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루쉰과 근대 한국 (동아시아 공존을 위한 상상)
루쉰과 근대 한국 (동아시아 공존을 위한 상상)
저자 : 홍석표
출판사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7
정가 : , ISBN : 9791158902056

책소개


이 책은 근대 중국의 문호인 루쉰(魯迅)의 사상과 문학정신을 고찰하고, 그의 문학이 어떻게 한국에 수용되었는지 그 기원과 계보를 탐색한 연구서이다. 일제에 의해 국권이 상실된 근대 시기 한국에서 문학은 민족정신을 표현하고 그것을 통합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인식되었으며, 문학 연구와 창작은 지식인들의 중대한 실천적 과제로 떠올랐다. 민족의 독립과 현실 변혁이 절실하던 당시 한국의 상황에서 강렬한 저항의식과 현실 비판정신이 구현된 루쉰의 문학은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책에서는 루쉰이 「광인일기(狂人日記)」를 발표해 중국문단에 등장한 1918년부터 사회주의 중국이 성립되고 한국전쟁이 발발해 한·중의 교류가 사실상 단절되는 1950년까지를 시간적 범주로 삼아 이 시기의 루쉰 관련 연구 자료 및 성과를 면밀하게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오상순, 류수인, 양백화, 정래동, 김태준, 신언준, 이육사, 김광주, 이명선 등 당시 한국과 중국에서 활동하던 문인과 지식인들이 어떻게 루쉰과 그의 문학을 접하게 되었으며 그로부터 어떤 사상적 영향을 받았는지 자세하게 논한다. 아울러 그들이 번역한 루쉰의 작품과 신문·잡지에 기고한 다양한 루쉰 관련 글들을 고찰함으로써 근대 시기 루쉰 및 루쉰 문학을 매개로 이루어진 한·중 지식인들의 교류와 양국의 문학적 관련 양상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있다.

이 책은 당시의 신문이나 잡지를 비롯한 여러 자료를 세밀하게 검토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들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예컨대 저자는 지금까지 다른 사람으로 알려졌던 이명선(李明善)과 이노부(李魯夫)의 글을 비교·분석해 내용이나 문체 등 여러 면에서 공통점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두 사람이 동일 인물임을 증명한다. 이명선이 일제의 사상통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던 시기에 ‘이노부’ 또는 ‘노부’라는 필명으로 중국 현대문학을 소개한 사실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 또한 근대 시기 중국문학 번역가로 활약했던 양백화가 번역한 「아Q정전」은 지금까지 루쉰의 중국어 원문에 의거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실제로는 일본인 이노우에 코바이(井上紅梅)의 일본어 번역본을 ‘중역(重譯)’한 것임을 검증하고 있다. 저자는 양백화의 번역문과 일본어 및 중국어 자료를 꼼꼼히 대조해 이러한 사실을 밝혀내고, 비록 일본어 번역본에 의거한 것이기는 하지만 중국어 원문도 참조해 내용을 보충하는 등 양백화가 번역가로서 최소한의 성실함을 유지하면서 번역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학술적인 논증과 더불어 이 책은 일제의 지배하에 놓였던 당시 한국의 정치적·사회적 상황을 비롯해, 사상과 문화가 통제된 사회에서 지식인들이 지녔던 현실적 고뇌와 시대인식, 민족의 독립을 위한 투쟁 활동 등의 내용도 담고 있어 의미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루쉰 문학 수용의 기원과 계보

제1부 1920년대 한국과 루쉰

제1장 오상순의 ‘아시아’ 의식과 루쉰의 세계주의 경향
1. 두 장의 사진과 공초 오상순
2. 루쉰·저우쭤런의 일기에 나오는 오상순·이우관·류림
3. 일본 시라카바파(白樺派) 이념의 공유와 아나키즘사상의 수용
4. 오상순의 ‘폐허’ 의식과 ‘아시아’ 의식
5.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상적 공명

제2장 류수인의 「광인일기」 번역과 한·중 지식인의 사상적 연대
1. 공개편지의 ‘L’
2. 문예의 계몽적 효과와 「광인일기」의 번역
3. 루쉰 방문과 스유헝(時有恒)과의 관계
4. 문예이론상의 공감대와 사상적 연대
5. 「광인일기」 번역의 양상과 그 의의

제2부 1930년대 한국과 루쉰

제3장 양백화의 「아Q정전」 번역과 그 반응
1. 1930년대의 중국 현대문학 소개
2. 양백화의 중국문학 소개와 루쉰 문학 비평
3. 「아Q정전」의 번역과 그 오역에 대한 비판
4. ‘역술(譯述)’의 번역 관습과 근대적 번역 관습의 충돌
5. 중역(重譯)과 오역의 극복

제4장 정래동과 김태준의 루쉰 문학 비평과 사상적 계보
1. 정래동의 중국 현대문학 비평
2. 정래동의 「루쉰과 그의 작품」
3. 정래동의 『야초』 비평
4. 동시기 한·중·일의 『야초』 비평의 양상
5. 아나키즘사상과 루쉰 문학 비평
6. 김태준의 루쉰 문학의 이해
7. 김태준의 좌익 문학비평의 주체적 수용
8. 사상적 계보와 비평적 입장의 차이

제5장 신언준과 카라시마 타케시의 루쉰 방문과 루쉰 형상화
1. 사진으로 실린 루쉰의 편지
2. 신언준과 루쉰의 대좌(對坐)
3. 프롤레타리아작가로서 루쉰의 형상화
4. 카라시마 타케시의 루쉰 방문과 중국 신문예의 소개
5. 카라시마 타케시에 대한 평판과 ‘국책(國策)’ 선전
6. 차이와 대화

제6장 이육사와 루쉰이 도달한 문학정신
1. 이육사와 루쉰의 만남과 문학적 모색
2. 국민성개조 담론과 투철한 자기인식
3. 문학과 정치의 관계 및 창작 ‘모랄’
4. 강인한 정신의 소유자 형상과 시의 사상성
5. 동궤에 놓인 문학정신

제3부 1940년대 한국과 루쉰

제7장 김광주의 현대 중국문예 비평과 루쉰 소설 번역
1. 의학의 포기와 문예활동의 시작
2. 『보헤미안』 문예동인지와 아나키즘적 문예의식
3. 1930년대 중국문단 비평과 한국문단 소개
4. ‘루쉰 정신’의 환기와 「루쉰과 그의 작품」
5. 『루쉰단편소설집』의 출간과 번역의 양상
6. 한·중 문단의 상호 이해

제8장 이명선의 학문 형성과 ‘루쉰 연구’
1. 한국 최초의 중국 현대문학 전공자
2.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과 민족적 자의식
3. 김태준으로부터의 사상적·학문적 영향
4. ‘민중’의식과 사상적 계보
5. 경성제대 중국어문학과의 강의 내용과 ‘루쉰 연구’

제9장 이명선의 루쉰 비평과 루쉰 문예 입장의 수용
1. 루쉰 연구의 두 시기
2. 대학 재학 시기의 루쉰 비평과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의 번역
3. ‘신문학혁명’론과 문학의 대중성 지향
4. 중국 문예논쟁과 ‘민족혁명의 대중문학’ 주장
5. 루쉰 잡감문의 번역과 ‘전투적인 비판정신’의 수용
6. 당대 현실에 밀착된 루쉰 연구

부록
루쉰과 그의 작품 _ 정래동
중국의 대문호 루쉰 방문기 _ 신언준
루쉰 추도문 _ 이육사
상하이를 떠나며: 유랑(流浪)의 항구에서 _ 김광주
루쉰의 미성작품(未成作品) _ 이명선
저우쭤런론(周作人論) _ 이노부
루쉰과 그의 작품 _ 김광주