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개항기 전후 경상도의 육상 교통
개항기 전후 경상도의 육상 교통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1084132
- ISBN
- 9788952108326 93300 : \15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요약문언어 - eng
- 청구기호
- 981.18 허66ㄱ
- 저자명
- 허우긍
- 서명/저자
- 개항기 전후 경상도의 육상 교통 / 허우긍 ; 도도로키 히로시 [공]저.
- 발행사항
-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형태사항
- xiii, 328 p. : 삽도, 지도, 도표 ; 23 cm.
- 총서명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 연구총서 ; 24.
- 주기사항
- 찾아보기: p. 319-325.
- 주기사항
- 경상도의 철도 연표(年表): p. 267-269.
- 주기사항
- 부록: 1. 경상도의 철도노선-구간별 개통일자와 거리, 2. 경상도의 조선시대 간선도로-1:25,000 지도에 복원한 경로.
- 주기사항
- Abstract: p. 317-318.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57-263.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키워드
- 교통
- 기타저자
- 굉박지
- 기타저자
- 도도로키 히로시.
- 기타저자
- Huh, Woo-kung.
- 기타저자
- Todoroki, Hiroshi.
- 가격
- 15,000
- Control Number
- kpcl:187274
- 책소개
-
『개항기 전후 경상도의 육상교통』은 도로와 철도교통을 통해 개항과 국권의 상실이라는 진통이 한국의 지도를 어떻게 바꾸어 갔는지를 밝히고 있는 책이다.
우리에게 개항기란 근세로부터 근대로 옮겨가며 큰 진통을 겪은 시기였다. 진통의 흔적은 지표 공간에도 그대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교통체계의 변화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개항기는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연구에 비하면 마치 틈새와 같아서 아직 밝혀지지 않는 부분이 많은 시기이다. 이처럼 덜 조명된 시기를 지리학적인 관점에서 연구, 해석하기 위한 시도를 한 것이다.
MARC
008100716s2007 ulkabd AK 001c kor■001000011084132
■00520100716095745
■020 ▼a9788952108326▼g93300▼c\15000
■040 ▼a241018▼c241018
■0410 ▼akor▼beng
■090 ▼a981.18▼b허66ㄱ
■1001 ▼a허우긍▼h(許宇亘).
■24510▼a개항기 전후 경상도의 육상 교통▼d허우긍▼e도도로키 히로시 [공]저.
■260 ▼a서울▼b서울대학교출판부▼c2007.
■300 ▼axiii, 328 p. ▼b삽도, 지도, 도표▼c23 cm.
■44000▼a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 연구총서 ▼v24.
■50011▼j(A)geography of inland transport in the Gyongsangdo region of Korea, from the late nineteenth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ies.
■50000▼a찾아보기: p. 319-325.
■50000▼a경상도의 철도 연표(年表): p. 267-269.
■50000▼a부록: 1. 경상도의 철도노선-구간별 개통일자와 거리, 2. 경상도의 조선시대 간선도로-1:25,000 지도에 복원한 경로.
■50000▼aAbstract: p. 317-318.
■504 ▼a참고문헌: p. 257-263.
■504 ▼a서지적 각주 수록.
■653 ▼a교통
■7001 ▼a굉박지▼h(轟博志).
■90011▼a도도로키 히로시.
■90011▼aHuh, Woo-kung.
■90011▼aTodoroki, Hiroshi.
■9500 ▼a1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