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 (나답게 살기 위해 일과 거리두기 | 사람은 결코 일하기 위해 살지 않는다!)
저자 : 이즈미야 간지
출판사 : 북라이프
출판년 : 2017
정가 : , ISBN : 9791185459967
책소개
“사람은 결코 일하기 위해 살지 않는다!”
나쓰메 소세키, 버트런드 러셀, 니체, 빅터 프랭클 등
시대의 지성들에게 배우는 직업과 삶에 대한 통찰!
일은 더 이상 자아실현과 자기계발 수단이 아니다. 지난 7월 한 취업 사이트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 중 퇴사 경험이 있거나 현재 퇴사를 고민하는 사람이 열 명 중 아홉 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지는 퇴사에 대한 책도 이에 대한 반증이다.
일본 역시 우리나라 못지않은 과도한 업무로 젊은 세대의 사회 이탈이 늘고 있다. 과로사를 뜻하는 일본어 ‘카로시’(かろうし), 영문으로 ‘karoshi’라는 단어가 옥스퍼드 사전에 등재될 만큼 일본의 열악한 근로 환경은 전 세계적인 관심사다. 히키코모리와 프리터 족이 늘고 ‘사토리 세대’라는 신조어가 등장한 것 역시 일에서 보람을 찾지 못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장에서 살아갈 의미를 잃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방황하며 심리적으로 불안한 채로 삶을 이어간다.
일본의 정신과 의사인 이즈미야 간지가 쓴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에서는 이렇게 불안함을 안고 사는 세대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나쓰메 소세키, 버트런드 러셀, 한나 아렌트, 빅터 프랭클 등 지성들의 입을 빌려 해답을 찾아간다. 그는 정신과 의사로서 예전에는 애정결핍, 열등감, 인간 불신 등 뜨거운 감정에 따른 고민을 자주 접했으나 최근에는 하고 싶은 일이 없다거나 존재 가치를 묻는 ‘온도가 낮은 고민’이 주가 되었다고 한다. 일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는 현대인들에게 나타난 공허함과 무의미가 정신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자아의 싹이 잘린 채 자라난 그들의 간절하고도 소박한 희망이 더 이상 누구에게도 강요받고 싶지 않다는 바람, 즉 성가신 일은 최대한 줄이고 조금이라도 편한 인생을 살아가고 싶다는 형태로 발현되는 것은 필연적인 결과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인간은 일로부터 소외되었을까? 저자는 한나 아렌트의 책을 인용해 ‘산업혁명 이후 시작된 대량생산은 인간의 숙련된 기술과 전문화에 의해 행해지던 일을 각각 단편적으로 분업화된 노동으로 깎아내렸다’고 말한다. 즉, 노동이 분업화, 기계화되면서 일하며 느끼던 즐거움을 모두 상실했다는 것이다. 이후 태동한 자본주의 정신은 인간을 더욱 더 ‘노동하는 동물’로 전락시켰다.
일본의 대표 작가 나쓰메 소세키는 백 년 전 이미 요즘 시대를 예견한 듯한 글을 썼다. 그의 소설 『그 후』에는 가치 있는 삶을 살기 위해 노동을 그만둔 고등유민(고등교육을 받았으면서도 일정한 직업이 없는 사람)인 주인공이 등장한다. 그는 일을 권하는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말로 자신의 신념을 펼친다.
먹고사는 게 목적이고 일하는 것이 수단이라면 먹고살기 쉽게 일하는 방법을 찾는 게 당연하잖은가. 그렇게 하면 어떤 일을 하든, 어떻게 일하든 상관없이 그저 식량을 얻을 수만 있으면 된다는 결론에 이르지 않겠나? 노동의 내용도 방향도 그리고 순서도 전부 다른 사람에게 제약을 받는다면 그것은 타락한 노동이라네.
단지 밥벌이의 수단으로써의 일은 아무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다. 마르크스의 사위이자 사회주의자인 폴 라파르그는 『게으를 권리』라는 책에서 조금 더 과격한 주장을 펼친다. 인간에게는 ‘노동에 대한 사랑, 즉 개인뿐만 아니라 그 자손의 활력을 고갈시키는 노동을 향한 목숨 건 열정’이 있으며 이러한 ‘광기가 개인과 사회에 비참한 재난을 불러일으켜 지난 2세기 동안 가엾은 인류를 줄곧 괴롭혀왔다’는 것이다.
이들에게는 인간이 당연하게 여긴 ‘근면’이라는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안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어쩌면 요즘 유행처럼 번지는 ‘퇴사의 시대’라는 문제는 오래전부터 예견되어온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일에 매몰되지 않고 인간다운 삶을 회복해 행복이라는 가치를 좇는 것이야말로 시대를 초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살아갈 의미를 잃어버린 현대인
꿈 없이 편하게 살고 싶다
우울증의 뿌리는 자아 상실
무조건 쉽고 가볍게
공허함을 탕진으로 채우는 사람들
진짜인가 가짜인가
몰지각한 비전문가의 시대
고차원의 실존적 욕구불만
중년과 청년의 온도 차
어떻게 살 것인가
제2장 노동의 배신, 무엇을 위해 일해야 할까?
나쓰메 소세키가 말하는 ‘일’
일은 경멸의 대상인가 기쁨의 원천인가
일의 몰락
왜 노동이 찬양받게 되었나
천직이라는 개념의 속임수
게으를 권리
‘노동이 너희를 자유롭게 한다’는 거짓말
제3장 진정한 나는 어디에 있을까?
진정한 자신이란 정말 존재할까?
미숙한 개인에서 초인으로
의미와 의의는 어떻게 다를까?
삶이 있는 곳에 의지가 있다
일은 자아 찾기 과정이 아니다
제4장 우리는 어디로 향해야 할까?
자유라는 이름의 감옥
사랑과 욕망의 경계선에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
인간답게 산다는 것
아름다움 너머에 진리가 있다
참을 수 없는 삶의 가벼움
제5장 나다운 일상을 되찾기 위해
일상에서 발견한 놀이
밥을 먹는 것도 예술이 된다
놀이를 창조해내는 지성
우리를 놀이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
오늘 더 재미있게 사는 법
개미보다는 베짱이의 삶을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