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개요
▶ 1.1 위성통신 발전사
▶ 1.2 인공위성 현황
▶ 1.2.1 개 황
▶ 1.2.2 최근 위성 발사 현황
▶ 1.2.3 우주 과학 역사
▶ 1.3 통신위성시스템 구성과 서비스 분류
▶ 1.3.1 통신위성 시스템 구성
▶ 1.3.2 통신위성 서비스 분류
▶ 1.4 위성통신의 특징
▶ 1.4.1 위성통신의 특징
▶ 1.4.2 위성의 제한성
▶ 1.5 국제 위성기구
▶ 1.5.1 국제 통신위성 기구
▶ 1.5.2 지역 통신 위성 기구
▶ 1.6 국내 전용위성
▶ 1.6.1 주요국가 위성산업 현황
▶
▶ 제2장 위성통신 기본원리
▶ 2.1 위성궤도
▶ 2.1.1 위성궤도 종류
▶ 2.1.2 궤도별 장단점
▶ 2.1.3 궤도운행
▶ 2.1.4 원형궤도 원리
▶ 2.1.5 케플러 법칙(Kepler's laws)
▶ 2.1.6 경사궤도 운용
▶ 2.1.7 Co_Location Box Station
▶ 2.2 우주환경
▶ 2.2.1 이온층
▶ 2.2.2 대기권
▶ 2.2.3 진공 상태와 극냉 환경
▶ 2.2.4 무중력 상태
▶ 2.2.5 태양 잡음 간섭
▶ 2.2.6 위성일식 원인
▶ 2.2.7 Van Allen Belt
▶ 2.3 통신위성 주파수
▶ 2.3.1 ITU 주파수 분배
▶ 2.3.2 SHF 주파수(위성_지구국)
▶ 2.3.3 UHF 주파수
▶ 2.3.4 VHF 주파수(1)
▶ 2.3.5 VHF 주파수(2)
▶ 2.3.6 위성 회선 주파수 분배
▶ 2.4 위성수명 및 신뢰도
▶ 2.5 주파수 재사용
▶ 2.5.1 이중편파 원리
▶ 2.5.2 INTELSAT_VI호 주파수 재사용 실제
▶
▶ 제3장 위성발사 이론
▶ 3.1 발사체 종류
▶ 3.2 발사기지
▶ 3.2.1 육상 발사대
▶ 3.2.2 해상 발사대
▶ 3.2.3 나로 우주 센터
▶ 3.2.4 NASA(SPACE_X)
▶ 3.3 발사용역
▶ 3.4 궤도진입 수순
▶ 3.4.1 발사창문(launch windows)
▶ 3.5 INTELSAT 발사 현황
▶ 3.6 INTELSAT 차세대(10호)
▶ 3.7 GEO Injection Space Ballet
▶
▶ 제4장 위성체 구조
▶ 4.1 페이로드(Payload)
▶ 4.1.1 위성 안테나
▶ 4.1.2 위성 중계기
▶ 4.2 버스(Bus)
▶ 4.2.1 버스 모델 유형
▶ 4.2.2 버스 시스템 및 시험 항목
▶ 4.3 프로펠런트(Propellant)
▶ 4.3.1 추진력의 필요
▶ 4.3.2 추진기의 구성
▶ 4.3.3 추진기의 종류
▶ 4.3.4 추진연료의 배정
▶ 4.4 디스펀 안테나(Despun Ant)
▶ 4.4.1 위성체 안테나 기본 부품 분류
▶ 4.5 자세안정(Stabilization)
▶ 4.5.1 Gyroscope 특징
▶ 4.5.2 Spinner와 Three_Axis 적용사례
▶ 4.5.3 Dual Spin과 Pitch Momentum Biased의 장단점
▶ 4.5.4 Attitude Errors Control
▶ 4.6 TTAC(Telemetry, Tracking and Command)
▶ 4.7 태양전지판(Solar Cells Panel)
▶
▶ 제5장 위성회선 기초설계
▶ 5.1 회선설계 기초
▶ 5.1.1 SERVICE AVAILABILITY
▶ 5.1.2 DIGITAL(ISDN) LINKS
▶ 5.1.3 NETWORK ARCHITECTURE
▶ 5.1.4 SYSTEM NOISE
▶ 5.2 위성전송 특징
▶ 5.2.1 ITU 주파수 할당
▶ 5.2.2 INTELSAT과 INMARSAT 주파수 현황
▶ 5.2.3 SIGNAL 전송 BASEBAND
▶ 5.2.4 BINARY DIGITAL SIGNAL
▶ 5.2.5 DCMS
▶ 5.3 위성링크 설계
▶ 5.3.1 통신위성 망 구성
▶ 5.3.2 아날로그와 디지털 의사 표준회로
▶ 5.3.3 LINK NOISE와 잡음 목표치
▶ 5.3.4 우주국과 지상국 출력제한 목표치
▶ 5.4 지구국 양호지수
▶ 5.4.1 G/T
▶ 5.4.2 G/T-C/T-C/N-S/N 관계식
▶ 5.4.3 각종 지구국 규모와 G/T 규격
▶ 5.4.4 G/T 관련 고려 사항
▶ 5.5 다원접속 방식
▶ 5.5.1 Multiple_Access Techniques
▶ 5.5.2 FDMA/FM(주파수 분할 다원접속/주파수변조)
▶ 5.5.3 SCPC(단일 채널 단일 캐리어)
▶ 5.5.4 TDMA(시분할 다원접속)
▶ 5.5.5 CDMA(코드 분할 다원접속)
▶ 5.5.6 TRMA
▶ 5.6 캐리어 에너지 확산(EDF)
▶ 5.7 위성링크와 지상링크 병용
▶ 5.8 마이크로웨이브 링크(MWL)
▶ 5.8.1 Site Data
▶ 5.8.2 Passive Reflector
▶
▶ 제6장 지구국 설계
▶ 6.1 지구국 위치선정
▶ 6.2 지구국 설비
▶ 6.2.1 INTELSAT 표준지구국 규격
▶ 6.2.2 지구국 기본 장치 구성
▶ 6.3 지구국 안테나(Earth Station Antenna)
▶ 6.3.1 개요
▶ 6.3.2 위성통신용 안테나 종류
▶ 6.3.3 MYLAR 및 HORN 안테나
▶ 6.3.4 이중편파 휘드혼(Dual Pol.)
▶ 6.3.5 안테나 운용 테이터 설정
▶ 6.3.6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 6.3.7 추적 장치(Tracking system)
▶ 6.3.8 회전 도파관 (Rotating Joint)
▶ 6.4 저잡음 수신기(Low Noise Receiver)
▶ 6.4.1 개요
▶ 6.4.2 PARAMETRIC AMPLIFIER
▶ 6.4.3 RECEIVING SYSTEM NOISE
▶ 6.5 고전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 6.5.1 개요
▶ 6.5.2 KLYSTRON(KPA)
▶ 6.5.3 TWTA(HPA/IPA)
▶ 6.5.4 SSPA
▶ 6.5.5 HPA COMBINING (Multiplexing)
▶ 6.5.6 HPA의 내부혼변조
▶ 6.6 디지털 변복조기
▶ 6.7 FDMA 대 TDMA 출력 비교
▶
▶ 제7장 서비스 운용
▶ 7.1 VSAT
▶ 7.1.1 ONE_WAY_BUSINESS 서비스
▶ 7.1.2 TWO_WAY BUSINESS 서비스
▶ 7.1.3 TWO_WAY MOBILE 서비스
▶ 7.1.4 VSAT 이용자
▶ 7.1.5 VSAT 접속방식
▶ 7.1.6 NETWORK OPERATIONS
▶ 7.1.7 VSAT 응용부문
▶ 7.2 DBS
▶ 7.2.1 DBS 각종 지구국
▶ 7.2.2 선진 위성 사업 사례
▶ 7.2.3 국내 위성 서비스
▶ 7.3 VIDEO CONFERENCING
▶ 7.3.1 이용 분야와 IVC 구성개념
▶ 7.3.2 영상회의실 내부 구성장비
▶ 7.3.3 영상회의 서비스 응용
▶ 7.4 HDTV
▶ 7.4.1 고품위 TV
▶ 7.4.2 ’88 올림픽 HDTV 중계
▶ 7.5 IBS/IDR/SCPC
▶ 7.5.1 IBS
▶ 7.5.2 IDR
▶ 7.5.3 SCPC
▶ 7.6 위성 Internet
▶ 7.6.1 Internet
▶ 7.6.2 Intelsat_Internet
▶ 7.6.3 고속 Internet(E3) 서비스 구성도
▶ 7.7 VoIP
▶ 7.8 ELT
▶ 7.8.1 ELT(긴급 조난위치 발신)
▶ 7.8.2 COSPAS_SARSAT
▶ 7.8.3 A I S
▶ 7.9 VLBI
▶ 7.10 DMB
▶ 7.10.1 기술개요
▶ 7.10.2 표준 시스템
▶ 7.11 LEO 서비스
▶
▶ 제8장 GPS
▶ 8.1 서론
▶ 8.2 GPS 발전사
▶ 8.3 GPS 방식
▶ 8.3.1 PPS 서비스
▶ 8.3.2 SPS 서비스
▶ 8.3.3 GLONASS
▶ 8.3.4 GALILEO
▶ 8.4 연계 확장 시스템
▶ 8.5 위성 항법의 기본
▶ 8.5.1 TOA 측정을 이용한 거리 개념
▶ 8.6 좌표계
▶ 8.6.1 기준 좌표계
▶ 8.6.2 ECI 좌표계 (Earth_Centered Inertial)
▶ 8.6.3 ECEF 좌표계 (Earth_Centered_ Earth_Fixed)
▶ 8.6.4 World Geodetic System (WGS_84)
▶ 8.6.5 이용자 측지좌표(위도, 경도, 고도) 결정
▶ 8.6.6 Geodetic 좌표계에서 ECEF 형태의 Cartesian 좌표계로의 전환
▶ 8.6.7 ECEF계 측지 지원 공식표
▶ 8.7 GPS 위성궤도 기본 조건
▶ 8.8 PRN code
▶ 8.8.1 PRN code 이용 위치 결정
▶ 8.8.2 위성_이용자간 거리 결정
▶ 8.9 GPS와 GLONASS 우주부문
▶ 8.9.1 GPS 위성배열
▶ 8.9.2 GLONASS 위성 배열
▶ 8.10 GPS 측정 오차
▶ 8.10.1 측정 오차 원인
▶ 8.10.2 측정 오차 대응
▶ 8.10.3 DGPS
▶ 8.10.4 RTK GPS
▶ 8.11 GPS 수신 장치
▶
▶ 제9장 해사(이동) 위성통신
▶ 9.1 INMARSAT 운용 현황
▶ 9.2 망 구성설비
▶ 9.2.1 해안지구국(Coastal Earth Station)
▶ 9.2.2 해사위성과 선박 터미널 구성
▶ 9.3 표준 터미널 종류 및 기술제원
▶ 9.4 TTAC
▶ 9.5 GMDSS
▶ 9.6 Fleet 33/55/77
▶ 9.7 GXC (Global Xpress)
▶ 9.8 차세대 우주 응용기술 개발
▶
▶ 제10장 국내위성(Domestic Satellites)
▶ 10.1 무궁화호(Koreasat)
▶ 10.1.1 무궁화호Ⅰ세대 위성체 규모
▶ 10.1.2 위성발사용역 및 위성체 제작 보험
▶ 10.1.3 중계기(Transponder) 주파수 할당
▶ 10.1.4 DBS/Video 회선
▶ 10.1.5 응용회선 종류
▶ 10.1.6 무궁화호 제II세대 (Koreasat_3) 8
▶ 10.1.7 Koreasat_3 특성
▶ 10.1.8 Koreasat_5 / Koreasat_6(Olleh_1)
▶ 10.1.9 국산 개발 위성 탑재체
▶ 10.1.10 TTAC (Tracking, Telemetry And Control/Commander)
▶ 10.1.11 관제소 운용기술
▶ 10.2 아리랑 호(Kompsat)
▶ 10.2.1 아리랑 1호
▶ 10.2.2 아리랑 2호
▶ 10.2.3 아리랑 3호
▶ 10.3 우리별(Kitsat)
▶ 10.3.1 Kitsat_1호
▶ 10.3.2 Kitsat_2호
▶ 10.3.3 Kitsat_3호
▶ 10.3.4 과학기술위성 1호(우리별 4호)
▶ 10.3.5 과학기술위성 2호
▶ 10.4 위성전파 감시센터
▶ 10.4.1 시스템 수행 임무
▶ 10.4.2 감시 범위와 주파수
▶ 10.4.3 Antenna 시스템
▶ 10.4.4 HISS 시스템
▶
▶ 제11장저궤도 위성통신(LEO SATELLITES)
▶ 11.1 저궤도 위성 개요
▶ 11.2 밴 알렌 방사능대(Van Allen Belt)
▶ 11.3 GMPCS
▶ 11.4 이리디움(IRIDIUM)
▶ 11.5 글로벌스타(GLOBALSTAR)
▶ 11.6 오브컴(ORBCOMM)
▶ 11.7 아이코(ICO), 오뎃세이(ODYSSEY)
▶ 11.8 차세대 일본 LEO 프로젝트(NeLS)
▶ 11.9 광명성 1호와 동창리 기지(북한)
▶
▶ 제12장영상탐사위성(Imaging Satellite)
▶ 12.1 위성탐사 특장과 응용
▶ 12.2 위성센서 분류와 영상처리
▶ 12.3 천리안 다목적 위성
▶ 12.4 기상 관측위성
▶ 12.5 ISO 적외선 관측 위성
▶
▶ 부록
▶ 위성시스템 운용지침 용어해설(영문)
▶ 2. 유인우주선 비행 주요 기록
▶ 3. 주요 과학기술 표기 알파벳 비교표
▶ 4. INDEX(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