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물인터넷 보안의 핵심 원리와 해법
사물인터넷 보안의 핵심 원리와 해법
저자 : 산츠앙 리|리 다 쉬
출판사 : 에이콘출판
출판년 : 2017
정가 : 20000, ISBN : 9791161750392

책소개


IoT 종단 노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아키텍처, 리소스 제약 환경에서의 통신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의 특성 등을 설명하며 IoT 환경의 이해를 돕는다. 이뿐만 아니라 사이버 보안 연구자 및 실무자가 IoT 보안과 관련해 알아야 할 핵심 이론 및 실무에 적용 가능한 해법을 제시한다.

목차


1장. 서론: 사물 인터넷의 보호
__1.1 서론
____1.1.1 개요
____1.1.2 최신 기술
____1.1.3 보안 요구 사항
__1.2 IoT 아키텍처의 보안 요구 사항
____1.2.1 센싱 계층 및 IoT 종단 노드
____1.2.2 네트워크 계층
____1.2.3 서비스 계층
____1.2.4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계층
____1.2.5 교차 계층 위협
____1.2.6 IoT 유지 보수에서 발생하는 위협
__1.3 IoT 허용 기술 내 보안 기술
____1.3.1 식별 및 추적 기술 보안
____1.3.2 WSN와 RFID 통합에 대한 보안
____1.3.3 통신 보안
____1.3.4 네트워크 보안
____1.3.5 서비스 관리의 보안
__1.4 애플리케이션 보안 고려 사항
____1.4.1 SCADA 시스템의 보안 문제
____1.4.2 기업 정보 시스템의 보안 문제
____1.4.3 소셜 IoT에서의 보안 고려 사항
____1.4.4 IoT 기반 헬스케어를 위한 신뢰와 보안
__1.5 요약


2장. IoT 보안 아키텍처
__2.1 개요
__2.2 IoT 보안 요구 사항
____2.2.1 데이터 보안 해결 과제
____2.2.2 센싱 계층 보안
____2.2.3 네트워크 계층 보안
____2.2.4 서비스 계층 보안
____2.2.5 인터페이스 계층 보안
____2.2.6 안전한 IoT 환경을 위한 해결 과제
__2.3 불충분한 인증/인가
____2.3.1 IoT에서의 인증
____2.3.2 인가
____2.3.3 불충분한 인증/인가
____2.3.4 IoT에서 불충분한 장치 인증
__2.4 취약한 접근 제어
____2.4.1 역할 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
____2.4.2 접근 제어 목록 기반 시스템
____2.4.3 자격 기반 접근
____2.4.4 접근 제어의 해결 과제
__2.5 접근 제어, 프라이버시, 가용성의 위협
____2.5.1 네트워크 계층의 위협
____2.5.2 센싱 계층의 위협
____2.5.3 교차 계층의 위협과 IoT 유지 보수
__2.6 IoT에 특화된 공격
____2.6.1 물리적인 접근
____2.6.2 와이파이를 이용한 로컬 공격


3장. 사물 인터넷에서의 보안 및 취약성
__3.1 비밀 및 비밀 키 능력
__3.2 스마트 장치를 위한 인증/허가
__3.3 전송 암호화
____3.3.1 전송 계층 보안(TLS)
____3.3.2 보안 소켓 계층(SSL)
____3.3.3 HTTPS
____3.3.4 IoT 내에서의 전송 신뢰성
__3.4 보안 클라우드/웹 인터페이스
__3.5 보안된 소프트웨어/펌웨어
__3.6 물리적 계층 보안(PLS)
__3.7 요약


4장. IoT 노드 인증
__4.1 IoT의 보안 목표
__4.2 공개 키 기반 인증
____4.2.1 대칭 키 암호화
____4.2.2 공개 키 암호화
____4.2.3 공개 키 기반 구조
__4.3 신원 기반 인증 암호화 및 디지털 서명
____4.3.1 신원 기반 인증
____4.3.2 디지털 서명
____4.3.3 RAW 공개 키
____4.3.4 X.509 인증서
__4.4 IP 연결
____4.4.1 데이터그램 전송 계층 보안
____4.4.2 제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__4.5 경량화된 암호화
____4.5.1 효율적인 종단 간 통신
____4.5.2 적은 리소스를 가진 장치에 대한 적용 가능성
__4.6 기존 IoT 보안 체계
__4.7 요약


5장. IoT 아키텍처 보안 요구 사항
__5.1 소개
____5.1.1 IoT 환경의 보안 도전 과제
____5.1.2 센싱 계층과 IoT 종단 노드
__5.2 네트워크 계층
__5.3 서비스 계층
__5.4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계층
__5.5 교차 계층 위협
__5.6 IoT 유지 보수 내 발생 위협


6장. IoT 허용 기술 내 보안
__6.1 식별 및 추적 기술 내 보안
____6.1.1 식별
__6.2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RFID 통합 보안
__6.3 통신 보안
__6.4 스택의 보안 6LoWPAN 프로토콜과 프라이버시 문제
__6.5 서비스 관리 보안


7장. IoT 기존 보안 정책
__7.1 데이터 보안과 프라이버시
__7.2 데이터 기밀성과 키 관리
__7.3 문헌 검토


8장. 소셜 IoT 내에서의 보안 사항


9장. IoT 기반 건강관리용 비밀 준수 및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