라고  볼  수  없다.  셋째,  수사는  범죄의  혐의가  있다고  사료되는  때에  개시한다.  즉,  내사,  변사체의  검시  등은  수사라고  볼  수  없다.  넷째,  수사는  공소  제기,  재판  등과  더불어  형사소송  절차의  일환이다.  공소  제기  후  공소  유지를  위한  준비로서  행하여지는  수사기관의  활동인  피고인조사,  참고인조사,  임의제출물  압수  등도  수사라고  볼  수  있으며,  불기소처분에  의하여  종결된  경우,  고소ㆍ고발  사건에  대하여  범죄혐의  유무를  밝히기  위한  수사기관의  활동,  양형조건  또는  소송조건의  존부에  관한  조사  등  모두  수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530    ▼a전자책(e-Book)으로도  이용가능
■653    ▼a범죄수사
■7001  ▼a황영구
■85640▼uhttp://ebook.kstudy.com/search/book_detail.asp?b_code=10000192
■9500  ▼b\30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도서대출신청
    • התיקיה שלי
    גשמי
    Reg No. Call No. מיקום מצב להשאיל מידע
    EB001570 367.431 전자도서관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 הזמנות זמינים בספר ההשאלה. כדי להזמין, נא לחץ על כפתור ההזמנה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