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국제관계학 비판 :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
국제관계학 비판 :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00041251
- ISBN
- 9788990106667 04300 : \20000
- ISBN
- 9788990106643(세트)
- 청구기호
- 567.01 구12ㄱ
- 서명/저자
- 국제관계학 비판 :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 / 구갑우
- 발행사항
- 서울 : 후마니타스, 2008
- 형태사항
- 480 p. ; 21 cm
- 주기사항
- 색인 : p. 473-480
- 초록/해제
- 초록이 책은 '지금-여기'란 시공간에서 사회과학의 역사적 소명을 생각하는, 국제관계학을 공부하려는 작은 시도다. '지금'이란 시간 속에서 나타나는 근대와 탈근대의 중첩 그리고 '여기'라는 공간이 가지는 경계의 유연성을 고민하면서 수행하는, 국제관계학 '비판'은, 지금-여기에 '있는 것'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있어야 할 것'과 '없어져야 할 것'을 제시하는 작업이다. 즉 이책은,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라는 부제에서 나타나듯, '우리'에게 국제관계의 진보다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물으려 한다.
- 기타저자
- 구갑우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kpcl:188063
- 책소개
-
아시아 노동자들에게 삼성은 어떤 기업인가?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 삼성이 아시아에서 어떤 방식으로 생산을 조직하고 기업을 운영하는가 하는 문제를 노동 인권의 관점에서 다룬 책. 현재 12개국에서 초국적기업 감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들의 네트워크인 아시아초국적기업감시연대는 아시아의 움직이는 자본에 의해 노동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아시아의 대표적 초국적기업 가운데 하나인 삼성과 지역 노동자들의 관계를 따라가며 관찰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삼성의 하청망 안에 비일비재하게 존재하는 비인간적 인권침해를 특별히 부각시키지는 않는다. 초국적기업 노동자들의 삶과 노동이 어떻게 한국,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중국에서 초국적 자본의 확산과 활동 속에서 하나로 통합되고, 불평등하게 조직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삼성이 아시아로 이전한 부분들은 노동집약적 산업이고, 이같은 산업에서는 한국에서와 같이 경제적 보상을 통해 노동자들을 만족시킬 수 없는 만큼 더 많은 노동쟁의가 일어나고, 더 많은 노동자가 조직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삼성이 정치적 권리를 배제한다는 원칙을 포기하지 않는다몀, 노동자의 단결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노동자들을 다루기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 충고한다.
MARC
008100811s2008 ulk 001 kor■001000000041251
■00520100811104508
■020 ▼a9788990106667▼g04300▼c\20000
■020 ▼a9788990106643(세트)
■040 ▼a241057
■090 ▼a567.01▼b구12ㄱ
■24500▼a국제관계학 비판 ▼b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d구갑우
■260 ▼a서울▼b후마니타스 ▼c2008
■300 ▼a480 p.▼c21 cm
■50000▼a색인 : p. 473-480
■520 ▼b이 책은 '지금-여기'란 시공간에서 사회과학의 역사적 소명을 생각하는, 국제관계학을 공부하려는 작은 시도다. '지금'이란 시간 속에서 나타나는 근대와 탈근대의 중첩 그리고 '여기'라는 공간이 가지는 경계의 유연성을 고민하면서 수행하는, 국제관계학 '비판'은, 지금-여기에 '있는 것'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있어야 할 것'과 '없어져야 할 것'을 제시하는 작업이다. 즉 이책은,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라는 부제에서 나타나듯, '우리'에게 국제관계의 진보다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물으려 한다.
■653 ▼a국제관계학▼a비판
■7001 ▼a구갑우
■9500 ▼b\20,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ไม่อยู่
- 도서대출신청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