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민속의 전승양상과 인식의 틀
한국 민속의 전승양상과 인식의 틀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0010769883
- ISBN
- 8956383812 : \25000
- ISBN
- 9788956383811 93380
- 청구기호
- 380.911 류75ㅎ
- 저자명
- 류종목 , 1945-
- 서명/저자
- 한국 민속의 전승양상과 인식의 틀 / 류종목.
- 판사항
- 초판.
- 발행사항
- 서울 : 민속원, 2006.
- 형태사항
- 360 p. : 삽도 ; 24cm.
- 총서명
- 민속원 ; 35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349-354)과 색인(p. 355-360) 수록
- 주제명-지명
- Korea Social life and customs.
- 주제명-지명
- Korea Civilization.
- 기타저자
- 유종목 , 1945-
- 기타저자
- Yu, Chong-mok , 1945-
- 기타서명
- Han'guk minsok ui chonsung yangsang kwa insik ui t`ul
- 총서명
- Minsogwon ; 353
- 가격
- \25000
- Control Number
- kpcl:175436
- 책소개
-
민속은 현실 대응의 한 방편이면서 유사주술이라 할 수 있다. 때에 따라 그것은 상징과 강조를 위한 장치이기도 한다. 정월 대보름날 아주까리 잎에 밥을 싸서 먹으면 그 해 꿩알을 줍는다고 한다. 그리고 꿩알을 주우면 농사 장원한다는 속신도 있다. 이것은 유사주술에 의한 상징에서 나온 속신이다. 아주까리 잎은 꿩의 둥우리로서, 거기에 싼 밥은 꿩알로서 상징된다. 그것을 보름날 먹음으로써 그와 같은 모양의 꿩알을 줍는다는 유사주술에서 생긴 습속이다....
MARC
008080109s2006 ulka b 001c kor■001000010769883
■00520070109153947.0
■007ta
■020 ▼a8956383812▼c\25000
■020 ▼a9788956383811▼g93380
■090 ▼a380.911▼b류75ㅎ
■1001 ▼a류종목▼d1945-
■24510▼a한국 민속의 전승양상과 인식의 틀▼d류종목.
■250 ▼a초판.
■260 ▼a서울▼b민속원 ▼c2006.
■300 ▼a360 p.▼b삽도▼c24cm.
■44000▼a민속원▼v353
■50000▼k2007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 도서"
■504 ▼a참고문헌(p. 349-354)과 색인(p. 355-360) 수록
■650 0▼aFolklore▼zKorea
■651 0▼aKorea▼xSocial life and customs.
■651 0▼aKorea▼xCivilization.
■90010▼a유종목 ▼d1945-
■90011▼aYu, Chong-mok ▼d1945-
■940 ▼aHan'guk minsok ui chonsung yangsang kwa insik ui t`ul
■949 ▼aMinsogwon▼v353
■9500 ▼b\2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