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중세의 가을
중세의 가을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000066
- ISBN
- 9788994054261 03920 : \30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원저작언어 - dut
- KDC
- 920.3-5
- 청구기호
- 920.3 H911ㅈ
- 저자명
- Huizinga, Johan
- 서명/저자
- 중세의 가을 / 요한 하위징아 지음 ; 이종인 옮김
- 발행사항
- 고양 : 연암서가, 2012
- 형태사항
- 776 p : 삽화 ; 22 cm
- 서지주기
- 색인수록
- 서지주기
- 요한 하위징아 연보수록
- 원저자/원서명
- Johan Huizinga /
- 원저자/원서명
- Herfsttij der Middeleeuwen
- 초록/해제
- 요약: 부르크하르트를 잇는 20세기 최고의 문화사가로 일컬어지는 요한 하위징아의 대표작 중세 유럽의 문화와 사상을 집대성한 책이다 하위징아는 이 책에서 전성기를 지나 노쇠해지고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단계인 14 15세기를 가을이라고 규정한다
- 기타저자
- Huizinga, Johan
- 기타저자
- 이종인
- 기타저자
- 하위징아, 요한
- 가격
- \30000
- Control Number
- kpcl:198061
- 책소개
-
20세기 역사학의 고전, 하위징아의《중세의 가을》을 우리말로 만나다!
중세 유럽의 문화와 사상을 집대성한 하위징아의 대표작『중세의 가을』. 네덜란드의 역사학자 요한 하위징아가 14세기와 15세기까지, 즉 중세 후기의 프랑스와 부로고뉴 역사를 고찰한 책이다. 저자는 역사에 있어서 암흑이라고 잘못 알려진 중세를 나름의 소박한 삶의 양식과 더 나은 세계에 대한 환상 속 ‘화려한 인본주의의 싹’을 가진 시기로 재해석하였다. 특히 이 시기는 근대 세계로의 이정표가 아니라, 꿈과 환상, 소망과 놀이, 상징과 이상을 중시한 독자적 문화를 가진 시기로 파악하였다. 기사도와 기독교 정신, 금욕과 사랑 등 지난날의 쇠퇴한 문화의 이상들을 ‘놀이’라는 새로운 형식으로 해석하였으며, 문화가 놀이로 표현되는 다양한 삶의 형식에 주목하였다. 더불어 ‘대비’, ‘이야기’등의 키워드를 통해 중세인들의 아름다운 꿈과 소망이 실현되는 다양한 형식을 탐구하였다.
MARC
008120809s2012 ggka 000a kor■0010000000066
■00520130226132833
■020 ▼a9788994054261▼g03920▼c\30000
■040 ▼a241057
■0411 ▼akor▼heng▼hdut
■056 ▼a920.3▼25
■090 ▼a920.3▼bH911ㅈ
■1001 ▼aHuizinga, Johan
■24510▼a중세의 가을▼d요한 하위징아 지음▼e이종인 옮김
■260 ▼a고양▼b연암서가▼c2012
■300 ▼a776 p▼b삽화▼c22 cm
■504 ▼a색인수록
■504 ▼a요한 하위징아 연보수록
■50710▼aJohan Huizinga
■50710▼tHerfsttij der Middeleeuwen
■520 ▼a부르크하르트를 잇는 20세기 최고의 문화사가로 일컬어지는 요한 하위징아의 대표작 중세 유럽의 문화와 사상을 집대성한 책이다 하위징아는 이 책에서 전성기를 지나 노쇠해지고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단계인 14 15세기를 가을이라고 규정한다
■546 ▼a네덜란드어 원작의 영역본을 한국어로 중역함
■653 ▼a중세▼a가을▼a유럽사▼a유럽문화사
■7001 ▼aHuizinga, Johan
■7001 ▼a이종인
■90000▼a하위징아, 요한
■9500 ▼b\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