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왜냐고 묻지 않는 삶 (한국에서 살아가는 어떤 철학자의 영적 순례)
왜냐고 묻지 않는 삶 (한국에서 살아가는 어떤 철학자의 영적 순례)
저자 : 알렉상드르 졸리앙
출판사 : 인터하우스
출판년 : 2015
정가 : 13000, ISBN : 9791195435319

책소개


우리 삶의 진짜 주인은 누구일까? 혹시 ‘불안’, ‘짜증’, ‘남의 시선’이 아닐까? 우리는 ‘행복한 척’, ‘잘난 척’, ‘센 척’하며 거짓 삶을 살고 있지 않은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 중의 하나가 ‘ID’인데서 볼 수 있듯이 21세기에 모든 사람은 ‘나’이고 모든 삶과 관계에서의 주체이다. 동시에 이 ‘나’와 ‘주체’는 (카카오) ‘톡’과 ‘SNS’를 통해 온갖 이야기와 사회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역설적이지만 이러한 개인화는 지구화와 동시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고 하다. 이웃집하고는 인사도 없이 지내지만 미국의 사이트들은 무수히 ‘방문’하며, 할아버지대의 조상에 대해서는 전혀 무관심하지만 팬 카페에는 부단히 ‘접속’한다. 하지만 동시에 인터넷 시대는 불안과 고독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시대이기도 하다. 하이데거의 지적대로 이 모든 것이 ‘소음’, ‘객설’인 것 또한 숨길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또는 졸리앙이 인용하는 라캉에 따르면 “말하는 것은 즐기는 것이고 귀 기울여 듣는 것은 죽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이런 질문으로 우리를 이끈다. 즉 우리 삶의 진짜 주인은 누구일까? 혹시 ‘불안’, ‘짜증’, ‘남의 시선’이 아닐까? 우리는 ‘행복한 척’, ‘잘난 척’, ‘센 척’하며 거짓 삶을 살고 있지 않은가? 우리가 진짜 우리 삶을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은 거의 모든 광고가 ‘우리가 당신에게 진짜 삶을, 당신이 주인이 되는 삶을 마련해주겠다’고 광고하는 것을 보면 역설적으로 확인되지 않는가? 예를 들어 한국이 ‘성형’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고 대학생들이 ‘스팩’에 죽도록 매달리는 것은 이것을 너무나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해 졸리앙이 던지는 화두는 직설적이다. “왜냐고 묻지 않는 삶, 그것은 나 자신으로부터, 남의 평판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두려움과 분노, 정념과 에고에 복종하지 않는 것이다.”

목차


추천사
머리말

부처님과 예수님의 돌보심
네 가지 고귀한 진리
발가벗고 나아가다
우리는 결정권자가 아니다
그냥 있어라
험, 바람을 좇는 일
치유되려는 생각으로부터의 치유
언제나 정진
뗏목
아이의 순수함

(중략)

멘탈 주파수
피정
귀 기울여 듣기
세상의 소리
고귀한 침묵
험담 흘려듣기
한국의 소크라테스
두려움에 대한 불복종

맺음말
감사의 말씀
역자후기
각주
참고문헌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