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QUEST 1 조경사
▶
▶ CHAPTER01 서양조경사
▶ [1] 고대조경
▶ 1. 고대 서부아시아
▶ 2. 고대 이집트
▶ 3. 고대 그리스
▶ 4. 고대 로마
▶ [2] 중세조경
▶ 1. 중세 서구
▶ 2. 중세 이슬람 세계
▶ [3]르네상스 조경
▶ 1. 이탈리아
▶ 2. 프랑스
▶ 3. 영국 정형식 정원
▶ 4. 기타 유럽 국가
▶ [4] 근대와 현대조경
▶ 1. 18C 영국의 자연풍경식
▶ 2. 영국 풍경식 정원의 영향
▶ 3. 19C 조경
▶ 4. 20C 조경
▶
▶ CHAPTER02 중국 조경사
▶ [1] 중국정원의 특징
▶ [2] 시대별 조경특징
▶ 1. 은(殷)시대
▶ 2. 주(周)시대
▶ 3. 진(秦)시대
▶ 4. 한(漢)시대
▶ 5. 삼국(三國)시대
▶ 6. 진(東晋)시대
▶ 7. 남.북조(南.北朝)시대
▶ 8. 수(隋)시대
▶ 9. 당(唐)시대
▶ 10. 송대(宋代)
▶ 11. 금(金)시대
▶ 12. 원(元)시대
▶ 13. 명(明)시대
▶ 14. 청(靑)시대
▶
▶ CHAPTER03 일본 조경사
▶ [1] 일본정원의 특징
▶ [2] 시대별 조경의 특징
▶ 1. 상고(上古)시대
▶ 2. 아스카(飛鳥)시대
▶ 3. 나라(奈良)시대
▶ 4. 헤이안(平安)시대 전기
▶ 5. 가마꾸라바쿠후(鎌倉幕府)시대
▶ 6. 남북조시대
▶ 7. 무로마찌(室町)시대
▶ 8.. 모모야마(桃山)시대
▶ 9. 에도(江戶)시대
▶ 10. 메이지(明治)시대
▶
▶ CHAPTER04 한국 조경사
▶ [1] 총론
▶ [2] 원시 및 고대의 조경
▶ 1. 고조선시대
▶ 2. 삼국시대
▶ 3. 통일신라
▶ 4. 발해
▶ [3] 중세(中世)의 정원 _ 고려시대
▶ 1. 총론
▶ 2. 궁궐조경
▶ 3. 객관(客館)의 정원
▶ 4. 민간정원
▶ 5. 사원(寺院)의 정원
▶ 6. 정원의 주요 구성요소
▶ 7. 고려시대의 조경식물
▶ [4] 근세(近世)의 정원 ? 조선시대
▶ 1. 총론
▶ 2. 궁궐정원
▶ 3. 객관의 정원
▶ 4. 민간정원
▶ 5. 서원조경
▶ 6. 누원(樓苑)
▶ 7. 사찰(寺刹)정원
▶ 8. 조경문헌
▶ [5] 현대조경
▶
▶ CONQUEST 2 조경계획
▶
▶ CHAPTER01 조경계획일반
▶ [1] 조경의 정의 및 조경가의 역할
▶ [2] 조경대상 및 타분야와의 관계
▶
▶ CHAPTER02 조경계획
▶ [1] 조경계획의 과정
▶ [2] 자연환경조사분석
▶ 1. 지형 및 지질조사
▶ 2. 기후조사
▶ 3. 토양조사
▶ 4. 수문조사
▶ 5. 생태조사
▶ 6. 경관조사
▶ 7. 리모트센싱(REMOTE SENSING)에 의한 환경조사
▶ [3] 인문·사회환경조사
▶ [4] 분석의 종합 및 평가
▶ [5] 계획의 접근방법
▶ 1. 물리.생태적 접근
▶ 2. 시각.미학적 접근
▶ 3. 사회행태적 접근
▶ [6] 대안작성 및 기본계획
▶ [7] 영향평가
▶
▶ CHAPTER03 부분별 조경계획
▶ [1] 시설물 조경계획
▶ 1. 토지이용에 대한 법적 제한규정
▶ 2. 단독주거(주택)공간
▶ 3. 집합주거(아파트)공간
▶ 4. 비주거용 건물의 정원
▶ [2] 공원녹지계획
▶ 1. 도시공원녹지계획
▶ 2. 자연공원계획
▶ [3] 레크레이션 조경계획
▶ [4] 교통시설 조경계획
▶
▶ CHAPTER04 조경계획 관련법규
▶ [1] 국토기본법
▶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법률
▶ [3] 도시관리계획수립지침
▶ [4]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규칙
▶ [5]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 [6] 자연공원법
▶ [7] 건축법
▶ [8] 조경기준
▶ [9] 자연환경보전법
▶ [10] 환경정책기본법
▶ [11] 환경영향평가법
▶
▶ CONQUEST 3 조경설계
▶
▶ CHAPTER01 설계의 기초
▶ [1] 제도의 기초
▶ [2] 선
▶ [3] 치수선의 사용
▶ [4] 설계기호 및 표현기법
▶ [5] 기타제도사항
▶
▶ CHAPTER02 조경설계과정
▶
▶ CHAPTER03 경관분석
▶ [1] 경관분석의 분류
▶ [2] 경관의 표현
▶ 1. 경관 이미지
▶ 2. 경관 선호도
▶ [3] 경관분석방법 및 유형
▶ [4] 경관분석의 접근방식
▶ 1. 생태학적 접근
▶ 2. 형식미학적 접근
▶ 3. 정신물리학적 접근
▶ 4. 심리학적 접근
▶ 5. 기호학적 접근
▶ 6. 현상학적 접근
▶ 7. 경제학적 접근
▶
▶ CHAPTER04 조경미학
▶ [1] 디자인 요소
▶ 1. 점(點POINT)
▶ 2. 선(線LINE)
▶ 3. 방향(方向DIRECTION)
▶ 4. 형태(形態SHAPE)
▶ 5. 질감(質感TEXTURE)
▶ [2] 색채이론
▶ [3] 디자인원리 및 형태구성
▶ 1. 조화
▶ 2. 통일과 변화
▶ 3. 균형
▶ 4. 율동(운율 RHYTHM)
▶ 5. 축(軸AXIS)
▶ 6. 강조(ACCENT)
▶ [4] 환경미학
▶ 1. 시야(視野)의 척도
▶ 2. 시지각의 특성
▶ 3. 연속경관
▶ 4. 부각, 앙각, 응시, 착시
▶ 5. 공간의 한정 형태
▶ 6. 공간과 거리감
▶ 7. 공간의 개방감과 폐쇄감
▶
▶ CHAPTER05 조경시설물의 설계
▶ [1] 운동시설 설계
▶ [2] 놀이시설물 설계
▶ [3] 휴게시설물 설계
▶ [4] 경관조명시설물 설계
▶ [5] 수경시설물 설계
▶ [6] 각종포장설계
▶ [7] 안내표지시설의 설계
▶ [8] 기타시설물의 설계
▶
▶ CONQUEST 4 조경식재
▶
▶ CHAPTER01 식재일반
▶ [1] 식재의 의의
▶ [2] 식재의 효과와 이용
▶ [3] 배식원리
▶ [4] 경관조성식재
▶
▶ CHAPTER02 식재계획 및 설계
▶ [1] 설계일반
▶ [2] 기능식재
▶ 1. 차폐식재
▶ 2. 가로막기식재
▶ 3. 녹음식재
▶ 4. 방음식재
▶ 5. 방풍식재
▶ 6. 방화식재
▶ 7. 방설식재
▶ 8. 지피식재
▶ [3] 부분별 식재설계
▶ 1. 주택정원
▶ 2. 도시조경
▶ 3. 도로조경
▶ 4. 공장조경
▶ 5. 학교조경
▶ 6. 단지식재
▶ 7. 임해매립지조경
▶ 8. 경사면(법면)식재
▶ 9. 화단식재
▶
▶ CHAPTER03 조경식물재료
▶ [1] 조경수목의 명명법
▶ [2] 조경수목의 분류
▶ [3] 조경식물의 생리·생태적 특성
▶ [4] 조경식물의 내환경성
▶ [5] 조경수목의 학명
▶
▶ CHAPTER04 조경식물의 생태와 식재
▶ [1] 식물군락
▶ [2] 개체군(個體群)의 생태
▶ [3] 군집의 생태
▶ [4] 식생조사
▶ [5] 군락식재 설계
▶
▶ CHAPTER05 식재공사
▶ [1] 수목의 조건 및 규격
▶ [2] 수목의 이식시기
▶ [3] 수목의 이식공사
▶ [4] 잔디 및 지피식재
▶ [5] 옥상조경(인공지반식재) 및 벽면조경
▶ [6] 생태환경 복원공사
▶ 1. 환경복원녹화
▶ 2. 비탈면 녹화설계
▶ 3. 생태계 복원공사
▶ 4. 자연형 하천(생태하천)
▶ 5. 인공습지 및 생태연못
▶ 6. 생태통로 및 어도
▶ 7. 훼손지 복구
▶ 8. 생물서식공간 조성
▶ 9. 생태계 이전
▶ 10. 자연환경림
▶
▶ CONQUEST 5 조경시공
▶
▶ CHAPTER01 시공의 개요
▶ [1] 조경시공재료
▶ [2] 시방서
▶ [3] 공사계약 및 시공방식
▶ [4] 공사관리
▶ [5] 공정표
▶
▶ CHAPTER02 조경시공 일반
▶ [1] 공사준비
▶ [2] 토양 및 토질
▶ [3] 지형 및 시공측량
▶ [4] 정지 및 표토복원
▶ [5] 가설공사
▶
▶ CHAPTER03 공종별 조경시공
▶ [1] 토공 및 지반공사
▶ [2] 운반 및 기계화시공
▶ [3] 콘크리트(CONCRETE)공사
▶ [4] 목공사
▶ [5] 석공사
▶ [6] 조적(벽돌)공사
▶ [7] 기타공사
▶
▶ CHAPTER04 조경시설공사
▶ [1] 포장공사
▶ [2] 급·관수시설공사(살수관개시설)
▶ [3] 배수시설공사
▶ [4] 순환로 공사설계
▶
▶ CHAPTER05 조경적산
▶ [1] 수량산출 및 품셈
▶ 1. 개요
▶ 2. 토공량
▶ 3. 운반 및 기계
▶ 4. 콘크리트량
▶ 5. 목재량
▶ 6. 석재량
▶ 7. 벽돌량
▶ 8. 수목 및 잔디
▶ [2] 공사비 산출
▶
▶ CHAPTER06 기본구조역학
▶ [1] 구조설계의 개념과 과정
▶ [2] 힘과 모멘트
▶ [3] 구조물
▶ [4] 부재의 선택과 크기 결정
▶ 1. 보의 종류
▶ 2. 내.외응력의 종류
▶ 3. 단면의 성질
▶ 4. 보의 설계
▶ 5. 장.단주의 설계
▶ 6. 담장의 구조설계
▶ 7. 옹벽의 안전성검토
▶
▶ CONQUEST 6 조경관리
▶
▶ CHAPTER01 조경관리의 운영
▶ [1] 조경관리의 의의와 기능
▶ [2] 운영관리
▶
▶ CHAPTER02 이용관리계획
▶ [1] 이용자관리
▶ [2] 주민참가
▶ [3] 레크리에이션관리
▶ [4]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
▶
▶ CHAPTER03 조경식물관리
▶ [1] 조경수목의 관리
▶ 1. 정지 및 전정
▶ 2. 시비
▶ 3. 관수
▶ 4. 멀칭(MULCHING)
▶ 5. 월동관리(방한)
▶ 6. 지주목
▶ 7. 상처치료 및 외과수술
▶ 8. 조경수목의 생육장해
▶
▶ [2] 초화류의 유지관리
▶ [3] 잔디관리 및 잡초관리
▶ [4] 병충해관리
▶ [5] 농약관리
▶
▶ CHAPTER04 시설물 유지관리
▶ [1] 시설물 유지관리 개요
▶ [2] 기반시설의 유지관리
▶ 1. 포장관리
▶ 2. 배수관리
▶ 3. 비탈면 관리
▶ 4. 옹벽
▶ [3] 편익 및 유희시설의 유지관리
▶ 1. 재료별 유지관리
▶ 2. 편익시설별 유지관리
▶ 3. 유희시설유지관리
▶ [4] 건축물의 유지관리
▶
▶ CONQUEST 7 최근기출문제 (2008년~2012년)
▶
▶ [1] 조경기사
▶ [2] 조경산업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